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침엽수 및 활엽수림의 고사율 추정식 개발
Development of Estimated Equation for Mortality Rates by Forest Type in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6 no.4, 2017년, pp.450 - 456  

손영모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전주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이선정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임종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강진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침엽수와 활엽수림에서 발생하는 고사율(고사 입목의 재적량, %) 추정식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고사율 추정을 위하여 적용한 모형은 지수식, Hamilton식 등 6개식이었으며, 이용한 변수는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지위지수 등이었다. 고사율 추정에 이용한 원자료는 5차 및 6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였으며, 표본점별 고사목과 생존목의 재적량 비로서 고사율을 산정하였다. 적용한 식 중 침엽수와 활엽수의 고사율을 가장 잘 설명하는 식은 $P=(1+e^{(a+b{\times}DBH+c{\times}BA+d{\times}no\_ha+e{\times}density)})^{-1}$의 형태를 갖는 식이다. 침엽수는 약 34%, 활엽수는 약 51%의 적합도를 나타냈다. 두 식 모두 적합도가 높게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임목 고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지리적 환경, 토양, 기상, 지위, 경쟁 등 너무나 다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분석에 이용한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등 2~3개의 변수로 산림 내 고사를 설명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임상별 고사율 정보가 없는 현시점에서는 본 연구의 가치는 있다고 생각되며 추후 수관울폐도, 경쟁지수 등을 변수로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고사율 추정식의 정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stimated equation for mortality rates (volume of dead trees, %) on coniferous and broad-leaved forests, representative forest types of South Korea. There were 6 equation models applied for estimating mortality such as a exponential equation, a Hamilton equatio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침엽수와 활엽수림을 대상으로 흉고단면적, 지위지수, 입목밀도 등을 변수로 갖는 고사율 추정식을 도출하여, 산림관리에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서는 국가차원에서 OECD 등의 고사율 및 고사량 통계 제시 요구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경영을 위한 임분의 밀도관리는 어떻게 행하여지는가? 탁월한 산림경영을 위해서는 종간 또는 종내 경쟁을 사전에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임분의 밀도관리가 필요하다. 밀도관리를 위해 가장 우선시되는 방법은 인위적 간벌(솎아베기)이며, 임내에서는 자기 스스로 간벌(self-thinning) 즉, 고사가 일어나나 이는 자연적인 밀도관리이므로 대경재 수확 또는 균질한 목재 수확을 위해서는 인위적인 간벌을 유도하는 수 밖에 없다.
산림경영의 목적은? 최적의 산림경영은 낭비가 없는 임목생육 공간을 만들어 임목을 생장시키고 또한 이를 관리하여 최종적으로 질 높은 목재를 생산하는 것이 하나의 큰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산림은 다양한 종이 집단을 이루며 생장하므로 이들 간에는 개체목의 광합성 작용 유지 및 종족 보존 등을 위하여 생활의 공용자원을 치열하게 확보·확장하려고 한다.
산림경영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은? 탁월한 산림경영을 위해서는 종간 또는 종내 경쟁을 사전에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임분의 밀도관리가 필요하다. 밀도관리를 위해 가장 우선시되는 방법은 인위적 간벌(솎아베기)이며, 임내에서는 자기 스스로 간벌(self-thinning) 즉, 고사가 일어나나 이는 자연적인 밀도관리이므로 대경재 수확 또는 균질한 목재 수확을 위해서는 인위적인 간벌을 유도하는 수 밖에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ikman, D.P. and Watkinson, A.R. 1980. A model for growth and self-thinning in even-aged monocultures of plants. Annals of Botany 45: 419-427. 

  2. Clutter, J.L., Fortson, J.C., Pienaar, L.V., Brister, G.H. and Bailey, R.L. 1983. Timber management: A quantitative approach. John Wiley & Sons. pp. 333. 

  3. Drew, T.J. and Flewelling, J.W. 1977. Some recent japanese theories of yeild-density relationships and their application to monterey pine plantations. For. Sci. 23: 517-534. 

  4. Eid, T. and Tuhus, E. 2001. Models for individual tree mortality in Norway.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54: 69-84. 

  5. Hamilton, D.A. 1974. Event probabilities estimated by regression. USDA For. Serv., Res. pap. INT-152. 

  6. Hamilton, D.A. and Edwards. B.M. 1976. Modelling the probability of individual tree mortality. USDA For. Serv., Res. Pap. INT-185. 

  7. Hann, D.W. 198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ven- and uneven-aged ponderosa pine/ Arizona fescue stand simulator. USDA. For. Serv., Res. pap. INT-267. 

  8. Kramer, H. 1977. Die qualitatsentwicklung junger kiefernbestande in abhangigkeit vom ausgangsverband. FoHo 32, 469-476. 

  9. KFS (Korea Forest Service. 2016. Data base of national forest inventory. Inner information. 

  10. Lonsdale, W.M. 1990. The self-thinning rule: dead or alive? Ecology 71:1373-1388. 

  11. Monserud, R.A. and Sterba, H. 1999. Modeling individual tree mortality for Austrian forest specie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13: 109-123. 

  12. NiFo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5. Development of dynamic growth model in major species. Inner information. 

  13. Reineke, L.H/ 1933. Perfecting a stand density index for even-aged stands. J. Agric. Res. 46: 627-638. 

  14. Sit, V. and Poulin-Costello, M. 1994. Catalogue of curves for curve fitting. Ministry of Forests Research Program, Province of British Columbia. pp. 110. 

  15. Smith, N.J. and Hann, D.W. 1984. A new analytical model based on the -3/2 power rule of self-thinning. Can. J. For. Res. 14: 605-607. 

  16. Vanclay, J.K. 1994. Modelling forest growth and yield: Applications to mixed tropical forests. CAB International. pp. 312. 

  17. White, J. 1981. The allometric interpretation of the self-thinning rule. J. Theoretical biology 89: 475-500. 

  18. Yim, K.B. et al. 1985. A principle of silviculture. Hyang Mun Co. pp. 491. 

  19. Yoda, K., Kira, T., Ogawa, H. and Hozami, K. 1963. Self thinning in overcrowded pure stands under cultivated and natural conditions. J. Biol. 14: 107-1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