$\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상변수를 활용한 일사량 예측 연구
A study on solar irradiance forecasting with weather variables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30 no.6, 2017년, pp.1005 - 1013  

김삼용 (응용통계학과, 중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발전량 예측에 필요한 일사량을 예측하기 위해 다양한 기상변수를 활용한 다중회귀, ARIMA, ARIMAX 모형을 사용하여 각 모형의 예측 성능을 비교하고자 한다. 예측에 사용된 변수와 시계열 모형에 대해 소개하고, 실제 일사량 예측에 적용하여 일사량을 예측한 결과 운량, 기온, 습도, 대기권 밖 일사량을 활용한 ARIMAX 모형의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performances of time series models to forecast irradiance that consider weather variable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cloud cover and Global Horizontal Irradiance. We first introduce the time series models and show that regression ARIMAX has the best performan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태양광 발전량 예측에 필요한 일사량에 대한 예측에 다양한 시계열 모형과 외생변수를 고려하여 미래 일사량 예측을 하였다. 예측에 사용된 모형은 ARIMA, ARIMAX, 다중회귀모형이며 외생변수로는 다양한 기상변수들 중 실제 예보가 이루어지고 있어 향후 실무에 사용 가능한 기상변수 중 일사량과 연관성이 높은 변수들을 사용하였다.
  • 국내에서는 주로 발전되는 신재생에너지는 풍력과 태양광발전이 있는데 신재생에너지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이용한 에너지와는 달리 기상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한 발전량 변동이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의 한 종류인 태양광 발전량 예측을 위한 일사량 예측을 실시하고 여러 시계열 모형의 성능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이유는? 화석에너지 자원의 한계와 화석연료 발전으로 인한 환경문제가 점차 대두됨에 따라 전 세계에서 신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관련 산업이 발달함으로 인하여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는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본 논문에서 태양광 발전량 예측에 필요한 일사량에 대한 예측을 하기 위해 어떤 모형을 사용했는가? 본 연구는 태양광 발전량 예측에 필요한 일사량에 대한 예측에 다양한 시계열 모형과 외생변수를 고려하여 미래 일사량 예측을 하였다. 예측에 사용된 모형은 ARIMA, ARIMAX, 다중회귀모형이며 외생변수로는 다양한 기상변수들 중 실제 예보가 이루어지고 있어 향후 실무에 사용 가능한 기상변수 중 일사량과 연관성이 높은 변수들을 사용하였다. 또한 일사량에 근간이 되는 대기권 밖 일사량 변수를 추가로 사용하여 모형의 성능을 높였다.
신재생에너지는 무엇인가? 신재생에너지는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하여 이용하거나 물, 강수, 바이오, 햇빛 등을 이용하여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를 신재생에너지라고 한다. 국내에서도 미세먼지와 원자력의 위험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변화와 정부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정부 정책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Dazhi, Y., Jirutitijaroen, P., and Walsh, W. M. (2012) Hourly solar irradiance time series forecasting using cloud cover index, Solar Energy, 86, 3531-3543. 

  2. Duffle, J. A. and Beckman, W. A. (2013). Solar Engineering of Thermal Process (4th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3-41. 

  3. Huang, J. and Davy, R. J. (2016). Predicting intra-hour variability of solar irradiance using hourly local weather forecasts, Solar Energy, 139, 633-639. 

  4. Maleki, S. A. M., Hizam, H., and Gomes, C. (2017). Estimation of hourly, daily, and monthly global solar radiation on inclined surfaces: models re-visited, Energies 2017, 10, 134-161. 

  5. Martin, L., Zarzalejo, L. F., Polo, J., Navarro, A., Marchante, R. and Cony, M. (2010). Prediction of globar solar irradiance based on time series analysis: Application to solar thermal power plants energy production planning, Solar Energy, 84, 1772-1871. 

  6. Moreno-Munoz, A., de la Rosa, J. J. G., Posadillo, R., and Bellido, F. (2008). Short term forecasting of solar radiation,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dustrial Electronics, 1537-1541. 

  7. Park, J. K., Kim, B. S., and Park, J. H. (2014). Characteristic analysis of solar radiation and atmospheric transmissivity at Chupungryeong,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41, 149-155. 

  8. Park, S.-H. and Kim, S. (2016) A study on short-term wind power forecasting using time series models,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9, 1373-1383. 

  9. Reikard, G. (2009). Predicting solar radiation at high resolutions : A comparison of time series forecasts, Solar Energy, 83, 342-349. 

  10. Sohn, H., Jung, S., and Kim, S. (2016). A study on electricity demand forecasting based on time series clustering in smart grid,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9, 190-2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