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마을운동 기간에 조림·육종·사방 기술 연구개발이 우리나라 산림녹화 성공에 미친 기여도 고찰
Contribution of Tree Plantation, Tree Breeding and Soil Erosion Control Techniques Developed During Saemaul Undong Periods to the Successful Forest Rehabilit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6 no.4, 2017년, pp.371 - 379  

이돈구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대학원) ,  권기철 (산림조합중앙회 해외산림개발실) ,  강규석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초록

본 연구는 새마을운동 기간에 개발된 조림, 육종 및 사방 기술 개발이 우리나라 국토녹화 과정에 미친 공헌을 규명하기 위해 산림분야 학술지의 문헌을 고찰하고 산림녹화 사업에 참여한 임업인을 인터뷰하였다. 우리나라 국토녹화 사업은 1970년대에 새마을운동과 함께 본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당시 연구 개발된 조림, 육종 및 사방 기술의 현장 보급을 통해 산사태 방지와 조기 녹화를 달성할 수 있었다. 새마을운동 당시 조림, 육종 및 사방 기술 연구는 대부분 황폐된 산지의 조기 복구에 집중되었다: 조림 기술 연구는 번식 양묘와 특수조림; 육종 기술 연구는 도입 선발 교잡 및 배수체육종, 내병 내충성 육종; 사방 기술 연구는 산지 야계 해안 사방에 집중되었다. 조림, 육종 및 사방 기술 연구는 새마을운동과 연계되어 지역주민의 일자리 창출, 소득 증진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우리나라의 조림, 육종 및 사방 연구 기술을 기반으로 한, 국토녹화 성공사례는 산림이 심하게 훼손된 북한 및 개발도상 국가들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of tree plantation, tree breeding and soil erosion control techniques developed during Saemaul Undong periods to the successful forest rehabilit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We surveyed a various literature of forest journals and had deep inte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및 한국전쟁 등을 거치면서 황폐화된 우리나라 산림을 복구하는데 있어, 새마을 운동 기간에 개발된 조림, 육종 및 사방 기술이 우리나라 산림녹화 성공에 어떤 기여를 하였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가설 설정

  • 또한 1973년에는 산림청을 농림부에서 내무부로 이관하였는데, 산림복구 사업은 내무부에서 1972년 시작한 사회개혁운동인 새마을운동과 연계되어 추진되었다(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2016). 새마을운동을 통한 대대적인 조림 사업과 지역주민들의 아궁이 개량 사업, 무연탄 공급, 그리고 현사시 등 품종개량 기술의 적용이 불가능할 것으로 여겨졌던 산림복원을 성공시킬 수 있었을 것이다. 오늘날 UNESCO 세계기록유산이기도 한 1970년대의 새마을운동에서 황폐된 산림의 복구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사방 조림이란? 해안사방 조림이란 바닷바람, 풍랑, 해일 등으로부터 인명과 농경지, 농작물 등의 보호와 해안침식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해안과 인접한 평야지대와 내륙에 접한 모래사장 가장자리에 나무와 풀을 심어 숲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조성된 숲을 해안방풍림이라고 하며, 유사한 용어로 비사(飛砂)방비림, 조해(潮海)방비림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새마을운동의 의의는? 또한 1973년에는 산림청을 농림부에서 내무부로 이관하였는데, 산림복구 사업은 내무부에서 1972년 시작한 사회개혁운동인 새마을운동과 연계되어 추진되었다(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2016). 새마을운동을 통한 대대적인 조림 사업과 지역주민들의 아궁이 개량 사업, 무연탄 공급, 그리고 현사시 등 품종개량 기술의 적용이 불가능할 것으로 여겨졌던 산림복원을 성공시킬 수 있었을 것이다. 오늘날 UNESCO 세계기록유산이기도 한 1970년대의 새마을운동에서 황폐된 산림의 복구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었다.
과거 우리나라의 산림은 어떠하였는가? 우리나라의 산림은 일제강점기(1910∼1945)와 한국전쟁(1950∼1953)을 겪으면서 심하게 황폐되었다(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2012). 1950년대 평균 임목축적은 5.7 ㎥/ha로서 2015년 146 ㎥/ha의 약 4% 수준에 불과했다(Korea Forest Service, 2016). 산림 훼손으로 홍수와 가뭄의 발생 기간이 짧아지고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막대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가 발생되었다(Lee et al., 2015). 1950년대 이후에도 사회적 혼란과 빈곤 그리고 행정력 부재 등으로 산림에 대한 관리가 소홀하여 남아 있는 산림의 파괴는 계속되었다(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2016). 특히, 1950년대 당시 땔감과 먹거리를 위한 불법 벌채가 만연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Chung, D.Y. and Lee, K.J. 1994. Effects of clones, ortet age, crown position, and rooting substance upon the rooting of cuttings of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S. et Z. Gordon).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3(2): 205-2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ung, I.K. 1973. Studies on the method of ground vegetation establishment of denuded forest land in the mudstone region - The characteristics of mudstone and speeded - up reforestation.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9 : 1-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K. and Ryu, T.K. 1979. Effect of humus soil and native soil mixed fertilizer or compost on growth of vegetation in denuded forest land. Report of Forest Research Institute 26: 105-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Forest for Life. 2007. Forest of Chosun. Geobook. Seoul. pp. 999. (In Korean) 

  5. Gyeongsangbuk-do. 1999. The 100 Year History of Soil Erosion Control in Gyeongbuk Province. Gyeongsangbuk-do. pp. 1004. (In Korean) 

  6. Gyeongsangbuk-do Forest Environment Institute. 2008. The 100 Year History of Forest Environment in Gyeongbuk Province. Gyeongsangbuk-do Forest Environment Institute. pp. 576. (In Korean) 

  7. Hong, S.C. 1979. Effect of rooting generation upon water relations of cutting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41: 53. (In Korean) 

  8. Hong, S.C. 2016. Techniques of sanddune revegetation, Daegwallyeong special plantation, and Young-il soil erosion control. pp. 5. (In Korean) 

  9. Hong, S.C., Lee, J.W. and Kim, Y.H. 1978. Review on the protection of soil erosion control area - Focused on Young-il soil erosion control district.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37: 69-70. (In Korean) 

  10. Hong, S.O. 1969. Effects of physiological factors on rooting of pine cuttings. Research Report of the Institute of Forest Genetics 7: 1-34. (In English with Korean abstract) 

  11. Hyun, S.K. 1981. My resume. Hankookilbo (April 3 to July 22). (In Korean) 

  12. Hyun, S.K. and Koo, Y.B. 1981. Breeding of the resistant clone for Korean pine blister rust. Research Report of the Institute of Forest Genetics 17: 3-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Institute of Forest Genetics. 1996. The 40 Year History of Tree Breeding Technique. pp. 535. (In Korean) 

  14. Kang, W.P. 1971. Studies on properties of degraded soil in Granite. Research Report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3: 1-10. (In Korean) 

  15. Kang, W.P. 1981. Elimination of labor by forestry mechanization - Focused on the soil erosion control.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54 : 103-110. (In Korean) 

  16. Kim, C.H. and Nam, J.C. 1985. Effects of Some Environmental Factors on Japanese Yew (Taxus cuspidata Sieb. et Zucc.).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70: 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C.S. and Lee, S.K. 1972. Studies on a tetraploid of Robinia pseudoacacia L . selected in the planted forest.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4: 39-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oo, Y.B. and Hyun, J.O. 1986. Effects of ortet age, plant growth regulators, and bedsoil upon the rooting of cuttings of Pinus koraiensi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72: 59-60. (In Korean) 

  19.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6. The 50 Year History of Tree Breeding Techniqu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459. (In Korean) 

  20. Korea Forest Service. 1997. The 50 Year History of Korea Forestry Policy. Korea Forest Service. pp. 807. (In Korean) 

  21. Korea Forest Service. 2006. The 100 Year History of Soil Erosion Control in Korea. Korea Forest Service. pp. 838. (In Korean) 

  22. Korea Forest Service.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Vol. 46. Korea Forest Service. pp. 414. 

  23. Lee, C.Y., Chun, K.W., Kim, J.S., Park, J.S., Youn, H.J., Lee, C.W. and Jeong, Y.H. 2007. Changes in soil erosion control works and research during 100 years and future tasks. Journal of Forest Science 70: 1-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Lee, D.K. 1970. A physiological comparison of pine gall midge attack in Pinus densiflora and Pinus rigida. Research Report of the Institute of Forest Genetics 8: 33-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ee, D.K., Lee, S.K. and Hong, S.H. 1981. Characteristics related to pine gall midge attack in resistant or susceptible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 Korean Journal of Breeding 13(2): 145-150. (In English with Korean abstract) 

  26. Lee, I.H. 1970. Studies on improvement of soil control measures. Sabang Seminar 1: 139-156. (In Korean) 

  27. Lee, I.H. 1971. Studies on improvement of design guidelines and measures for forest erosion control. Sabang Seminar 2: 49-106. (In Korean) 

  28. Lee, K.J. 1979. Influential factors on strobilus initiation in pines. Research Report of the Institute of Forest Genetics 15: 45-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Lee, K.J., Youn, Y.C., Choi, I.H., Koo, C.D., Kim, U.K. and Kim, S.B.. The 70 Year History of Forest Rehabilitation in Korea.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Press. Gyeonggi. pp. 159. (In Korean) 

  30. Lee, S.W. and Lee, T.S. 1976. A study on erosion control effect of soil and water storable pit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31: 43-47. 

  31. Lee, T.S. 1975. Studies on sequential construction method. Sabang Seminar 6: 199-213. (In Korean) 

  32. National Forest Seed and Variety Center. 2016. Status of the plus tree selection. http://www.forest.go.kr/newkfsweb/ (2016. 7. 22.) (In Korean) 

  33.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2012. The 50 Year History of Forestry Cooperatives.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pp. 645. (In Korean) 

  34.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2016. Sanrimji. http://www.sanrimji.com (2016. 7. 22.) (In Korean) 

  35. Park, K.S. 1967. Studies on the juvenile tissue grafting of some-special-use-trees I. -On the juvenile tissue grafting of some crop-tree-species (walnut, chestnut, ginkgo and oak). Research Report of the Institute of Forest Genetics 5: 75-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Pyeongchang National Forest Management Office. 2016. Status of the special plantation in Daegwallyeong. (In Korean) 

  37. Ryu, T.K. 1977. Development of revegetation measures in rock slopes. Sabang Seminar 8: 223-253. (In Korean) 

  38. Ryu, T.K., Choi, K. and Lee, T.S. 1978. Studies on the proper amount of fertilizers in the denuded forest land. Report of Forest Research Institute 25: 5-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Ryu, T.K. and Joo, J.S. 1978. Studies on revegetation measures in rock slopes. Report of Forest Research Institute 25: 329-3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0. Ryu, T.K., Kim, T.H. and Choi, K. 1980. Tree species, planting ratio and planting density used in afforestation of land subject to erosion control. Report of Forest Research Institute 28: 165-1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1. Wiley, H.A. 1962. Wonder pine tree from Korea. Congressional record of Wisconsin A5500, July 18, 1962. 

  42. Woo, B.M. 1971. Studies on soil conservation effects of the straw-mat mulchings (I) - Vegetation establishment and erosion control effect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3(1): 67-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3. Woo, B.M. 1972. Characteristics of the Mass Soil Movement Event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5(1): 49-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4. Woo, B.M. 1975. Studies on the landscape conservation measures of the radial roadsides in Seoul a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28(1): 67-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5. Woo, B.M. 1976. Studies on the effects of several factors on soil erosion.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29(1): 54-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6. Woo, B.M. 1978. Studies on the bare rock-slope conservation measures (I) - Conservation and revegetation by Parthenocissus spp.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37: 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7. Woo, B.M., Yim, K.B. and Lee, S.W. 1979. Studies on the landslides and its control measures in Anyang a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39: 1-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8. Youn, J.H. 1976. Forestry mechanization for soil erosion control projects. Sabang Seminar 7: 173-202. (In Korean) 

  49. Yu, J.K. and Ryu, T.K. 1974. Studies on the method of ground vegetation establishment of denuded forest land. Report of Forest Research Institute 21: 271-3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