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남 신안군 지역의 지하수 수질에 대한 해수의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Seawater Effect on Groundwater Quality, in the Region of Sinan-gun area, Jeonam,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8 no.7, 2017년, pp.570 - 580  

신경선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고동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생태연구센터) ,  이정훈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에 국내에서 지하수에 대한 해수의 영향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다도해상의 도서 지역인 전라남도 신안군의 지하수 수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지하수에 대한 해수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지하수의 현장 수질 측정과 주요 용존성분 등을 포함한 수리지구 화학적 인자를 조사하였다. 총 4회에 걸친 현장 수질 측정 결과, $500{\mu}S/cm$ 이상의 높은 전기전도도 값을 나타내는 관정은 163개 중 74개로 나타났으며, 용존이온 분석을 통한 $Cl^-/HCO_3{^-}$ 몰 비로 지하수의 해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심한 영향 및 매우 심한 영향을 의미하는 2.8 이상의 값을 갖는 시료가 74개 중 40개에 해당하였다. 지하수 수질유형의 경우, 직접적인 해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는 Na-Cl 유형과 해수침투에 의한 지하수 진화단계에서 Na-Cl 이전 유형인 Ca-Cl 유형은 암반지하수의 경우 각각 35.3, 44.1%,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경우 52.5, 45%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대수층별 해수의 영향 특성은 각 관정의 해안에서의 거리, 양수량, 조석 등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groundwater quality of Sinan-gun, Jeollanam-do, an island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e effect of seawater on the groundwater quality had not been investigated in the past. In order to evaluate its effect, the hydrogeolo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14) 해수침투로 인한 지하수의 오염 여부가 무척이나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지하수에 대한 해수 영향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다도해상의 도서 지역인 전라남도 신안군에서의 지하수 수질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EC) 측정 및 용존이온 분석을 통하여 연구지역의 지하수 수질에 대한 오염 정도와 주된 오염원을 파악하여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수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지하수는 지구상 담수의 약 98%를 차지하는 수자원으로서 지반안정성과 하천의 유량 유지 및 생태계보전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지표수에 비해 양호한 수질을 갖고 있으며, 기후변화나 환경오염, 그 밖의 외부 스트레스 등에 취약성이 낮아 수자원으로서의 가치가 상당하다(Hyun et al., 2013).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는 인위적 요인에는 어떤게 있을까?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는 인위적 요인으로는 오수 정화조, 위생매립지, 하수의 토양처리 시스템, 광산 처리수, 화학물질의 유출, 해수침투 등이다(Hyunand Moon, 2014). 해수침투(seawater intrusion)는 오랜 가뭄과 지하수 적정 개발량을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양수로 인하여 해수면보다 지하수면이 낮아지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현상으로(Na and Son,2005), 도서지역의 경우 생활용수를 주로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용수의 부족에 따른 지하수의과잉채수와 관리 소홀 등이 해수침투 발생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Shin et al.
신안지역 지하수 시료 측정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신안지역은 생활용수의 수원으로 지하수 의존도가 상당히 높지만, 무계획적이고 산발적인 지하수 개발·관리에 의하여 지역적으로 지하수의 고갈과 수질오염 등이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연구지역 전반에 걸쳐500 µS/cm 이상의 높은 전기전도도 값을 나타내는 관정은 74개 공으로 전체 관정 163개 공의 45%에 해당하였으며, 직접적인 해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는 Na-Cl 유형에 속하는 시료의 비율은 암반 지하수의 경우 35.3%,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경우52.5%로 나타났다. 현장 수질 측정 결과 전기전도도와 총고용물질의 관계는 강한 선형 관계를 보였으며, 관계식의 기울기는 일반적인 자연수의 범위인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rbara, A.D. and Harry, I.N., 1984, Relation ships between groundwater silica, total dissolved solids, and specific electrical conductivity, National Ground Water Association, 22(1), 80-85. 

  2. Chang, S.W., 2014, A review of recent research into coastal groundwater problems and associated case studie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4(4), 597-608. (in Korean) 

  3. Cho, S.H., Kee, W.S., Kho, D.C. et al., Groundwater survey report of Sinan Area.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5-12, 234 p. (in Korean) 

  4. El, M.M., Bou, S.B., Darwish, T., and Atallah, T., 2006, Comparison of different indicators for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seawater intrusion on the Lebanese Coast. Water Resour Manag, 20, 161-180. 

  5. Freeze, F.A. and Cherry, J.A., 1979, Groundwater.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ew Jersey, 102 p. 

  6. Hem, J.D., 1985, Study and interpretation of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water. Water Supply Paper 2254, U.S. Geological Survey. 

  7. Hwang, S.H., Park, K.G., Shin, J.H., and Lee, S.K., 2007,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ndwater resistivity and NaCl equivalent salinity in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s, Korea.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10(4), 361-368. (in Korean) 

  8. Hyun, Y.J., Kim, Y.S., Lee, H.J., and Lee, J.Y., 2013, Environmental Impacts of Deep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in Urban Areas and Policy Suggestion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3-16, 128 p. (in Korean) 

  9. Hyun, Y.J. and Moon, H,J., 2014, Preliminary Study on Environmental Values of Groundwater Resources in Ko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4-10, 35 p. (in Korean) 

  10. Jeen, S.W., Kim, J. m., Ko, K.S., Yum, B.W., and Chang, H.W., 2001,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a mid-western coastal aquifer system, Korea. Geosciences Journal, 5(4), 339-348. 

  11. Jung, Y.Y., Koh, D.C., Yu, Y.J., and Ko, K.S., 2010, Analysis of groundwater flow systems for springs in the southern slope of Jeju Island using hydrogeochemical parameter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6(3), 253-273. 

  12. Kim, C.S., Kim, K.S., Bae, D.S., and Song, S.H., 1997,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awater Intrusion in the Coast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4(2), 61-72. (in Korean) 

  13. Kim, H.J., Hamm, S.Y., Cheong, J.Y., and Lee, J.H., 2009a,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Caused by Seawater Intrusion and Agricultural Activity in Sacheon and Hadong Areas, Republic of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2(6), 575-589. (in Korean) 

  14. Kim, J.H., Kim, R.H., Lee, J., and Chang, H.W., 2003, Hydroge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major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shallow groundwater in the coastal area at Kimje in South Korea. Environmental Geology, 44, 478-489. 

  15. Kim, J.H., Lee, J.H., Cheong, T.J., Kim, R.H., Koh, D.C., Ryu, J.S., and Chang, H.W., 2005, Use of time series analysis for the identification of tidal effect on groundwater in the coastal area of Kimje, Korea. Journal of Hydrology, 300, 188-198. 

  16. Kim, K.H., Shin, J.Y., Koh, E.H., Koh, G.W., and Lee, K.K., 2009b, Sea Level Rise Around Jeju Island due to Global Warming and movement of Groundwater/seawater Interface in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4(3), 68-79. (in Korean) 

  17. Kim, R.H., Kim, J.H., Ryu, J.S., and Chang, H.W., 2006, Salinization properties of a shallow groundwater in a coastal reclaimed area, Yeonggwang, Korea. Environmental Geology, 49, 1180-1194. 

  18. Kim, Y.J., Lee, K.S., Koh, D.C., Lee, D.H., Lee, S.G., Park, W.B., Koh, G.W., and Woo, N.C., 2003b, Hydrogeochemical and isotopic evidence of groundwater salinization in a coastal aquifer: a case study in Jeju volcanic island, Korea. Journal of Hydrology, 270, 282-294. 

  19. Lee, B.J. and Hwang, S.H., 2008,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seawater intrusion based on the groundwater fluctuations: Baksu area, Yeonggwang-gu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4(2), 232-240. (in Korean) 

  20. Lee, J.H., Kim, R.H., and Chang, H.W., 2002, Interaction between groundwater quality and hydraulic head in an area around an underground LPG storage cavern, Korea. Environmental Geology, 13, 901-912. 

  21. Lee, J.H., Kim, J.H., Kim, H.m., and Chang, H.W., 2007, Statistical approach to determine the salinized ground water flow path and gydrogeochemical features around the underground LPG cavern, Korea. Hydrological Processes, 21, 3615-3626. 

  22. Lee, J.Y., Lee, G.S., and Song, S.H., 2007a, An interpretation of changes in groundwater level and eletrical conductivity in monitoring wells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7), 925-935. 

  23. Lee, J.Y. and Song, S.H., 2007, Groundwater chemistry and ionic ratios in a western coastal aquifer of Buan, Korea: implication for seawater intrusion. Geosciences Journal, 11(3), 259-270. 

  24. Lee, Y.H., Hong, W.H., and Lee, J.S., 2014,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water supply through the analysis of emergency water shortage in cut off water supply-prone island a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0(1), 253-260. (in Korean) 

  25. Na, C.K. and Son, C.I., 2005, Groundwater quality and pollution characteristics at Seomjin river basin: Pollution source and risk assessment.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5(3), 261-272. (in Korean) 

  26. Park, Y.Y., Lee, J.Y., Kim, J.H., and Song, S.H., 2012, National scale evaluation of groundwater chemistry in Korea coastal aquifers: evidences of seawater intrusion.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66, 707-718. 

  27. Revelle, R., 1941, Criteria for recognition of sea water in groundwater. Transaction of American Geophysical Union, 22, 593-597. 

  28. Shin, I.H., Park, C.Y., Ahan, K.S., and Jeong, Y.J., 2002, Hydrogeochemistry of Groundwaters at the Gogum island area in Jeonnam,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6), 474-485. (in Korean) 

  29. Song, S.H., Lee, J.Y., and Yi, M.J., 2007, Evaluation of long-term data obtained from seawater intrusion monitoring network using variation typ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4), 478-490. (in Korean) 

  30. Todd, D.K., 1959, Ground Water Hydrolog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31. Youn, J.S. and Park, S.W., 1998,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pring water in Ch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5(2), 66-79.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