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입지천을 고려한 낙동강 본류구간의 공간적 수질특성 분석
Spatial Water Quality Analysis of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Considering the Inflow of Tributaries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3 no.6, 2017년, pp.640 - 649  

김소래 (경상대학교 대학원 농공학과) ,  김상민 (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spatial characteristics for the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in consideration of the tributary inflow. The flow and water quality (BOD, TOC, TP) data for 32 monitoring stations located in the main stream and the tributaries of Nakdong 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천 유입에 따른 낙동강 본류의 수질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기간(2003년~2016년)에 대한 수질총량측정지점별 유량 및 수질농도(BOD, TOC, T-P)의최소값, 최대값, 사분위값, 평균값을 산정하였다. 산정 결과는 낙동강 상류에서 하류방향으로 관측소를 정렬한 후 Box plot으로 나타내어 수질항목별 지천의 유입에 따른 본류의 변화 경향을 분석하였다.
  • 6). 이를 통해 낙동강본류로 유입되는 주요 지천별 유량과 수질에 따른 본류의 수질 변화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댐과 보의 상하류의 수질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시하였다. 낙동강 본류 수질악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금호강의 경우, 신천이 합류된 후인 금호C 지점의 농도가 금호A, 금호B에 비해 BOD, TOC, T-P 모두 나쁘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부 물환경정보센터에서 수집한 조사기간(2003년~2016년) 동안의 유량 및 수질항목(BOD, TOC, T-P) 자료를 산술평균하여 수질총량관측지점별 수질농도를 분석한 결과는? 낙동강 본류 및 유입지천, 수질총량관측지점의 공간지형자료를 토대로 낙동강 상류에서 하류방향으로 수질총량관측지점을 정렬 한 후 낙동강 본류와 유입지천으로 구분하여 농도를 분석한 결과 유량은 낙동강 본류 구간에서 평균 269.04 m3/s, 유입 지천 구간에서 평균 27.10 m3/s로 유입지천 유량이 본류 유량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BOD는 낙동강 본류 구간에서 평균 2.12 mg/L, 유입지천 구간에서 평균 1.63 mg/L로 본류 구간의 BOD가 유입 지천 대비 약 1.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OC는 본류 구간에서 평균 3.71 mg/L, 유입 지천 구간에서 평균 3.10 mg/L로 본류 구간의 농도가 유입 지천 농도 대비 약1.2배 높았다. T-P는 본류 구간에서 0.1 mg/L, 유입지천에서 0.09 mg/L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부하량(kg/일)은 농도(mg/L)와 총량(m3/일) * 10-3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가장 높은 오염부하량으로 본류에 영향을 주는 유입 지천은 BOD와 TOC 오염부하량의 경우 남강E지점으로 각각 17,111 kg/일, 22,428 kg/일이며, T-P 오염부하량은 금호C 지점이 1,223 kg/일로 가장 높았다. 낙동강본류에 위치한 관측소별 유량 및 수질항목별 농도는 낙동강 최상류 부근인 낙본B 지점에서 모든 항목이 최소값을 보였고, 최대값은 유량의 경우 낙본M 지점, BOD와 TOC는 낙본N 지점, T-P는 낙본G 지점으로 낙동강 상류에서 하류로 이동할수록 수질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국립환경과학원의 물환경연구소는 단위유역의 기준부하량 준수 여부와 정확한 수질 평가를 위하여 무엇을 운영하였는가?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는 단위유역별 배출부하량을 하천의 환경용량을 고려하여 달성 가능한 허용 총량 이하로 관리하는 유역관리제도로 장기간의 일유량 자료와 이에 해당하는 수질 자료가 필요하다. 국립환경과학원의 물환경연구소는 단위유역의 기준부하량 준수 여부와 정확한 수질 평가를 위하여 2004년부터 단위유역 말단을 대상으로 수질/유량 총량측정망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수질총량측정망 자료는 유량과 수질을 약 8일 간격으로 동시에 측정하고 관측소별 pH, DO, BOD, COD, SS, 총대장균군, 총질소(T-N), 총인(T-P) 등의 수질농도 자료와 유량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NIER, 2015).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란?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는 단위유역별 배출부하량을 하천의 환경용량을 고려하여 달성 가능한 허용 총량 이하로 관리하는 유역관리제도로 장기간의 일유량 자료와 이에 해당하는 수질 자료가 필요하다. 국립환경과학원의 물환경연구소는 단위유역의 기준부하량 준수 여부와 정확한 수질 평가를 위하여 2004년부터 단위유역 말단을 대상으로 수질/유량 총량측정망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hn, J. M., Lee, I. J., Jung K. Y., Kim, J. O., Lee, K. C., Cheon, S. U., and Lyu, S. W. (2016). Characteristics of Trend and Pattern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Data using Seasonal-kendall, SOM and RDA on the Mulgeum in the Nakdong Rive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5(3), 361-372. [Korean Literature] 

  2. Beak, K. H. (2003). Eddiciency of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Lower Nakdong river, 85-2003-3, Busan Develop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3. Hwang, S. J., Bae, H. K., and Kim, H. Y. (2013). The Effect of for Major River Project and Kumho River on Nakdong River's Water Quality-Focused on Kangjung-Koryung Wei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6), 695-703. [Korean Literature] 

  4. Im, T. H. and Son, Y. G. (2016). Water Quality Analysis in Nakdong River Tributarie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5(12), 1661-1671. [Korean Literature] 

  5. Kim, C. W. (2008). Watershed Characteristics Affecting Water Quality in Urban Stream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Korean Literature] 

  6. Kim, K. S. and Choi, K. H. (2016). Drought Response Status of Nakdong River Region in 2015,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9(1), 97-104. [Korean Literature] 

  7. Kim, M. A., Lee, S. Y., Mun, H. S., Cho, H. S., Lee, J. K., and Kim, K. H. (2017). A Nonparametric Trend Tests Using TMDL Data in the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3(1), 40-50. [Korean Literature] 

  8. Lee, H. J., Par, H. K., Lee, J. H., Park, A. R., and Cheon, S. U. (2016). Coliform Pollution Status of Nakdong River and Tributa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2(3), 271-280. [Korean Literature] 

  9. Lee, J. H., Lee, H. J., Park, A. R., and Park, H. K. (2015). Coliform Pollution Status of Tributaries in Nakdong River System, Proceedings of the 2015 Co-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505-506. [Korean Literature] 

  10.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7).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WEIS), http://water.nier.go.kr/waterMeasurement/selectWater.do (accessed Feb. 2017).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7).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Http://www.wamis.go.kr (Accessed Jan. 2017). 

  1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08). Performance on 3 Year Implementation and Future Tasks in the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 11-1480523-000357-0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3. [Korean Literature] 

  1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5). Assessment of Water Quality/Flow Rate Measurement Network for Total Maximum Daily Loads Management (as of 2014), 11-1480523-002420-0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2. [Korean Literature] 

  14. Park, A. R., Lee, H. J., Lee, J. H., and Park, H. K. (2015). Total and Fecal Coliform Pollution changes in Nakdong River, Proceedings of the 2015 Co-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479-480. [Korean Literature] 

  15. Park, T. Y., Kim, S. J., Kim, S. M., and Kim, S. M. (2010).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Observed from Major Water Quality Stations in Nakdonggang Watershed,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4(5), 117-127.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