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짐특성과 관련된 정량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현장에서 채취된 여러 종류의 흙에 대한 입도분포 및 소성도에 따른 다짐특성을 파악하고, 인위적으로 조성한 입상체 흙에 대하여 A, D다짐에 따른 다짐특성 관계를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 최대 건조단위중량은 점토질 흙이 모래질 흙과 자갈질 흙에 비해 약 10% 작게 나타났다. 또한 점토질 흙의 최적함수비는 모래질 흙에 비해 약 20%, 자갈질 흙에 비해 약 30%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200체 통과량은 30~50%, 모래 함유량은 30~60% 정도에서 다짐특성의 뚜렷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에 따른 다짐특성은 유사한 변화특성을 나타내었고, 세립토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다짐특성이 뚜렷하지 않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인위적으로 조성된 입상체 재료와 현장재료의 다짐 특성은 거의 유사한 변화특성을 보였다. 한편 D다짐에 비해 A다짐이 최대건조단위중량은 약 10% 작게, 최적함수비는 약 20% 크게 나타났으며, 최대건조단위중량과 최적함수비가 커질수록 그 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o provide quantitative data related to compaction characteristics, identifies the compaction characteristics of various types of soil samplers, in relation to their particle-size distribution and plasticity degree, and the compaction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ly created granular m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S F 2312에서는 몰드의 크기와 해머무게의 조합에 따라 다짐방법을 A, B, C, D, E의 5가지 방법으로 나누고, A와 B방법은 표준다짐시험과 같은 다짐에너지를 사용하며, C, D, E방법은 수정다짐과 같은 다짐에너지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짐에너지에 따른 특성을 연구 하기 위해서 A, D다짐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흙의 구성, 소성도, 다짐에너지에 따른 다짐특성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고, 소규모 공사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다짐 관련 정량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그로 인해 소규모 도로 및 제방 등의 현장에서는 정확한 다짐관리를 위해 실내시험과 현장시험을 통한 다짐시험을 수행함으로써 필요 이상의 다짐에 대한 경비와 시간이 소요되는 경향이 없지 않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다양한 종류의 흙에 대해서 실내다짐시험을 실시하여 입도 분포 및 소성도에 따른 다짐특성을 파악하고, 또한 다짐종류에 따른 다짐특성관계를 파악하여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다짐시험이 수행되는 공사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에서 D다짐을 일부 수행하지 않은 이유는? D다짐은 A다짐에 비해 다소 번거롭고, 시험시간도 많이 걸림으로 본 연구에서는 357개의 자연시료에 대해서는 D다짐을 수행하지 않았다. 따라서 다짐에너지에 따른 다짐특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인위적인 혼합비에 의해 별도의 15개 입상체를 구성하여 A, D다짐을 실시하였다.
흙에 대한 다짐특성의 변화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일반적으로 흙에 대한 다짐특성은 점토질, 모래질, 자갈질의 구성성분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보이며, 물리적 특성에 따라서도 다짐특성의 변화가 나타난다. 다짐에 대한 연 구는 Jonson & Sallberg(1960)가 다짐시험을 통해 여러 종류의 흙에 대한 표준화된 다짐곡선을 제시하였고, Lee & Suedkamp(1972)도 35종류의 흙에 대한 A다짐시험을 수행 하여 4가지 형태의 다짐곡선을 예측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래 질 성분의 흙이 현장에서 유용할 수 있는 이유는? 이와 같은 결과에 의해 점토질 및 자갈질 성분의 흙은 모래 질 성분의 흙보다는 다짐특성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다짐효과는 #200체 통과량이 30∼50% 정도 함유된 모래질 흙에서 뚜렷한 특성 변화를 보였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결과에 의해 현장에서 유용할 수 있는 다짐에 유리 한 흙은 모래질 흙임을 알 수 있고, 점토질과 자갈질 흙은 크게 다짐특성 변화를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 다. 즉, 적절한 양의 모래질 성분의 함유에 따라 현장 다짐에 따른 지반특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inkulkijniwat, A., Man-Koksung, E., Uchaipichat, A. and Horpibulsuk, S. (2010), Compaction characteristics of non-gravel and gravelly soils using a small compaction apparatus, Journal of ASTM International, Vol. 7, No. 7, pp. 1-15. 

  2. Gurtug, Y. and Sridharan, A. (2004), Compaction behaviour and prediction of its characteristics of fine grained soil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compaction energy, Soil and Foundation, Vol. 44, No. 5, pp. 27-36. 

  3. Johnson, A. W. and Sallberg, J. R. (1960), Factors that influence field compaction of soils, Highway Research Board Bulletin, No. 272, pp. 206. 

  4. KS F 2312 (2001), Standard test method for soil compaction using a rammer, https://standard.go.kr/KSCI/standardIntro/getStandardSearchView.do 

  5. Lee, J. H., Hwang, B. S., Chae, D. H. and Cho, W. J. (2015), Evaluations on the compaction energy effects on the soil compaction at sub-zero temp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6. No. 8, pp. 13-18 (in Korean). 

  6. Lee, K. W. and Suedkamp, R. J. (1972), Characteristics of irregularly shape compaction curvers of soils, Highway Research Record, No. 381,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Washington, D.C., pp. 1-9. 

  7. Lim, J. H. (2007), Application of Ohio compaction curve in Korea using compaction test results of subgrad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pp. 6-44 (in Korean). 

  8. Pandian, N. S., Nagaraj, T. S. and Manoj, M. (1997), Reexamination of compaction characteristics of fine grained soils, Geotechnique, Vol. 47, No. 2, pp. 363-366. 

  9. Park, J. H. (2010), A study on evaluation of compaction ratio using 10% air voids line,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pp. 36-51 (in Korean). 

  10. Ring III, G. W., Sallberg, J. R. and Collins, W. H. (1962), Correlation of compaction and classification test data, Highway Research Board Bulletin, No. 325, pp. 577-587. 

  11. Seo, J. W., Choi, J. S., Kim, J. M., Roh, H. S. and Kim, S. I. (2003), Fundamental study for compaction methods by mechanical tests,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ol. 5, No. 4, pp. 23-35 (in Korean). 

  12. Sridaran, A. and Nagaraj, H. B. (2005), Plastic limit and compaction characteristics of fine-grained soils, Ground Improvement, Vol. 9, No. 1, pp. 17-22. 

  13. Sridharan A., Rao, S. M. and Joshi, S. (1990), Classification of expansive soils by sediment volume method, Geotechnical Testing Journal, Vol. 3, No. 4, pp. 375-3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