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풍력자원평가를 위한 단순지형에서의 육상 기상탑 바람 데이터의 상호 적용
Mutual Application of Met-Masts Wind Data on Simple Terrain for Wind Resource Assessment 원문보기

한국동력기계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ower system engineering, v.21 no.6, 2017년, pp.31 - 39  

손진혁 (제주대학교 대학원 풍력특성화협동과정) ,  고경남 (제주대학교 대학원 풍력공학부) ,  허종철 (제주대학교 기계공학과) ,  김인행 (제주에너지공사 에너지연구 기술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xamine if met-masts wind data can exchange each other for wind resource assessment,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in Kimnyeong and Haengwon regions of Jeju Island. The two regions are both simple terrain and 4.31 km away from each other. The one-year wind speed data measured by 70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1 km 떨어진 다른 지점에 적용함으로써 연간발전량(AEP)과 설비이용률(CF)을 계산한다. 그 다음 각각의 기상탑에서 측정된 바람 데이터가 상대방 지점에 적용 되었을 때 어느 정도 정확한 풍력자원평가가 가능한 지를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이며 정확한 풍력자원 측정 및 평가를 위하여 단순지형에서 각각 다른 지점에 설치된 2기의 기상탑 바람데이터를 분석한다. 즉 한 지점에서 측정된 바람데이터를 4.

가설 설정

  • 바람 체제(Wind Regime)의 관점에서 보면, 지형적 특성이 비슷한 지역은 유사한 바람 성질을 갖는다.7) 본 연구에서는 김녕과 행원 지역이 비슷한 바람 체제를 갖는다고 가정하여 바람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풍력발전시스템의 출력을 높이기 위해 무엇이 커야하는가? 이 결과를 토대로 유망한 풍력발전 사이트를 선정하고, 풍력 전용 기상탑을 설치하여, 1~2년간 풍력자원측정을 하게 된다.3) 풍력발전시스템의 출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로터 회전 면적(Swept area)이 커야 한다4). 또한 지상으로부터 타워(Tower)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고 풍속을 얻을 수 있으므로 풍력발전시스템의 크기는 계속 대형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5).
단순지형에서 각각 다른 지점에 설치된 2기의 기상탑 바람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이며 정확한 풍력자원 측정 및 평가를 위하여 단순지형에서 각각 다른 지점에 설치된 2기의 기상탑 바람데이터를 분석한다. 즉 한 지점에서 측정된 바람데이터를 4.31 km 떨어진 다른 지점에 적용함으로써 연간발전량(AEP)과 설비이용률(CF)을 계산한다. 그 다음 각각의 기상탑에서 측정된 바람 데이터가 상대방 지점에 적용 되었을 때 어느 정도 정확한 풍력자원평가가 가능한 지를 검토하였다.
풍력발전시스템의 크기가 대형화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3) 풍력발전시스템의 출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로터 회전 면적(Swept area)이 커야 한다4). 또한 지상으로부터 타워(Tower)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고 풍속을 얻을 수 있으므로 풍력발전시스템의 크기는 계속 대형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5). 이러한 추세에 따라 설치되는 기상탑의 높이도 높아지면서 설치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 G. Won, 2016, "KEMRI Electric Power Economy Review Special Report", Kepco Economy &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pp. 1-6. 

  2. C. V. Hernandez, T. Telsnig and A. V. Pradas, 2017, "JRC Science for Policy Report, 2016 Edition, Market Technology and Regulatory Aspects of Wind Energy", European Commission Publication, pp. 3-4. 

  3. P. Jain, 2011, "Wind Energy Engineering",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pp. 122-123. 

  4. K. N. Koh, J. C. Huh, 2006, "The Introduction to Wind Engineering", MunUnDang, p. 34. 

  5. N. H. Kim, K. N. Koh and S. B. Yang, 2015, "Offshore Wind Farm", CIR, pp. 32-33. 

  6. M. C. Brower et al, 2012, "Wind Resource Assessment, A Practical Guide to Developing a Wind Project", A JOHN WILEY & SONS, INC. Publication, pp. 16-22. 

  7. M. H. Zhang, "Wind Resource Assessment And Micro-Siting", WILEY, p. 6. 

  8. A. J. Bowen and N. G. Mortensen, 2004, "WAsP Prediction Errors due to Site Orography, Technical Report Ris-R-995(EN)", Riso National Laboratory, pp. 33-35. 

  9. DTU, "WAsP 11 Help Facility and On-line Documentation", Department of Wind Energy,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DTU). 

  10. J. Y. Hyeon et al., 2014,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of Wind Shear in Kimnyeong of Jeju using Lid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ower System Engineering, Autumn Conference, pp.112-114. 

  11. J. K. Byun and J. H. Son, 2016, "Reliability Assessment of ERA-Interim/MERRA Reanalysis Data for The Offshore Wind Resource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ower System Engineering Vol. 20, No. 4, pp. 44-51. 

  12. P. Jain, 2011, "Wind Energy Engineering",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pp. 127-135. 

  13. 2005, "IEC 61400-1, Wind Turbines - Part 1: Design Requirements, 3rd Edition". 

  14. S. G. Hyun, M. S Jang and S. H. Ko, 2013, "Variability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Long-Term Wind and Wind Energy Using MCP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3, No. 5, pp. 1-8. 

  15. P. Nielsen et al., 2013, "Wind Pro 2.9 User Guide, 1. Edition", EMD International A/S, p. 5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