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동차를 주제로 SCIE 및 SSCI 저널에 게재한 논문데이터를 활용한 시계열 분석과 국제특허분류(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이하 IPC) 별 특허 데이터를 활용한 시계열 분석과 노드엑셀을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2001년에서 2014년까지의 전기자동차의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특허와 논문 데이터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기술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예측기법 중 하나인 가중이동평균법으로 전기자동차의 유망 요소기술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기자동차 요소기술 중 배터리 기술이 유망한 기술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esearch / technology trends of electric vehicles from 2001 to 2014, through keyword analysis using paper data published in SCIE or SSCI Journal on electric vehicles, time series analysis using patent data by IPC, and network analysis using nodeXL. also we predicted promising technologies of electric vehicles using one of the prediction methods, weighted moving average method. As a result of this study, battery technology among the electric vehicle component technologies appeared as a promising technolog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네트워크 구성 및 분석 단계에서는 각 특허의 메인 IPC와 관련 IPC 데이터와의 네트워크를 노드엑셀을 활용하여 구성하고 분석하는 단계이다. 각 노드의 연결정도(Degree)와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로 각 IPC가 전기자동차 전체 특허에 주는 영향력을 분석하려한다.
기존 연구들은 특허 출원의 통계 수치를 통한 예측을 위주로 하였다면 본 연구는 특허만이 아닌 논문 데이터 비교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 및 시계열 예측 기법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전기자동차 관련 기술 동향 분석 및 예측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순수 전기자동차를 대상으로 특허와 논문 데이터를 활용하여 키워드 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전기자동차 기술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유망 기술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전기자동차 |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하는 전기자동차가 부상하게 된 이유는 어떤 것이 있는가? |
전 세계적으로 온실 가스 배출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수송(Transport) 분야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1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수송 분야에서 도로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즉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수송 분야의 72%를 차지하고 있고 더욱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자동차에 대한 규제는 시간이 갈수록 더욱 심화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온실 가스 배출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수송(Transport) 분야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1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수송 분야에서 도로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즉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수송 분야의 72%를 차지하고 있고 더욱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자동차에 대한 규제는 시간이 갈수록 더욱 심화되고 있다[1]. |
오바마 정부 | 과거 오바마 정부는 전기자동차를 늘리기 위해 어떤 정책을 펼쳤나? |
2015년까지 전기자동차 100만 대 보급을 목표로 설정하고 구매자에게 7,500달러의 세금공제 혜택
미국은 1980년대 후반부터 전기자동차 사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정부가 전기자동차 기술 개발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또한 최근 오바마 정부는 2015년까지 전기자동차 100만 대 보급을 목표로 설정하고 구매자에게 7,500달러의 세금공제 혜택을 주고 있다. 일본은 전기자동차 시장을 선점하여 2030년 친환경자동차 보급률을 20~30% 높일 계획을 세우고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고 있다[4]. |
내연기관 자동차 | 내연기관 자동차와 온실가스 배출량 관계는? |
내연기관 자동차에 대한 수요 및 생산이 증가할수록 온실가스 배출량은 더욱 증가될 것
2015년 글로벌 자동차 생산량이 9,000만 대의 규모로 최근 10년간 연간 자동차 생산량이 36%이상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2]. 내연기관 자동차에 대한 수요 및 생산이 증가할수록 온실가스 배출량은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며, 온실가스 배출량 및 자동차 연비 규제와 같은 환경정책의 규제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 수많은 규제 및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확대하고 있다[3].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