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ybrid LED용 적색 유기형광체의 합성 및 특성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Red Organic Phosphor for Hybrid LED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0 no.1, 2017년, pp.48 - 53  

이승민 (부경대학교 LED융합공학전공) ,  정연태 (부경대학교 LED융합공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report the studies on the red organic phosphor by using perylene bisimide derivatives. Even though perylene bisimide derivatives have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luminous efficiency, they have low solubility in organic solvents. In this research, modified perylene bisimide derivative, N,N'-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연구 보고와 열 안정성과 용해도 특성이 우수한 저분자 적색 유기형광체의 구조를 설계하여 합성하고자 하였다 [6,7]. Perylene bisimide의 기본적인 구조의 bay 위치에 phenoxy기를 도입하여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고, 흡수파장 영역을 장파장 이동시켜 hybrid LED용 적색 유기형광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커지면 열 안정성이 증가하고, 원자량이 큰 원자가 존재하면 스핀-오비탈 커플링에 의하여 발광효율이 증진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perylene bisimide의 imide 구조에 있는 벤젠 고리에 원자량이 큰 브롬을 도입하여 열 안정성과 발광효율을 증진시키고자 시도하였다 [8].
  • Perylene bisimide의 기본적인 구조의 bay 위치에 phenoxy기를 도입하여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고, 흡수파장 영역을 장파장 이동시켜 hybrid LED용 적색 유기형광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커지면 열 안정성이 증가하고, 원자량이 큰 원자가 존재하면 스핀-오비탈 커플링에 의하여 발광효율이 증진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perylene bisimide의 imide 구조에 있는 벤젠 고리에 원자량이 큰 브롬을 도입하여 열 안정성과 발광효율을 증진시키고자 시도하였다 [8].
  • 하지만 PMMA 필름 내에서 1C의 열 안정성은 다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perylene bisimide 유도체가 hybrid LED용 유기형광체로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열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연구를 계속 수행하고자 한다.
  • 이렇게 합성한 perylene bisimide 유도체에 대하여 열 안정성, 발광특성 및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측정하여 hybrid LED용 적색 유기형광체로서의 응용 가능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이와 같은 연구 보고와 열 안정성과 용해도 특성이 우수한 저분자 적색 유기형광체의 구조를 설계하여 합성하고자 하였다 [6,7]. Perylene bisimide의 기본적인 구조의 bay 위치에 phenoxy기를 도입하여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고, 흡수파장 영역을 장파장 이동시켜 hybrid LED용 적색 유기형광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색광 LED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은? 대부분의 조명용 LED는 백색광이 요구되며, 이러한 백색광 LED를 구현하기 위하여 몇 가지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a) 빛의 삼원색의 LED를 조합하여 백색광을 구현하는 방법, (b) UV-LED chip에서 방출되는 높은 에너지의 광을 형광체가 흡수하여 삼원색을 발광하여 백색을 구현하는 방법, (c) GaN (gallium nitride) 계열의 Blue LED chip과 YAG계 형광체인 노란색을 이용하여 백색을 구현하는 방법이 있다. (b), (c)의 방식은 downconversion유형을 사용하여 백색광을 구현하며, 일반적으로 이 방식에 무기형광체가 사용되어 왔다 [1].
LED의 장점은? LED (light emitting diode)는 친환경, 저전력 소비, 우수한 발광효율 등의 장점이 있어 핵심 광원으로 각종 조명, 디스플레이, 조선해양, 의료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조명용 LED는 백색광이 요구되며, 이러한 백색광 LED를 구현하기 위하여 몇 가지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무기형광체를 사용하여 백색광을 구현하는 방식의 문제점은? (b), (c)의 방식은 downconversion유형을 사용하여 백색광을 구현하며, 일반적으로 이 방식에 무기형광체가 사용되어 왔다 [1]. 하지만 무기형광체를 사용하여 백색광을 구현하는 방식은 높은 제조 단가, 대량 생산에 부적합한 제조 공정 등의 문제점이 있다 [2]. 이러한 무기형광체 이용의 단점으로 무기형광체 대신에 유기형광체를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G. Singh and D. S. Mehta, J. Opt., 15, 2040 (2013). [DOI: https://doi.org/10.1088/2040-8978/15/2/025710] 

  2. S. B. Raut, S. J. Dhoble, and R. G. Atram, Adv. Mat. Lett, 2, 373 (2011). [DOI: https://doi.org/10.5185/amlett.2011.3075am2011] 

  3. J. Choi, C. Sakong, J. H. Choi, C. Yoon, and J. P. Kim, Dyes and Pigments, 90, 82 (2011). [DOI: https://doi.org/10.1016/j.dyepig.2010.11.006] 

  4. E. Kozma, W. Mroz, and F. Galeotti, Dyes and Pigment, 114, 138 (2015). [DOI: https://doi.org/10.1016/j.dyepig.2014.11.009] 

  5. Z. Yuan, J. Li, Y. Xiao, Z. Li, and X. Qian, J. Org. Chem., 75, 3007 (2010). [DOI: https://doi.org/10.1021/jo100231j] 

  6. K. Baek and Y. T. Jeong,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25, 140 (2012). [DOI: http://dx.doi.org/10.4313/JKEM.2012.25.2.140] 

  7. K. S. Park and Y. T. Jeong,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24, 398 (2011). [DOI: 10.4313/JKEM.2011.24.5.398] 

  8. C. Fan and C. Yang, Chem. Soc. Rev., 43, 6439 (2014). [DOI: https://doi.org/10.1039/C4CS00110A] 

  9. P. Wehrmann and S. Mecking, Oranometallics, 27, 1399 (2008). [DOI: https://doi.org/10.1021/om700942z 

  10. W. G. Choi and Y. T. Jeong,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26, 528 (2013). [DOI: http://dx.doi.org/10.4313/JKEM.2013.26.7.528] 

  11. C. Zhao, Y. Zhang, R. Li, X. Li, and J. Jiang, J. Org. Chem, 72, 2402 (2007). [DOI: https://doi.org/10.1021/jo062150j]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