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상기상탑과 윈드 라이다의 높이별 풍황관측자료 비교
A Comparison of Offshore Met-mast and Lidar Wind Measurements at Various Heights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9 no.1, 2017년, pp.12 - 19  

김지영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김민석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초록

풍력 개발을 위한 해상기상탑은 초기 설치비와 유지보수비가 크기 때문에 윈드 라이다와 같은 원격관측장비를 이용하여 기상탑을 대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기상탑에서 윈드 라이다를 동시 운영하고 수집된 풍속 및 풍향의 관측결과를 상호 비교하여 윈드 라이다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높이별 풍속 및 풍향 관측결과 두 자료간의 크기 및 경향 등의 통계적 특성 차이는 거의 없으며, 기상탑 관측자료는 구조물 차폐영향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는 반면, 윈드 라이다는 오차가 없는 보다 정확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is a need to substitute offshore met-mast with remote sensing equipment such as wind lidar since the initial installation and O&M costs for offshore met-mast are quite high. In this study, applicability of wind lidar is verified by intercomparison test of wind speed and direction data from of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윈드 라이다와 같은 원격장비를 이용할 경우 탑구조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차폐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다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탑 관측자료의 차폐영향 정도를 파악해 보았다. 해모수 1호의 기상탑 평면구조는 Fig.
  • 본 연구에서는 풍력 개발 시 요구되는 특정 고도의 풍황 관측을 기존 기상탑 대신 원격관측장비인 윈드 라이다를 이용하여 수행하기 위하여 해상에서의 관측결과를 비교하였다. 기상탑의 경우 구조물 차폐영향에 의한 관측오차가 발생되며, 자료분석 시 이러한 자료를 배제하여 분석함으로써 정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나, 윈드 라이다를 이용할 경우 풍속 및 풍향의 크기, 편차, 경향 등에 있어 기존 기상탑 풍향·풍속계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관측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구조물에 의한 차폐영향이 없는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이상의 사례로 볼 때 라이다 장비 자체의 관측품질은 타 방식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윈드 라이다를 이용하여 해상기상탑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재검증하고자 해상환경에서 운영하기에 적합한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저전력소모를 특징으로 하는 1차원 수직방향 측정 도플러라이다 방식의 장비를 직접 해상기상탑 플랫폼에서 운영하며 장비 가용률을 확인하고, 기존 기상탑과 신규 라이다의 관측결과를 상호 비교하여 각 관측결과의 정확도를 교차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풍력 개발을 위해서는 어떤 분석이 필요한가? 풍력 개발을 위해서는 사업 타당성 평가 및 기기 설계를 위한 대상 지역의 정확한 높이별 풍황 등의 기상환경 관측과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풍력단지 개발자는 높이 100 m에 이르는 기상탑을 건설하여 장기간 관측을 수행하며, 기상 탑에는 일반적으로 10~20 m 간격으로 각 높이별 풍속계 및 풍향계 등의 계측센서가 설치되어 운영된다.
풍력 개발 시 요구되는 특정 고도의 풍황 관측을 기존 기상탑 대신 원격관측장비인 윈드 라이다를 이용하여 수행하기 위하여 해상에서의 관측결과를 비교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풍력 개발 시 요구되는 특정 고도의 풍황 관측을 기존 기상탑 대신 원격관측장비인 윈드 라이다를 이용하여 수행하기 위하여 해상에서의 관측결과를 비교하였다. 기상탑의 경우 구조물 차폐영향에 의한 관측오차가 발생되며, 자료분석 시 이러한 자료를 배제하여 분석함으로써 정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나, 윈드 라이다를 이용할 경우 풍속 및 풍향의 크기, 편차, 경향 등에 있어 기존 기상탑 풍향·풍속계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관측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구조물에 의한 차폐영향이 없는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윈드 라이다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탑의 차폐 영향에 의한 자료 오차 발생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자료 가용률 측면에서도 관측높이별로 차이가 없이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기상환경 영향에 의한 자료 결측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 원격관측방식의 한계점 또한 보이지 않았다. 다만 본 연구결과는 이용 자료의 기간이 3개월 정도밖에 되지 않아 1년 이상의 장기간 자료를 확보하여 계절영향 및 대기환경 조건 등에 따른 자료 가용률 변화 등에 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풍력 개발을 위한 해상기상탑은 초기 설치비와 유지보수비가 크기 때문에 무엇으로 대체할 필요가있나? 풍력 개발을 위한 해상기상탑은 초기 설치비와 유지보수비가 크기 때문에 윈드 라이다와 같은 원격관측장비를 이용하여 기상탑을 대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기상탑에서 윈드 라이다를 동시 운영하고 수집된 풍속 및 풍향의 관측결과를 상호 비교하여 윈드 라이다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IEC (2005). IEC 61400-12-1: Wind turbines - Power performance measurements of electricity producing wind turbines, Edition 1.0. 

  2. Kim, D., Kim, T., Oh, G., Huh, J. and Ko, K. (2016). A comparison of ground-based LiDAR and met mast wind measurements for wind resource assessment over various terrain conditions. Journal of Wind Engineering and Industrial Aerodynamics, 158, 109-121. 

  3. Kim, H.-G., Kim, D.-H., Jeon, W.-H. and Choi, H.-J. (2011). Comparative validation of WindCube LIDAR and Scintec SODAR for wind resource assessment - Remote sensing campaign at Jamsil. New & Renewable Energy, 7(2), 43-50. 

  4. Kim, J.-Y. and Kim, K.-Y. (2016). Reconstructing long-term wind data at an offshore met-mast location using cyclostationary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s. Journal of Wind Engineering and Industrial Aerodynamics, 156, 146-158. 

  5. Kim, M. S., Kim, J. Y., Kwak, J. Y. and Kang, K. S. (2015). Analysis of working time at the test site of southwest offshore wind project in Korea based on weather window.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7(5), 358-363. 

  6. Ko, D. H., Jeong, S. T., Cho, H., Kim, J. Y. and Kang, K. S. (2012). Error analysis on the offshore wind speed estimation using HeMOSU-1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4(5), 326-332. 

  7. Kumer, V.-M., Reuder, J. and Furevik, B. R. (2014). A comparison of LiDAR and radiosonde wind measurements. Energy Procedia, 53, 214-220. 

  8. Measnet (2016). Evaluation of site-specific wind conditions, Version 2. 

  9. Schmitt, C., Wagner, L. and Boquet, M. (2013). Measuring wind profiles in complex terrain using doppler wind LiDAR systems with $FCR^{(TM)}$ and CFD implementations. EWEA 2013. 

  10. Westerhellweg, A., Canadillas, B., Beeken, A. and Neumann, T. (2010). One year of lidar measurements at FINO1-Platform: Comparison and verification to met-mast data. 10th German Wind Energy Conference DEWEK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