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추부 불안정성을 가진 요통환자의 요추부 안정화 운동과 둔근 강화 운동이 통증, 기능장애 및 심리사회수준에 미치는 효과 비교연구
Comparison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and Gluteal Strengthening Exercises on Pain, Disability and Psychosocial Factors in Low Back Pain Patients with Lumbar Instability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3 no.2, 2017년, pp.33 - 44  

전지혜 (다빈치병원 물리치료실) ,  김선엽 (대전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glute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are widely used to treat for lower back pain patient.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glute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on chronic lower back pain with lumb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요통환자의 장애 특성을 분류하는 것이 중요하고, 특히 요추부에 불안정성 여부를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치료방법을 특성화하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대되어지고 있다(Lee와 Kim, 2015a).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추부 불안정성을 가진 만성요통 환자들을 대상으로 요부 안정화운동과 둔근 근력강화운동을 실시하였고, 두 중재법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통증수준, 요부 기능장애수준, 심리사회적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 그러나 요부 불안정성을 가진 요통환자에게 쉽게 적용할 수 있고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진 요부 안정화운동과 둔근 근력 강화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임상적으로 요부 안정성에 더 효과적인지 그 영향을 구체적으로 비교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요추부 불안정성을 가진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요부 안정화운동과 둔부 근력강화운동 프로그램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만성 요통에 대한 운동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의 필요성을(Cooper 등, 2016)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요추부 불안정성을 가진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요부 안정화운동을 실시한 LSE군과 둔근 근력강화운동을 실시한 GSE군으로 구분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자 이 연구를 하게 되었다.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요추부의 불안정성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단지 통증수준이나 요부 기능장애지수의 측면만으로 요통의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연구가 많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요통 환자들에게 시행하는 여러가지 치료방법중 가장 효과가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 만성요통 환자들에게 재활의학과에서 흔히 시행하는 치료방법들 중 약물치료와 주사 및 척추 시술을 제외한 일반적인 물리치료(온열치료, 초음파, 전기치료), 도수치료, 요추보조기, 행동치료, 운동치료를 적용한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재활치료 방법 중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은 운동치료로 2~3개월에 걸친 지속적인 치료는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통증의 호전과 기능의 향상을 보이며 이러한 효과는 1년 이상 장기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Chung, 2007).
요추 안정화 운동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널리 알려진 요추 안정화 운동의 예로는 소위 트렁크 컬(trunk curl), 죽은 벌레(dead bug) 운동, 네발 다리서기(quadruped) 운동, 교각 운동 등이 있다(McGill, 1998). Chan 등(2011)과 Kendall 등(2015)은 요통 환자의 고관절 운동 범위에 대한 제한은 건강한 사람과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체간의 안정성을 담당하는 안정화 근육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요통 환자들은 요통이 없는 사람들 보다 심부 근육이 약하다고 하였다(Oddsson와 Luca, 2003). 체간의 안정성을 담당하는 안정화 근육에는 다열근, 복횡근, 골반저근, 횡격막, 흉요근막 등이 있으며(Cresswell 등, 1994), 특히 복횡근은 체간의 모든 빠른 동작을 수행할 경우 수축을 일으키는데 체간의 움직임을 일으키는 근육들 보다 먼저 수축을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글로벌 척추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예, 척추기립근, 외복사근)과 심부 척추 근육의 수축을 촉진하는 운동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Hebert 등, 2011), 이러한 근육 강화를 위한 다양한 요추 안정화 운동이 요통 치료를 위한 수단으로 개발되었고, 교각운동은 일반적으로 요통 환자들에게 사용되는 심부 근육의 평가 및 교육 시에 제공된다(Lehman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iely S, Smith SS, Silfies SP. Clinical Instability of the Lumbar Spine: Diagnosis and Intervention. Orthopaedic Practice. 2006;18(3):11-18. 

  2. Borg G. Psychophysical scaling with applications in physical work and the perception of exertion. Scand J Work Environ Heal. 1990;16(SUPPL 1):55-58. 

  3. Chan CW, Mok NW, Yeung EW. Aerobic exercise training in addition to conventional physiotherapy for chronic low ba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11;92(10):1681-1685. 

  4. Chung SG. Rehabilitative treatments of chronic low back pain. J Korean Med Assoc. 2007;50(6):494-506. 

  5. Comerford MJ, Mottram SL. Functional stability re-training: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managing mechanical dysfunction. Man Ther. 2001;6:3-14 

  6. Cooper NA. Gluteus medius dysfunction in chronic low back pain. Theses and dissertations. Doctor of philosophy degree in physical rehabilitation science in the graduate college of the university of Iowa. 2017. 

  7. Cooper NA, Scavo KM, Strickland KJ, et al. Prevalence of gluteus medius weakness in people with chronic low back pain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Eur Spine J. 2016;25(4):1258-1265. 

  8. Cresswell AG, Oddsson L, Thorstensson A. The influence of sudden pertubations on trunk muscle activity and intra-abdominal pressure while standing. Exp Brain Res. 1994;98:336-341. 

  9. Demoulin C, Distree V, Tomasella M, et al. Lumbar functional instability: A critical appraisal of the literature. Ann Readapt Med Phys 2007;50:677-684. 

  10. Fairbanks JCT, Davies JB, Couper J, et al.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questionnaire. Physiotherapy. 1980;66(2000):271-273. 

  11. Ferrari S, Vanti C, Piccarreta R, et al. Pain, disability, and diagnostic accuracy of clinical instability and endurance tests in subjects with lumbar spondylolisthesis. J Manipulative Physiol Ther. 2014;37(9):647-659. 

  12. Hanada EY, Hubley-Kozey CL, McKeon MD, et al. The feasibility of measuring the activation of the trunk muscles in healthy older adults during trunk stability exercises. BMC Geriatr. 2008;8:33. 

  13. Marshall PWM, Patel H, Callaghan JP. Gluteus medius strength, endurance, and co-activation in the development of low back pain during prolonged standing. Hum Mov Sci. 2011;30(1):63-73. 

  14. Hebert JJ, Koppenhaver SL, Walker BF. Subgrouping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 treatment-based approach to classification. Sport Heal A Multidiscip Approach. 2011;3(6):534-542. 

  15. Hicks GE, Fritz JM, Delitto A, et al. Interrater reliability of clinical examination measures for identification of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2):1858-1864. 

  16. Joo MK, Kim TY, Kim J,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ear-avoidance beliefs questionnaire. Phys Ther Korea. 2009;16(2):24-30. 

  17. Kasai Y, Morishita K, Kawakita E, et al. A new evaluation method for lumbar spinal instability: Passive lumbar extension test. Phys Ther. 2006;86(12);1661-1667. 

  18. Kendall KD, Emery CA, Wiley JP, et al.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hip strengthening exercises to a lumbopelvic exercise programme for the treatment of non-specific low ba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Sci Med Sport. 2015;18(6):626-631. 

  19. Kim CR, Park DK, Lee ST, et al. Electromyographic changes in trunk muscles during graded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PM&R. 2016;8 (10):979-989. 

  20. Kim SY, Kim TY, Park SJ. A clinical application with the principle of hanging point om the sling exercise therapy. Joum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aedic Manual Therapy. 2003;9(2):25-45. 

  21. Landel R, Kulig K, Fredericson M, et al. Interteste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otion assessments during lumbar spine accessory motion testing. Phys Ther. 2008;88(1):43-49. 

  22. Lee HJ, Kim SY.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bdominal draw-in and expansion maneuvers on trunk stabilization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nd lumbar spine instability. Phys Ther Korea. 2015a;22(1):37-48. 

  23. Lee SW, Kim SY. Comparison of chronic low-back pain patients hip range of motion with lumbar instability. J Phys Ther Sci. 2015b;27(2):349-351. 

  24. Lehman GJ, Hoda W, Oliver S.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bridging exercises on and off a Swiss ball. Chiropr Osteopat. 2005;13:14. 

  25. Maher CG, Latimer J, Hodges PW, et al. The effect of motor control exercise versus placebo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BMC Musculoskelet Disord. 2005;6:54. 

  26. Marshall PWM, Patel H, Callaghan JP. Gluteus medius strength, endurance, and co-activation in the development of low back pain during prolonged standing. Hum Mov Sci. 2011;30(1):63-73. 

  27. McGill SM. Low back exercises: Evidence for improving exercise regimens. Phys Ther. 1998;78(7):754-765. 

  28. Oddsson LIE, De Luca CJ. Activation imbalances in lumbar spine muscles in the presence of chronic low back pain. J Appl Physiol. 2003;94(4):1410-1420. 

  29. O’Sullivan PB. Masterclass.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Clinical presentation and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management. Man Ther. 2000;5(1):2-12. 

  30. Panjabi MM. Clinical spinal instability and low back pain. J Electromyogr Kinesiol. 2003;13(4):371-379. 

  31. Salavati M, Akhbari B, Takamjani IE, et al. Effect of spinal stabilization exercise on dynamic postural control and visual dependency in subjects with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J Bodyw Mov Ther. 2016;20(2):441-448. 

  32. Selkowitz DM, Beneck GJ, Powers CM. Comparison of EMG activity of the superior and inferior portions of the gluteus maximus muscle during common therapeutic exercises. J Orthop Sport Phys Ther. 2016;46(9):1-26. 

  33. Panjabi MM. Philadelphia Panel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selected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for low back pain. Phys Ther. 2001;81(10);1641-1674. 

  34. Seo JK, Kim SY. The relationship between hip abductor muscle strength and lumbar inst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2011;15-22. 

  35. Shahvarpour A, Henry SM, Preuss R, et al. The effect of an 8-wee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on the lumbopelvic rhythm and flexion-relaxation phenomenon. Clin Biomech. 2017;48(December 2016):1-8 

  36. Shaughnessy M, Caulfield B. A pilot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umbar stabilisation exercise training on functional 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Int J Rehabil Res. 2004;27(4):297-301. 

  37. Sohn MK, Lee SS, Song HT. Effects of acute low back pain on postural control. Ann Rehabil Med. 2013;37(1):17-25. 

  38. Wiltes L, Rothman S. Spondylolisthesis: Classification, diagnosis and natural history. Semin Spine Surg. 1989;1(1);78-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