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문 및 토양환경을 고려한 수변식생군락 조성 모델 - 대청호 저수지를 사례로 -
The riparian vegetation community models according to hydrologic and soil environments - Case of Daecheongho lake reservoirs -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9 no.1, 2017년, pp.144 - 154  

박미옥 (나사렛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변식생은 코리도형 생태계로서 수생태계와 육상생태계 사이의 전이지대이며,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연계를 통해 생태계 건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변생태계는 서식처, 종의 공급원과 수요처, 이동통로, 필터와 장벽 등의 기능을 갖는다. 본 연구는 표준생태계의 식생구조를 바탕으로 저수지 수위변동구간의 수문환경 및 토양환경을 고려하여 도입 가능한 식생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사도 10%이내의 완경사지를 중심으로 식생모델 적용 대상지 2개소를 선정하였다. 수변식생 모델은 GIS분석과 위성영상, 현지조사 결과에 따라 수위 및 침수빈도, 토양 및 지형인자, 토지피복(이용) 형태를 기준으로 구축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변식생 도입 가능구역으로는 계획홍수위 지점에서 만수위의 -5m 지점까지로 하였다. 둘째, 식재를 위한 수변지역 경사도는 $10^{\circ}$ 이하이다. 셋째, 연평균 100일 침수까지 생육 가능한 수종은 버드나무, 왕버들, 갯버들 등이다. 넷째, 토지피복(이용) 형태에 따라 야생초지(개여뀌, 이삭사초, 강아지풀, 가막사리, 물억새, 갈대, 망초, 달맞이꽃 등), 묵논(기존 경작지), 밭(기존 경작지)으로 분류하였다. 다섯째, 수변식생 기능을 생태경관림으로 설정하여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청호 2개소를 선정하여 모델식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수변식생 모델은 저수지 및 하천 수변식생대의 생태적 기능과 경관성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iparian vegetation is one of corridor type ecosystems, an ecotone and able to improve the ecological soundness by structural and functional link. And they act as habitats, sources and sinks of species, conduits, filters and barri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vegetation model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표준생태계의 식생구조 및 수위변동구간의 수문 환경 및 토양환경을 고려하여 도입 가능한 식생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이다. 수위변동구간은 에코톤으로서 생태적으로 중요한 구간임에도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인 원인에 의해 식생이 제거되거나 훼손되어 생태적 기능이 저하된 실정이므로 이 구간을 생태적으로 복원함으로써 수생태계에서 육상생태계에 이르는 횡적 연결성을 확보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 본 연구에서 제안된 수변식생대 모델은 저수지 및 하천 수변식생대의 생태적 기능과 경관성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행과정 및 방법론은 다른 저수지 수위변동구간 및 하천, 기타 수생태계의 유사한 생태적 속성을 지닌 구간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생태적 단절을 최소화하고 횡적, 종적 연결성을 증대하여 국토 전체의 생태적 연결성과 순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출발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이러한 전제 아래 본 연구는 표준생태계의 식생구조를 바탕으로 저수지 수위변동구간의 수문환경 및 토양환경을 고려하여 도입 가능한 생태경관 식생모델을 구축함으로써 수변식생대의 생태적 기능과 경관성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변식생이란? 수변식생은 코리도형 생태계로서 수생태계와 육상생태계 사이의 전이지대이며,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연계를 통해 생태계 건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변생태계는 서식처, 종의 공급원과 수요처, 이동통로, 필터와 장벽 등의 기능을 갖는다.
수변생태계가 갖는 기능은? 수변식생은 코리도형 생태계로서 수생태계와 육상생태계 사이의 전이지대이며,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연계를 통해 생태계 건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변생태계는 서식처, 종의 공급원과 수요처, 이동통로, 필터와 장벽 등의 기능을 갖는다. 본 연구는 표준생태계의 식생구조를 바탕으로 저수지 수위변동구간의 수문환경 및 토양환경을 고려하여 도입 가능한 식생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위변동구간 생태계를 유지하거나 생태적으로 복원할 때 고려할 점은? 그러나 이와같이 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한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경우 이 구간의 식생이 인위적으로나 자연적인 원인에 의해 제거 또는 훼손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수위변동구간 생태계를 유지하거나 생태적으로 복원함으로써 녹지자연도의 증가와 토양침식방지, 물질생산 및 분해능력 증진, 오염물질의 제거, 야생동물의 서식처 제공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렇게 수생태계의 생태적 관리를 위해서는 물의 흐름에 따라 이루어지는 종적 생태계 연결성과 아울러 수생태계-수변생태계-육상생태계-주변 토지이용으로 연결되는 횡적 생태계 연결성을 모두 고려해야 하며, 또한 지하수 및 토양과 연계되는 수직적 생태계 연결과 시간적 흐름에 따라 생태적 형성과정에 의해 변화하는 천이 등 시간적 생태계 연결성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yley, PB (1995). Understanding large river-floodplain ecosystems. BioScience, 45, pp. 153-158. 

  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3e ed., Springer, Wien-New York, 865 p. 

  3. Byun, MS, Lee, MW, Koo, BH (2001). Ecological monitoring methods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planning in dam reservoirs : case of Yongdam dam watersheds, 2001 Summer Symposium of KSERT, pp. 60-64. [Korean Literature] 

  4. Choi, H, Park, PS, Kim, JG, Suh, SE (2010). Change of the vegetation due to Soyanggang dam construction, J. of Korean Wetlands Society, 12(3), pp. 1-13. [Korean Literature] 

  5. France, RL (2003). Wetland Design, W. W. Norton. 

  6. Kang, SH, Kim, HG, Koo, BH (2007). A study on changing of flora pre and post of restoration in Cheonggyechon Stream, J. of the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0(3), pp. 8-13. 

  7. Kim, JM, Kim, CS, Park, BK (1987). The law of vegetation investigation - The law of phytosociological study-, Ilsinsa., Seoul. Korea. 

  8. Kim, HG, Koo, BH (2010). Floral changes during three years after Cheonggyecheon restoration, J.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3(6), pp. 107-115. [Korean Literature] 

  9. Kim, HD & Koo, BH (2016) The Vegetation Health Assessment in riparian vegetation of lake reservoirs, J.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9(6), pp. 111-121. [Korean Literature] 

  10. Koo, BH (1997). An ecological restoration methods of the water level fluctuation areas of slope of dam reservoirs, J. of Daejeo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n Literature] 

  11. Koo, BH (2013).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floral changes of 5 years after restoration of Cheonggyecheon stream in Korea, Advanced Materials Research, vol. 726-731, pp. 1548-1554. 

  12. Koo, BH, Kim, GG (1999). Constructing the functional models of wetland biotopes:Focused on the Bangdong wetland. J.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2(2), pp. 1-8. [Korean Literature] 

  13. Koo, BH. Leem, WR. Park, MO (2014). The flooding toleranc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2 woody species by flooding durations for aquatic ecosystem restoration, Advanced Materials Research, Vol. 842, pp. 729-732. 

  14.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05). Wildlife Habitat Environment Design Guidelines. 

  15.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04-2006).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Variation of Slope Water Level in Dam Reservoir, K-water. 

  16. Kwon, HJ (2011). Selection of Plants for Constructing Wetlands on the Rooftop Greening, MS Thesis, Sam Yook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17. Lee, CB (2006). Primary Illustrated Book of the Korean Flora, Hyang Mun Society. [Korean Literature] 

  18. Lee, SD, Kim SC (2008). Studies on the ecological management and stream environment in Dorim stream for establishing eco-wetland parks, J. of Korean Wetlands Society, 10(3), pp. 133-139. [Korean Literature] 

  19. Lowrance R, Leonard R, Sheridan J (1985). Managing riparian ecosystems to control nonpoint pollution, J. of Soil Water Conservation, January-February, pp. 87-91. 

  20. MOCT (2007). Criteria for Tree Planting and Management in Rivers, MOCT. [Korean Literature] 

  21. Mueller-Dombois, D,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s of Begetation Ecology, John Wiley & Sons Inc. 

  22. Park MO, Kim HN, Koo BH (2009).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Assessment of Inland Wetlands in Chungnam Province, J.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2(5), pp. 92-100. [Korean Literature] 

  23. U.S.EPA (2002). Methods for Evaluating Wetland Condition: Using Vegetation To Assess Environmental Conditions in Wetlands, Office of Water,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EPA-822-R-02-020. 

  24.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1988). National List of Plant Species That Occur in Wetlands:1988 National Summary, Biological Report, 88(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