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과도안정도 향상
Transient Stability Enhancement of Power System by Using Energy Storage Syste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2, 2017년, pp.26 - 31  

서규석 (거제대학교 전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력계통의 과도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무효전력 보상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전통적인 무효전력 보상장치 중 SVC(Static Var Compensator), 변압기의 탭 변환기는 값이 싸고 기계적 스위칭으로 동작하여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고, 전력전자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은 고속으로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 각광을 받고 있지만 고가의 장치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무효전력 보상장치에 기반한 전통적인 방법은 무효전력만을 공급하여 과도안정도를 향상시키기에 대형 전동기의 트립에 의한 급격한 전압붕괴를 막을 수 없다. 반면에 에너지 저장시스템은 무효전력과 유효전력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선로사고로 인하여 부하에 유효전력의 공급이 감소하는 것을 ESS을 통한 유효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적절한 무효전력의 공급을 통하여 과도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력계통의 사고 시 유효전력의 빠른 공급은 과도안정도 향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형 전동기 부하와 같은 큰 동적부하를 가지는 전력계통에 대하여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사용한 과도안정도 향상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보상하는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더 효과적으로 과도안정도를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ventional method of improving the transient stability in a power system is the use of reactive power compensation devices, such as the STATCOM and SVC. However, this traditional method cannot prevent the rapid voltage collapse brought about by the stalling of the motor due to a system faul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전동기와 같은 동적인 부하의 비율이 매우 큰 전력계통의 과도 안정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으로써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취약 모선에 직접 연결하여 제어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과도안정도 향상을 위한 장치와 비교하여 취약모선에 직접 설치한 ESS가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과도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 즉 선로사고로 인하여 부하에 유효전력의 공급이 감소하는 것을 ESS을 통한 유효전력의 공급함과 동시에 적절한 무효전력의 공급을 통하여 과도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동기와 같은 많은 동적 부하를 가지는 모의 시스템을 선정하고 선로 사고를 가정하여 사고제거후의 과도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ESS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에너지 저장시스템 모델은 전력계통 해석툴인 PSSE[5]에서 제공하는 ESS모델인 CBEST이고, SVC와 STATCOM모델 또한 PSSE의 라이브러리에 내장된 모델을 사용한다.
  • 또한 ESS는 전력계통의 과도안정도 향상에도 효과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2-3]. 본 논문에서는 전력계통의 과도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ESS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전력계통에서 과도안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은 무효전력 보상장치를 설치하여 안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가설 설정

  • 전력계통의 사고에 가장 민감한 BUS14에 20Mvar의 SVC를 설치하여 BUS14의 근처에 3상 단락사고가 0.4초의 시각에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BUS9와 BUS14사이의 선로를 제거하는 과정을 모의하여 CCT를 구한 결과는 0.08s이다. 이 결과는 보상장치가 없는 경우보다 CCT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력계통에서 과도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전력계통의 과도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ESS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전력계통에서 과도안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은 무효전력 보상장치를 설치하여 안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전통적인 무효전력보상장치 중 SVC(Static Var Compensator), 변압기의 탭 변환기는 값이 싸고 기계적 스위칭으로 동작하여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고, 전력전자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는 고속으로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 각광을 받고 있지만 고가의 장치라는 단점이 있다.
신재생 에너지원을 기존의 전력계통과 연계할 시 높은 투자비, 출력의 변동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무엇이 주목받고 있는가? 최근 지구온난화의 문제, 자원고갈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태양광이나 풍력발전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원의 사용이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신재생 에너지원을 기존의 전력계통과 연계할 시 높은 투자비, 출력의 변동성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의 사용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전력계통에 적용되는 ESS의 주된 용도는 전력계통의 목표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한 주파수 조정, 첨두부하 저감을 통한 부하의 평준화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출력변동율의 최소화 등이다[1].
전력계통에 적용되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주된 용도는 무엇인가? 하지만 신재생 에너지원을 기존의 전력계통과 연계할 시 높은 투자비, 출력의 변동성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의 사용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전력계통에 적용되는 ESS의 주된 용도는 전력계통의 목표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한 주파수 조정, 첨두부하 저감을 통한 부하의 평준화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출력변동율의 최소화 등이다[1]. 또한 ESS는 전력계통의 과도안정도 향상에도 효과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T. Kouskson, P. Bruel and A. Jamil, "Energy Storage : Application and Challenges", PSlolar Energy Materials & Solar Cells 120, pp. 59-80, 2014. DOI: https://doi.org/10.1016/j.solmat.2013.08.015 

  2. A. K. Srivastave, Ramon Zamora and Douglas Bowman "Impact of Distributed Generations with Storage Devices on the Electric Grid", IEEE Systems Journal. vol. 6, pp. 110-117, March 2012. DOI: https://doi.org/10.1109/JSYST.2011.2163013 

  3. Ken-ichi Kawabe and Akihiko Yokoyama," A New Control Scheme of Batteries and Facts Devices for Transient Stability Improvement in Multi-Machine Power System", 17th Power Systems Computation Conference, Stockholm Sweden Aug. 22-26, 2011. 

  4. A. Sundaram," Statically Controlled Energy-Storage Devices Compared to Traditional Methods for Improving Power System Stability and Power Quality", EPRI, Palo Alto, CA, 2002. 1001672. 

  5. "PSSE-32 Program Application Guide vol. I, II", Shaw Power Technologies Inc. 

  6. "Power Systems Test Case Archive - IEEE 14 Bus Power Flow Test Cases", https://www.ee.washington.edu/research/pstca/ 

  7. J. D. Glover, M. S. Sarma and T. J. Overbye "Power Sytem: Analysis and Design", CENGAGE Learning, 4th Edition, 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