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천연자원 감을 모티브로 한 유·아동복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extile design for infant and children's clothes with the motive of Jeju natural resource persimmon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5 no.6, 2017년, pp.741 - 756  

안수민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패션의류학과) ,  이은주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패션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tural resources of Jeju are recognized as the new regional image of that clean island. Reflecting these trends, this study is initiated to develop a textile design with the motive of persimmon, a natural resource of Jeju, and to apply it to infant's and children's clothes. Its purpose is to 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천연염색의 재료로 인식되어온 제주전통 감을 디자인모티브로 설정하고 감의 형태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감염색이 주는 진부하고 칙칙한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천연염색에서 주어지는 고급스러운 이미지에 부합할 수 있는 청정섬 제주의 감을 조형적 모티브로 하여 유아의 정서와 로하스 지향소비자의 감성에 맞는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현대 유․아동복패션에 나타난 텍스타일 디자인의 흐름을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유아동복디자인에 적용하였다.
  • [Table 7]의 Design 3은 감을 세로로 자른 단면 형태를 기본 모티브로 하여 패턴을 디자인하였다. 단순해 보이는 감의 단면에서 씨부분을 페이즐리 문양으로 변형시켰으며 다양한 색을 넣어 화려한 이미지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패턴은 자수기법을 이용하여 활동적으로 입을 수 있는 여아용 캡소매 티셔츠와 반바지에 적용하였다.
  • 첫째, 이론적 고찰을 위해 전문서적, 선행연구자료, 인터넷 전자자료 등을 토대로 제주천연자원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와 제주전통 감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토속성을 이해하고 패션제품을 위한 천연자원 감의 활용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텍스타일 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제주의 천연자원인 감을 모티브로 한 유아동복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 현대 유아동복에 나타난 텍스타일 디자인의 흐름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는 아동복컬렉션의 대표 정보지인 BAMBINI 2014S/S, 2015S/S, 2016년 S/S 총3권을 이용하여 2014년 S/S부터 2016년 S/S 컬렉션에서 텍스타일 기법이 드러난 유아동복을 대상으로 하여 총 50 사례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패턴의 종류와 소재, 표현기법으로 구분하였다.
  • 디자인개발을 위한 전체적인 방향은 천연염색에서 주어지는 고급스러운 이미지에 부합할 수 있는 청정 섬 제주의 감을 조형적 모티브로 하여 유아의 정서와 로하스 지향소비자의 감성에 맞는 상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유기농 천연소재의 천연염색을 통해 바이오 기능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전체적인 텍스타일 디자인 적용을 배제하고, 자수나 아플리케 등 최소한의 면적을 차지하면서 인상적인 이미지를 전달함으로써 제품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 지극히 제한적인 아이템을 가진 패션문화상품시장에 유아동복과 같은 패션제품으로 영역을 확대하여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감성과 기호에 맞는 상품을 제시하고 패션문화상품의 발전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TP) 기법에 집중되어 있는 소재개발분야에 자수, 아플리케 등 창의적인 표현기법을 제시하여 상품의 고부가가치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도의 천연자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제주의 전통염색으로 지역의 고유성과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제주감 염색과 갈옷의 소재인 감을 염색의 재료가 아닌 디자인 모티브로 활용하는 새로운 접근방법을 통해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지역자원의 이미지를 상품에 적용하여 지역을 상징하는 고유이미지로 부각시키고자 한다. 지극히 제한적인 아이템을 가진 패션문화상품시장에 유아동복과 같은 패션제품으로 영역을 확대하여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감성과 기호에 맞는 상품을 제시하고 패션문화상품의 발전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 유기농 천연소재의 천연염색을 통해 바이오 기능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전체적인 텍스타일 디자인 적용을 배제하고 실크스크린, 자수, 아플리케 등 최소한의 면적을 차지하면서 인상적인 이미지를 전달함으로써 제품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또한 천연염색제품을 중심으로 한 패션문화상품의 제한적 아이템의 확대를 위해 유아동복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 최근 지역산업체의 수요에 응하기 위하여 수행한 기술개발 과제(Je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2015)의 일부로서 유행색에 기반한 감과 감태, 감귤 염색 직물의 색채 분석과 컬러테마 제안을 목표로 수행된 선행 연구(Ahn, Sarmandakh,& Yi, 2016)가 있다. 본 연구 논문에서는 선행연구(Ahn et al., 2016)에서 도출한 천연염색 소재를 기반으로 하여, 친환경 패션소재의 사용이 가장 두드러지게 요구되는 유아동복을 위한 디자인 모티브에 천연자원 감을 활용함으로써, 제주 천연자원 감의 활용 범위와 가치를 확대시키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제주도의 천연자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주로 전통염색 소재로만 사용되어온 감을 디자인 모티브로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고, 이를 유아동복에 적용함으로써 제주의 전통성을 이어온 소중한 자원인 제주 토종감에 대한 진부한 이미지를 개선하고 제주 지역을 상징하는 고유이미지로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아이템에 제한적인 패션문화상품시장에 천연자원 모티브의 디자인을 활용한 유아동복 제품으로 그 영역을 다양화하고, 획일적인 천연염색제품에 자수, 아플리케 등 창의적인 표현기법을 제시하여 상품의 고부가가치를 높임으로써,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감성과 기호에 부응할 수 있는 패션문화상품의 좋은 사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제주의 천연자원이며 제주전통염색인 갈염색의 재료인 감을 디자인의 모티브로 한 유아동복 텍스타일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천연염색의 재료로 인식되어온 제주전통 감을 디자인모티브로 설정하고 감의 형태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감염색이 주는 진부하고 칙칙한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천연염색에서 주어지는 고급스러운 이미지에 부합할 수 있는 청정섬 제주의 감을 조형적 모티브로 하여 유아의 정서와 로하스 지향소비자의 감성에 맞는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이중 중복되는 사례들을 정리하여 총 21사례로 분류하고 여기에 나타난 현대유아동복의 텍스타일 디자인의 흐름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제주의 천연자원인 감을 모티브로 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고 유아동복으로 제품화함으로써 단순히 제주의 갈 염색의 재료로만 여겨지던 감을 지역 고유의 이미지를 유형화하는 제품으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모든 작업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인 Adobe Photoshop 7.
  • 텍스타일 패턴의 모티브를 하나의 디자인 요소로 보고, 아동복에 적용한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천연자원 감을 하나의 모티브로 하여 텍스타일 디자인 패턴으로 단순화하거나 캐릭터화하고 실크 스크린, 자수, 아플리케 등 공예적인 소재표현을 통해 기존에 천연염색이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에만 집중되어 있는 천연염색 제품의 한계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유기농 천연소재의 천연염색을 통해 바이오 기능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전체적인 텍스타일 디자인 적용을 배제하고 실크스크린, 자수, 아플리케 등 최소한의 면적을 차지하면서 인상적인 이미지를 전달함으로써 제품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또한 천연염색제품을 중심으로 한 패션문화상품의 제한적 아이템의 확대를 위해 유아동복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 디자인개발을 위한 전체적인 방향은 천연염색에서 주어지는 고급스러운 이미지에 부합할 수 있는 청정 섬 제주의 감을 조형적 모티브로 하여 유아의 정서와 로하스 지향소비자의 감성에 맞는 상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유기농 천연소재의 천연염색을 통해 바이오 기능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전체적인 텍스타일 디자인 적용을 배제하고, 자수나 아플리케 등 최소한의 면적을 차지하면서 인상적인 이미지를 전달함으로써 제품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 0, Illustrator CS5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이를 계기로 제주전통갈옷에 대한 진부한 이미지를 개선하고, 제주 천연자원에 대한 관심 증가와 구체적인 패션문화상품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 2016)는 지역산업체의 기술개발 수요에 의하여 진행된 과제(Je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2015)의 결과, 일부로서 천연염재로 풋감과 감귤, 감태를 선정한 배경은 다음과 같다. 제주 풋감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주의 문화상징으로 대표적인 전통염색 자원으로 텍스타일 디자인의 모티브 외에 염색 소재로 활용함으로써 지역 브랜드 가치 제고에 도움을 주고자 선정하였다. 감귤은 제주 지역 최대 생산량의 농산물인데 고품질 유지를 위한 간벌(솎아내기) 등 농업과정과 가공 과정에서 생산되는 부산물이 약 연간 5만 톤에 이르러서 이에 대한 효율적인 활용이 시급하며(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2014), 감귤 부산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소재의 기능성이 밝혀지고 있다(Im, 2003; Lee, Hong, Yang, & Yi, 2010).
  •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도의 천연자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제주의 전통염색으로 지역의 고유성과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제주감 염색과 갈옷의 소재인 감을 염색의 재료가 아닌 디자인 모티브로 활용하는 새로운 접근방법을 통해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지역자원의 이미지를 상품에 적용하여 지역을 상징하는 고유이미지로 부각시키고자 한다. 지극히 제한적인 아이템을 가진 패션문화상품시장에 유아동복과 같은 패션제품으로 영역을 확대하여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감성과 기호에 맞는 상품을 제시하고 패션문화상품의 발전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TP) 기법에 집중되어 있는 소재개발분야에 자수, 아플리케 등 창의적인 표현기법을 제시하여 상품의 고부가가치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위해 전문서적, 선행연구자료, 인터넷 전자자료 등을 토대로 제주천연자원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와 제주전통 감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토속성을 이해하고 패션제품을 위한 천연자원 감의 활용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텍스타일 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제주의 천연자원인 감을 모티브로 한 유아동복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 현대 유아동복에 나타난 텍스타일 디자인의 흐름을 분석하고자 한다.
  • 현대 유․아동복패션에 나타난 텍스타일 디자인의 흐름을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유아동복디자인에 적용하였다. 텍스타일 패턴의 모티브를 하나의 디자인 요소로 보고, 아동복에 적용한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천연자원 감을 하나의 모티브로 하여 텍스타일 디자인 패턴으로 단순화하거나 캐릭터화하고 실크 스크린, 자수, 아플리케 등 공예적인 소재표현을 통해 기존에 천연염색이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에만 집중되어 있는 천연염색 제품의 한계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유기농 천연소재의 천연염색을 통해 바이오 기능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전체적인 텍스타일 디자인 적용을 배제하고 실크스크린, 자수, 아플리케 등 최소한의 면적을 차지하면서 인상적인 이미지를 전달함으로써 제품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뉴질랜드의 국토의 국립공원과 자연보호구역의 비중이 어떻게 되는가? 국토의 3분의 1 이상이 국립공원과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아름다운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뉴질랜드는 희귀한 동식물과 뉴질랜드 고유종이 서식하고 있다. 마오리족의 전설 속에 전해 내려오는 거대한 은빛 고사리인 실버펀(Silver Fern)은 뉴질랜드를 상징하는 자연자원으로 국가를 상징하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뉴질랜드가 국기 외에 은빛 고사리 문양을 활용한 곳은 어디인가? 최근 뉴질랜드 정부가 뉴질랜드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시행한 국기교체 프로젝트에서 은빛 고사리 문양을 넣은 국기가 후보로 등장하기도 했다. 이러한 고사리 문양은 뉴질랜드 1달러 동전 도안에도, 뉴질랜드가 자랑하는 럭비대표팀 올블랙스(All Blacks)의 유니폼에도 활용하여 세계인들에게 뉴질랜드의 전통적이고 고유한 상징으로 알리고자 노력하고 있다(Kim, 2016).
거대한 은빛 고사리인 실버펀은 어느 부족의 전설 속 이야기인가? 국토의 3분의 1 이상이 국립공원과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아름다운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뉴질랜드는 희귀한 동식물과 뉴질랜드 고유종이 서식하고 있다. 마오리족의 전설 속에 전해 내려오는 거대한 은빛 고사리인 실버펀(Silver Fern)은 뉴질랜드를 상징하는 자연자원으로 국가를 상징하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최근 뉴질랜드 정부가 뉴질랜드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시행한 국기교체 프로젝트에서 은빛 고사리 문양을 넣은 국기가 후보로 등장하기도 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hn, M.-H., & Jang. A.-R. (2015). Development of textile pattern design and fashion cultural products for Jeju Gosari festival. Design Forum, 49, 129-144. 

  2. Ahn, S.-M., Saramandakh, B., & Yi, E. J. (2016). Fashion color planning using dyeing with Jeju natural resources.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9(2), 55-66. doi:10.14695/KJSOS.2016.19.2.55 

  3. Ahn, S.-M., & Lee, H.-J. (2014). Research and survey Gal-ot product in Jeju.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6(4), 520-531. doi:10.5805/SFTI.2014.16.4.520 

  4. An, H. J. (2015). Design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applying DTP of Jeju Gotjawal: Focusing on Jeju souvenir shirt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7(4), 145-160. 

  5. Byun, E.-M. (2005). A study on bal design utilized dyeing with the liquid of persimmon: Centering around the shape of a latticed window.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6. Byun, S. J. (2006). Color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fabrics dyed with persimmon juice. Art Journal, 7, 1-22. 

  7. Cho, I. S., & Lee, J. S. (2015). Combination dyeing of silk fabrics with hibiscus flowers and persimmon juice extract.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7(3), 476-485. doi:10.5805/SFTI.2015.17.3.476 

  8. Choi, G. H., Kang, I. H., Yang, H. J., Lee, M. N., Lee, E. J., Ko, J. H., Hong, J. U., & Kwon, S. H. (2010). A study on pattern grading of eco resort wear for Jeju medical tourism.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3(4), 733-740. 

  9. Collezioni Bmbini 54: Spring/Summer 2014. (2014). Modena: Logos Publishing. 

  10. Collezioni Bmbini 56: Spring/Summer 2015. (2015). Modena: Logos Publishing. 

  11. Collezioni Bmbini 58: Spring/Summer 2016. (2016). Modena: Logos Publishing. 

  12. Ha, S. Y., & Park, J. O. (2010). Analysis of values and design elements in eco-friendly fashion using an in-depth interview.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10), 1754-1766. doi:10.5850/JKSCT.2010.34.10.1754 

  13. Han, Y. S. (2005).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ersimmon juice and persimmon juice dyed cotton fabric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3(3), 119-129. 

  14. Hong, B.-S., Lee, E.-J., & Chu, Y.-J. (2010). The effect of environmental values of fashion consumers on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2(4), 431-438. doi:10.5805/KSCI.2010.12.4.431 

  15. Hong, E. B., & Hwang, C. S. (2012). Perceptions of eco-friendly young-children's wear and selection criteria for young-children's wear and stores: A comparison of eco-friendly and ordinary children's wear purchaser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0(6), 895-911. doi:10.7741/rjcc.2012.20.6.895 

  16. Hong, H. S., & Kim, G.-E. (2013). Forms, colors and construction of the pattern cases for Korean traditional socks and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1(6), 860-876. doi:10.7741/rjcc.2013.21.6.860 

  17. Im, E.-S. (2003). Natural dyeing of fabrics with dyebath extracted from citrus pe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18. Jang, A.-R., Hyun, M.-K. & Kim, H.-M. (2013). Textile pattern design using Saengbul flower in Seo-cheon flower garden of Jeju myth.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2(4), 667-676. doi:10.5934/kjhe.2013.22.4.667 

  19. Jejuian. (2014, February 25). 천연염색과 천연염색산 업에 관해 말하다: 국내 천연염색산업 현황 [Saying natural dyeing and natural dyeing industry]. Webzine Natural Dyeing Jejuian, Retrieved April 28, 2017, from http://naturaldye.tistory.com/entry 

  20. Je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2015). 제주 귤, 감 미숙과와 감태를 이용한 친환경 유아동복 개발 [Development of eco-friendly infant & Children's clothes using Jeju citrus, unripe persimmon, and Ecklonia cava]. Daejeon: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21. Jeju Research Institute. (2009). 제주문화상징물 99선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f utilization of the selected 99 Jeju culture symbol]. Jeju: Author. 

  22.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08). 제주문화상징 [Jeju Culture Symbol]. Jeju: Jeju Foundationfor Arts & Culture. 

  23. Jin, S. G. (1969). 남국의 세시풍속 [Seasonal custom of southern country]. Jeju: Institute of Jeju Cultural Studies. 

  24. Jung, Y. K. (2015). A case study on the cosmetics brand using natural resources in Jeju island: Focus on the storytelling of cosmetic brand named innisfre.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3(3), 96-104. 

  25. Kang, J.-S. (2011). A study on Gal Ot dress pattern: In the case of their 5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26. Kim, D. K., & Cho, S. A. (2009). Dyeing method using Gamtae dyes to improve Jeju Galcheon's color fastness. Korean Patent No. 10-0933423-0000. Deajeon: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27. Kim, G.-E., & Hong, H. S. (2015).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s and cultural products with the image of the spring flower on Halla mounta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2), 307-322. doi:10.5850/JKSCT.2015.39.2.307 

  28. Kim, J. S., & Yum, H. J. (2013). The characteristic of eco-friendly trend in fabric since 2000.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7(4), 75-89. doi:10.12940/jfb.2013.17.4.75 

  29. Kim, S. H. (2005). The design development of cultural fashion product: Focused on traditional patchwork clo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0. Kim, S. W. (2016, March 18). "영국 지우고 고사리를 넣자" 뉴질랜드 국기 바뀔까? [Erase the England, Change the New Zeland?]. KBS NEWS, Retrieved December 10, 2016, from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250303 

  31. Ko, J.-H. (2011). A study on galot blouse which is a cultural product of Jeju for women in their twen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32. Ko, K.-R. (2010). A color effects research for strengthening a competition of the traditional dyed clothe 'Gal-Oht'.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4(3), 5-16. 

  33. Lee, A. R., Hong, J.-U., Yang, Y. A., & Yi, E. (2010). Dyeing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ilk fabric with extract of unripe Citrus unshiu fruits. Fibers and Polymers, 11(7), 982-988. doi: 10.1007/s12221-010-0982-z 

  34. Lee, A. R., & Yi, E. (2013). Dyeing of cotton fabrics with the persimmon extract powder: Focused on dye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depending on color characteristic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2(5), 461-476. doi:10.5934/kjhe.2013.22.5.461 

  35. Lee, E.-J., Kim, S. K., & Cho, H.-S. (2007).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al products using persimmon dyei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5(6), 1053-1062. 

  36. Lee, H.-S. (1991). A study on the history and making method of the Cheju Do Gal Ot. Cheju National University Journal, 33, 165-174. 

  37. Lee, S.-H. (2010). Analysis of anti-allergic activities by extracts from persimmon sap-stained rayon and cotton fabrics. Journal of Life Science, 20(5), 794-798. doi:10.5352/JLS.2010.20.5.794 

  38. Lee, S. M. (2016). A study on the culture tourism souvenir use of basalt tex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39.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2014). Developing of using method on by-product of citrus (Report No. PJ008416). Jeonju-si: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40. Oh, C. Y. (2010). Research of Jeju pottery products design using basalt imag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eramic Arts, 6(2), 83-103. 

  41. Park, S. A., & Kim, S. H. (2014). Development of bedding design using natural dying for the elderly people. Korean Science & Art Forum, 18, 273-279. doi:10.17548/ksaf.2014.12.18.273 

  42. Park, S. M., & Yoo, Y. S. (2008). Characteristics of lohas fashion represented green design in 200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2), 307-318. doi:10.5850/JKSCT.2008.32.2.307 

  43. Park, Y.-S. (2013). Design development through natural dyei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1(3), 394-400. doi:10.7741/rjcc.2013.21.3.394 

  44. Son, G. J. (1989). A study of properties of the Korean traditional "Galot". Sejong University Journal, 16(1), 9-32. 

  45. Song, M. J. (2007). A study on the interial ceramic wall decoration: Focused on the nature of Jeju isl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46. Song, M.-Y. (2005). A study on development of Jeju cultural tourism product on motives of Jeju natural resource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ornaments by using Jeju hallan orchids, rape flowers and the image of basalt.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47. Yoon, S. H. (2004).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photograph works for 'Jeju Galot': An overview of photography for the shooting of the 'Mongsangi' editorial fashion photograph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48. You, M. N., & Roh, E. K. (2006). A preliminary study on natural dyeing by the Delphi method (Part III): Developing valuation of natural dy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5), 733-741. 

  49. Yum, M. S. (2015). A study of fashion design utiliz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nimal stripe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7(2), 178-190. doi:10.5805/SFTI.2015.17.2.1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