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산 및 강염기 토양 유출에 따른 토양의 생태기능 관련 토양특성 변화
Changes in Soil Properties Related to Soil Function due to Chemical Spills with Strong Acid and Base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4 no.4, 2017년, pp.193 - 199  

전인형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정재웅 (안전성평가연구소 경남환경독성본부) ,  남경필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강산 및 강염기 유출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육상생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토양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강산과 강염기 화학물질로 HCl과 NaOH을 선정하였으며 이들 물질을 토양과 반응시킨 후 토양의 토성, 비표면적, 유기물함량, pH, 양이온교환능력 및 치환성양이온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토양과 반응한 HCl 및 NaOH 농도가 각각 10 M과 1 M인 경우 (즉, 토양 1 g 당 50 mmol의 HCl이나 5 mmol의 NaOH가 유입된 경우) 유의한 수준의 토양 특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10 M HCl 및 1 M NaOH 용액과 반응한 토양의 토성은 sandy loam에서 loamy sand로 변하였으며, 비표면적은 $5.84m^2/g$에서 각각 4.85 및 $1.92m^2/g$으로 감소하였다. 토양 유기물 함량은 3.23%에서 0.96 및 0.44%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반응 전 pH 5.05로 약산성인 토양의 pH는 각각 2.35 및 10.65로 변하였다. 토양 내 양이온교환능력은 10.27 cmol/kg에서 4.52 및 5.60 cmol/kg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Na^+$을 제외한 알칼리성 양이온 ($K^+$, $Mg^{2+}$, $Ca^{2+}$)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HCl과 반응한 경우 $Na^+$ 함량은 감소, $Al^{3+}$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반대로 NaOH와 반응한 경우 $Na^+$ 함량은 증가, $Al^{3+}$ 함량은 감소하였다. 높은 농도의 $Al^{3+}$$Na^+$은 각각 토양생물에게 직접적인 독성을 발현하거나 토양의 투수성을 감소시키고 중탄산염의 농도를 증가시켜 독성을 발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강산 및 강염기유출사고로 인하여 변화한 토양특성이 토양의 생태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hanges of soil properties including soil texture, specific surface area, organic matter content, pH,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exchangeable cations content were investigated in response to strong acid or base accident. The properties changed significantly when the soil reacted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강산 및 강염기 물질이 유출되어 토양과 완전히 반응하여 자연 배수된 상황을 모사하고자 하였다. 화학사고 모사를 위하여 토양 50 g과 HCl 용액(0.
  • 따라서 강산이나 강염기로 인한 화학사고가 발생한 경우, 이들 물질의 고유한 유해성으로 인한 인체 및 환경영향 외에도 토양 특성 변화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영향을 평가하는 방안도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향평가 방안의 일환으로 강산이나 강염기 물질이 토양에 유입되었을 때 변할 수 있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유형을 우선적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토양에 강산이나 강염기 물질을 다양한 농도로 주입하고, 농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향평가 방안의 일환으로 강산이나 강염기 물질이 토양에 유입되었을 때 변할 수 있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유형을 우선적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토양에 강산이나 강염기 물질을 다양한 농도로 주입하고, 농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평가한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토양의 입도 분포, 비표면적, 유기물 함량, pH, 양이온 교환능력 (cation exchange capacity, 이하 CEC), 치환성 양이온 중 알칼리성 양이온 (Na+, Ca2+, Mg2+, K+) 및 알루미늄 (Al3+) 이온 함량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이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토양에 강산이나 강염기 물질을 다양한 농도로 주입하고, 농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평가한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토양의 입도 분포, 비표면적, 유기물 함량, pH, 양이온 교환능력 (cation exchange capacity, 이하 CEC), 치환성 양이온 중 알칼리성 양이온 (Na+, Ca2+, Mg2+, K+) 및 알루미늄 (Al3+) 이온 함량이었다.
환경매질이란 ? 국립환경과학원은 「화학물질 위해성평가의 구체적 방법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서 환경매질 (수질, 토양, 퇴적물, 대기 등)에 존재하는 화학물질의 위해성평가를 실시한다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4). 이 지침은 화학물질의 급/만성 인체 및 환경유해성을 파악하며 이를 통하여 위해도를 측정하는 지침이다.
토양생태에서 강산 혹은 강염기와 반응하게 되면 어떻게 되는가 ? 강산 혹은 강염기와 반응한 토양은 모래의 비율이 증가하며 실트와 점토의 비율이 감소하였고 이로 인하여 토성이 변하였다. 또한 동식물의 영양분인 유기물과 알칼리성 양이온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강산과 반응한 토양은 식물독성에 관련된 알루미늄 이온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2017. Minimal Risk Levels (MRLs), available at https://www.atsdr.cdc.gov/mrls/pdfs/atsdr_mrls.pdf. 

  2. Bohn, H.L., McNeal, B.L. and O'Conner, G.A. 2002. Soil Chemistry,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3. Brunauer, S., Emmett, P.H. and Teller, E. 1938. Adsorption of gases in multimolecular layer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60(2): 309-319. 

  4. Conyers, M.K. and Davey, B.G. 1988. Observations on some routine methods for soil pH determination, Soil Science, 145(1): 29-36. 

  5. Hernandez-Soriano, M.C. 2012. The role of aluminum-organo complexes in soil organic matter dynamics, Soil Health and Land Use Management., InTech. 

  6. Hillel, D. and Hatfield, J.L. (Eds.). 2005. Encyclopedia of Soils in the Environment (Vol. 2), Amsterdam: Elsevier. 

  7.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2017. Material safety data sheets - hydrochloric acid, available at http://msds.kosha.or.kr/. 

  8. Lee, C.H. 2013. Recent problems of chemical accidents and prevention measures, Review of Monthly Labor, 18-25. (in Korean) 

  9. Lee, Y.G. 2014. Finding problems and alternatives to chemical spills, Forum of Citizens' Movement for Environmental Justice (2014.5). (in Korean) 

  10. Lin, C. and Coleman, N.T. 1960. The measurement of exchangeable aluminum in soils and clay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24(6): 444-446. 

  11. Miller, W.P. and Miller, D.M. 1987. A micro-pipette method for soil mechanical analysis, Communications in Soil Science & Plant Analysis, 18(1): 1-15. 

  12.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1. Chemical Accident Emergency Response Guide (#11-1480347-0000026-01). (in Korean) 

  13.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7. Chemistry Safety Clearing-house, available at http://csc.me.go.kr/. (in Korean) 

  1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3. A study on the method of environmental impact investigation by accident of acidic chemicals (#11-1480523-001642-01). (in Korean) 

  1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4. Regulation of specific method for risk assessment of chemicals, NIER notification 2014-48. (in Korean) 

  16. Panda, A.K., Mishra, B.G., Mishra, D.K. and Singh, R.K. 2010. Effect of sulphuric acid treatment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aolin clay, Colloids and Surfaces A: Physicochemical and Engineering Aspects, 363(1): 98-104. 

  17. Pandey, A.K., Pandey, S.D. and Misra, V. 2000. Stability constants of metal-humic acid complexes and its role in environmental detoxification,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47(2): 195-200. 

  18. Schollenberger, C.J. and Simon, R.H. 1945. Determination of exchange capacity and exchangeable bases in soilammonium acetate method, Soil Science, 59(1): 13-24. 

  19. Tyagi, Beena, Chintan D. Chudasama, and Raksh V. Jasra., 2006, Determination of structural modification in acid activated montmorillonite clay by FT-IR spectroscopy, Spectrochimica Acta Part A: Molecular and Biomolecular Spectroscopy, 64(2): 273-278. 

  20. Ulrich, B. and Sumner, M.E. (Eds.). 2012. Soil acidit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1. Veihmeyer, F.J. and Hendrickson, A.H. 1949. Methods of measuring field capacity and permanent wilting percentage of soils., Soil science, 68(1): 75-94. 

  22. Walkley, A. and Black, I.A. 1934. An examination of the Degtjareff method for determining soil organic matter, and a proposed modification of the chromic acid titration method, Soil science, 37(1): 29-38. 

  23. Weil, R.R., Brady, N.C. and Weil, R.R. 2016.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Pears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