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취업여성 일-가족 양립에 따른 전이유형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Identifying Latent Groups in Married Working Women's Work-Family Spillover and Testing the Difference of Mental Health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5 no.1, 2017년, pp.13 - 26  

하여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atent groups depending on married working women's work-family spillover. The effects of factors that determine mental health subgroups and differences were also analyzed. Mixture modeling was applied to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to achieve th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아가 일과 가족의 긍·부정적 전이 양상에 따른 잠재집단별 정신건강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스트레스와 우울의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려 한다.
  • 이 연구에서는 일과 가족의 전이유형에 따른 잠재집단을 도출하고, 이러한 잠재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일과 가족 전이유형의 잠재집단별 스트레스와 우울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 우울증 환자가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특성을 연구한 Lee 등[38]에 따르면 개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유형(빈도와 위협도)에 따라 우울증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맥락적 평정법을 활용하여 스트레스를 최근 6개월 이내에 일어난, 시작과 끝이 분명한, 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삽화적 생활사건과 생활의 여러 영역에서 일어나며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되고 있는 만성적 스트레스로 구분하여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때, 삽화적 생활사건과 만성적 스트레스의 빈도와 각 스트레스의 위협도를 측정하였으며, 만성적 스트레스의 경우 생활의 어떤 영역(남편, 친구, 가족, 자녀, 직업, 재정, 건강, 가족건강)에서 발생한 스트레스인지도 세분화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여성가족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취업기혼여성들의 일과 직장에서의 긍·부정적 전이의 실제 양상에 따른 잠재집단을 도출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일과 가족의 전이유형에 따른 잠재집단을 도출하고, 이러한 잠재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일과 가족 전이유형의 잠재집단별 스트레스와 우울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여성가족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여성의 일과 가족의 긍·부정적 전이정도에 따른 잠재집단을 도출하는 인간중심적인(person-oriented)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변수 중심적(variable-oriented) 방법을 활용한 분석에서 살펴보기 어려웠던 실제 기혼취업여성들의 일과 가족에서의 실제 전이 양상에 따른 유형을 탐구하고, 각각의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직장 측면에서의 변수들을 탐구하고자 한다.
  • 즉,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 성과로 일에서 가정, 가정에서 일로의 긍·부정적 전이를 분류하여 각각의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각각의 전이에 따른 효과를 변수중심적 접근(variable-oriented approach)으로 살펴보았다면, 이 연구에서는 실제 기혼취업여성들의 일과 가족 사이의 전이 양상에 관심을 둔 인간중심적 접근(personoriented approach)을 시도함으로써 현실에서 발생되고 있는 전이 양상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7%를 차지하는 집단으로 직장 일에서 가정으로, 가정에서 일로의 긍정적 전이와 부정적인 전이가 전체 집단 중 가장 평균적인 수준에 가까운 중간 수준 전이 집단이다. 두 번째 집단은 전체의 10.0%를 차지하는 집단으로 일에서 가정으로, 직장 일과 가족사이의 긍정적 전이와 부정적 전이가 전반적으로 모두 높은 고수준 전이 집단이다. 세 번째 집단은 전체의 26.
  • 최종모형으로 확정된 네 개의 잠재집단의 구성은 Table 4에 제시한 바와 같다. 첫 번째 집단은 전체의 55.7%를 차지하는 집단으로 직장 일에서 가정으로, 가정에서 일로의 긍정적 전이와 부정적인 전이가 전체 집단 중 가장 평균적인 수준에 가까운 중간 수준 전이 집단이다. 두 번째 집단은 전체의 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의 추세는?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노동통계조사 자료에 의하면 만 15세에서 64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으며,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여성경제활동 참가율 또한 2013년에 50.2%,2014년 51.3%, 2015년 51.8%로 꾸준한 증가추세에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의 증가는 생산가능 노동력의 제고로 인한 경제성장률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28].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의 증가로 인해 기대되는 것은? 8%로 꾸준한 증가추세에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의 증가는 생산가능 노동력의 제고로 인한 경제성장률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28]. 그러나 우리나라 30대 여성들의 경제활동참가율은 OECD 평균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이는 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현상으로 진단되고 있다[28].
우리나라 30대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이 OECD 평균에 비해 낮은 이유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의 증가는 생산가능 노동력의 제고로 인한 경제성장률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28]. 그러나 우리나라 30대 여성들의 경제활동참가율은 OECD 평균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이는 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현상으로 진단되고 있다[28]. 이에 기혼취업여성들에 대한 건강과 복지에 대한 관심의 요구가 증가하면서 일과 가족 양립을 위한 가족친화적 직장문화 조성, 모성보호, 보육지원 등의 정책적인 노력들이 확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n, Y. S., Kim, H. J., Lee, H. J., & Ha, Y. J. (2016). The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of married career women: Focuising on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home factors, office worker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7(1), 157-185. https://doi.org/10.22143/hss21.7.1.9 

  2. Asparouhov, T., & Muthen, B. (2008). Multilevel mixture models. In G. R. Hancock & K. M. Samuelson (Eds.), Advances in latent variable mixture models (pp. 27-51).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Publishing. 

  3. Chin, M. (2015). Work-family spillover of married working women by employment statu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3(5), 25-35. https://doi.org/10.7466/jkhma.2015.33.5.25 

  4. Choi, B. R., Park, S. J., & Choi, S. C. (2010). The impact of married worker's work-family conflict and problem drinking on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3(1), 53-74. 

  5. Choi, H., & Jeong, C. (2014).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domestic female workers' work-family spillover factors. The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28), 65-92. 

  6. Choi, S. M. (2006). Confucian public order, culture, and democracy.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7. Frone, M. R. (2000). Work-family conflict and employee psychiatric disorders: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5(6), 888-895. https://doi.org/10.1037//0021-9010.85.6.888 

  8. Frone, M. R., Russell, M., & Cooper, M. L. (1992). Prevalence of work-family conflict: Are work and family boundaries asymmetrically permeabl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3(7), 723-729. https://doi.org/10.1002/job.4030130708 

  9. Greenglass, E. R. (1985). Psychological implications in the sex bias in the workplace. Academic Psychology Bulletin, 7(2), 227-240. 

  10. Greenhaus, J. H., & Beutell, N. J. (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1), 76-88. https://doi.org/10.5465/amr.1985.4277352 

  11. Greenhaus, J. H., & Powell, G. N. (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1), 72-92. https://doi.org/10.5465/amr.2006.19379625 

  12. Grzywacz, J. G., & Makrs, N. F. (2000). Reconceptualizing the work-family interface: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correlates of positive and negative spillover between work and famil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111-126. https://doi.org/10.1037//1076-8998.5.1.111 

  13. Ha, O. R., & Kwon, J. H. (2006). Mental health and role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Role conflict, perfectionism, and family/spouse support.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5(3), 675-696. 

  14. Haar, J. M., & Bardoel, E. A. (2008). Positive spillover from the work-family interface: A study of Australian employees. Asia Pacific Journal of Human Resources, 46(3), 275-287. https://doi.org/10.1177/1038411108095759 

  15. Han, G., & Cha, S. (2004). Work/family role qualities, work/family spillover, and mental health: A gender comparison. Family and Culture, 16(3), 105-130. 

  16. Han, G., & Kim, J. (2003). Gender differences in work and family spillover. Korean Journal of Sociology, 37(3), 57-81. 

  17. Jang, J., & Kim, H. (2003).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job attitude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9(1), 23-42. 

  18. Jang, Y. O., & Jeong, S. L. (2012). The influences of variables related to family and employment on work.family spillover in working wives with childre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0(5), 75-88. https://doi.org/10.7466/jkhma.2012.30.5.075 

  19. Jeong, S. H. (2001). An analysis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degree of the role conflict and the likelihood of exits of the labor force of working wiv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3), 35-45. 

  20. Jeong, Y. K. (2005). A study on work-family conflict and spillover of married working wome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4), 113-122. 

  21. Jo, J. E. (2009). Problems in the policie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and their improvement plan. Seoul: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22. Kim, H. (2003). Work-family balance.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3. Kim, H., & Cha, O. (2010). Work-family spillover in female workers: How their personal and workplace situations affect the work-family relationship.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34(2), 69-104. 

  24. Kim, H. D., & Kim, M. H. (2011). The effect of confucian philosophy and gender egalitarian ideology on the work-family balance of married working women: Husband & working conditions as partners. The Women's Studies, 81(2), 33-67. 

  25. Kim, H. W., & Yoo, T. Y. (2009). The effects of job-related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the influences of work-family confli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engagement.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2(2), 155-182. 

  26. Kim, I. S., & Lee, D. M. (2009).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supportive environments in reducing work-family conflict.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19(2), 67-94. 

  27. Kim, J. H., & Han, G. H. (2002). Gender differences in work-family spillove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11), 55-69. 

  28. Kim, M. J. (2013). Positive effects of increasing economic activities for women. Weekly Economic Review, (539), 1-14. 

  29. Kim, S. K. (2011). The effects of Korean working mothers' characteristics on work-family positive spillover and negative spillover.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33), 69-94. https://doi.org/10.16975/kjfsw.2011..33.003 

  30. Kim, S. Y., Lee, S., Park, E. K., Son, S. Y., Yun, S., & Park, H. (2012). Work family conflict, emotional exhaustion and task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36(3), 103-133. 

  31. Kinnunen, U., Feldt, T., Geurts, S., & Pulkkinen, L. (2006). Types of work-family interface: Well-being correlates of negative and positive spillover between work and family.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47(2), 149-162. https://doi.org/10.1111/j.1467-9450.2006.00502.x 

  32.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06).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33. Lee, J., & Jang, M. H. (2004). Implications for the work-family interface: Changing workplace. Economy and Society, (64), 172-206. 

  34. Lee, J. K., & Lee, E. (2003). Generational differences in work and family interface among married women. Women's Studies Review, (20), 39-69. 

  35. Lee, S. I., Lee, S. H., & Kwon, Y. I. (2007). Influence of family support and family-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s on employed mothers'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2(3), 29-57. 

  36. Lee, S. M., & Lim, J. H. (2015). Effects of temperament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2), 121-135. 

  37. Lee, Y. H., Bang, M. J., & Oah, S. Z. (2005). The effect of family 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focused.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8(3), 639-657. 

  38. Lee, Y. L., Kwon, J. H., & Lee, M. S. (2009). Stress and relapse depressive middle-aged women: Focused on stress evaluation by contextual approach.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9(2), 35-47. 

  39. Lim, S. L., Kim, J. H., Lee, D. S., & Kim, E. (2000). Women's job stress, coping resources and mental health: In the sample of female office workers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6), 999-1009. 

  40. Ma, G. H. (2004). Division of household work of the dual earner couples. Journal of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Symposium, 119-144. 

  41.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2014). Evaluation of legislation about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law and reduction of working time during child care for work and family life reconciliation. Seoul: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42. Park, C., & Lee, J. (2011).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depression of Korean adult male and female. Health and Social Science, (29), 99-128. 

  43. Park, K. N. (2009).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ime conflict of married women workers between work and family: Focusing on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groups and gender role attitudes.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25(2), 37-71. 

  44. Perry-Smith, J. E., & Blum, T. C. (2000). Work-family human resource bundle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3(6), 1107-1117. https://doi.org/10.2307/1556339 

  45. Ryu, I. L. (2009). Work-to-family spillover of working mother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groups. Issues in Feminism, 9(2), 119-156. 

  46. Song, J. E., Marks, N. F., & Han, G. H. (2007). Work, family, work-family spillover and mental health among working adults: A comparison of data from National Surveys in Korea and the U.S. Family and Culture, 19(2), 61-92. 

  47. Thomas, L. T., & Ganster, D. C. (1995).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1), 6-15. https://doi.org/10.1037//0021-9010.80.1.6 

  48. Vernarec, E. (2001). How to cope with job stress. RN, 64(3), 44. 

  49. Voydanoff, P. (2005). Work demands and work-to-family and family-to-work conflict: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Journal of Family Issues, 26(6), 707-726. https://doi.org/10.1177/0192513x05277516 

  50. Westman, M. (2001). Stress and strain crossover. Human Relations, 54(6), 717-751. https://doi.org/10.1177/00187267015460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