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거수 수령 추정을 위한 지역별 연륜연대기 구축 및 활용
Establishing Local Master Ring-Width Chronologies and Their Utilization for Estimating The Age of Big Old Trees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1, 2017년, pp.85 - 95  

오정애 (한국임업진흥원 목재산업본부 시험평가실) ,  서정욱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목재.종이과학) ,  김병로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목재.종이과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연륜연대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노거수 수령의 정확한 추정을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충청북도 괴산군(CBGS), 전라남도 구례군(JNGR), 경상북도 울진군(GBUJ)이며, 수종은 각 지역의 보호수로 지정된 느티나무와 소나무로 하였다. CBGS, JNGR, GBUJ에서 채취한 느티나무는 각각 12, 8, 6본이며, 소나무는 각각 10, 3, 9본이다. 시료(생장편)는 생장추(직경 5.2 mm)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정확한 연륜측정을 위해 느티나무는 활주식 마이크로톰으로 횡단면을 절삭하였으며, 소나무는 사포를 이용하여 횡단면을 연마하였다. 연륜폭은 이용하여 0.01 mm 정확도로 측정하였다. 느티나무의 경우 CBGS와 GBUJ에서 203 (1813~2015)년의 연륜연대기가 작성되었으며, JNGR에서는 175 (1841~2015)년의 연륜연대기가 성공적으로 작성되었다. 소나무의 경우 CBGS, JNGR, GBUJ에서 각각 154(1862~2015)년, 175 (1841~2015)년, 250 (1776~2015)년의 연륜연대기가 성공적으로 작성되었다. 느티나무와 소나무의 지역별 대표연륜연대기를 상호 비교한 결과 대부분 낮은 t 값과 Glk 값을 보여 대표연륜연대기 상호간 일치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50년 평균 기온과 강수량 분포도를 지역별 대표연륜연대기와 비교한 결과, 지역별 대표 연륜연대기 패턴은 온도보다 강수량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연륜연대학적 방법을 이용한 정확한 수령추정을 위해선 강수량이 고려된 지역별 대표연륜연대기가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at more precisely estimating the age of big old trees using dendrochronological method. Gesan-gun in Chungbuk (CBGS), Gurye-gun in Jeonnam (JNGR) and Uljin-gun in Gyeongbuk (GBUJ) were study areas and Zelkova serrata (ZS) and Pinus densiflora (PD) selected as protected trees there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거수의 정확한 수령 추정에 있어 제한요소가 되는 부후, 미세연륜, 위연륜, 실연륜, 불연속륜들을 해결하기 위해 연륜연대학에서 활용되는 크로스데이팅(crossdating) 방법을 적용 및 활용하고자 우리나라 대표 보호수인 느티나무와 소나무의 지역별 대표연륜연대기를 작성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거수는 무엇인가? 노거수는 수령이 오래된 거목으로 예로부터 우리의 삶을 함께해 온 역사적 가치가 높은 수목이다. 이러한 이유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역사적 가치가 높은 노거수를 천연기념물이나 보호수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크로스데이팅은 무엇인가? 각 연륜에 정확한 생성 연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연륜의 연간 변동패턴을 비교하여 일치도를 확인하는 크로스데이팅(crossdating)을 실시하였다(Fritts and Swetnam, 1989; Park and Seo, 2000). 크로스데이팅은 연륜연대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계값인 t 값(식 (1))과 Glk 값(식 (2))(Ecstein and Bauch, 1969)을 활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최종 결정은 연륜 연대기 그래프 비교를 활용한 육안관찰법으로 실시하였다.
수목의 수령을 추정하는 방법 중 가장 정확한 방법과 그 특징은? , 2007) 등이 있다. 연륜관찰법은 모든 방법들 중에 가장 정확한 방법으로, 생장추를 이용하여 추출된 생장편으로부터 연륜을 관찰하여 수령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노거수처럼 수간 내부가 부후되어 있을 경우에는 연륜관찰이 어려워 정확한 수령 추정이 불가능하다. 지절관찰법은 수목의 수간에 남아 있는 지절을 이용하여 소나무, 잣나무, 가문비 등과 같이 고정생장을 하는 수종의 수령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Eckstein, D., Bauch, J. 1969. Beitrag zur Rationalisirung eines dendrochronologischen Verfahrens und zur Analyse seiner Aussagesicherheit. Forstwissenschaftliches Centralblatt 88(1): 230-250. 

  2. Fritts, H.C., Swetnam, T.W. 1989. Dendroecology: a tool for evaluating variations in past and present forest environments. Advances in Ecological Research 19: 111-188. 

  3. Grissino-Mayer, H.D., Sheppard, P.R., Cleaveland, M.K., Cherubini, P., Ratcliff, P., Topham, J. 2010. Adverse implications of misdating in dendrochronology: addressing the re-dating of the "Messiah" violin. Dendrochronologia 28: 149-159. 

  4. Gutsell, S.L., Johnson, E.A. 1996. How fire scars are formed: Coupling a disturbance process to its ecological effect.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6: 166-174. 

  5. James H.S. 2010. Fundamentals of Tree-ring Research. The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cson. 

  6. Jung, J.S. 2008. A study on the surgery condition and conservation management measures in old trees. Sangmyung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7. Kim, E.-S. 2003. Age and radial growth patterns of a lace-bark pine (Pinus bungeana), the Natural Monument No. 4 of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6(1): 34-38. 

  8. Korea forest service.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16. Korea forest service. pp. 202-203. 

  9. Lee, K.J. 2014. An introduction to forest science. Hyangmunsa Press, Seoul, Korea. 

  10. Park, W.-K., Seo, J.-W. 2000. Reconstruction of May-June precipitation (253 years: A.D. 1746-1998) in east-coastal region (Yungdong) of Korea from tree rings of Pinus densiflora S. et Z.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4(2): 87-99. 

  11. Park, W.-K., Kim, Y., Han, S.H. 2014. Dendrochronological dating for the Gwanghanru Pavilion, Namwon, Korea.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7(1): 152-163. 

  12. Schweingruber, F.H. 1988. Tree Rings: Basics and Applications of Dendrochron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 276. 

  13. Son, Y.M. 2004. Forest tree resources analytic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4. Son, Y.M., Lee, K.H., Kim, R.H., Bae, S.W., Park, B.S. 2007. Age Measurement of Tre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5. Yee, S., Bae, S.W. 2005. Study on age measurement and growth condition of old and large trees in changdeokgu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2): 19-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