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당침지 처리된 닭 가슴살 육포의 이화학적 특성 및 산화안정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oxidative stabilities of chicken breast jerky treated various sweetening ag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4 no.1, 2017년, pp.84 - 92  

남동건 (순천대학교 식품과학부 식품공학전공) ,  정범균 (순천대학교 식품과학부 식품공학전공) ,  천지연 (순천대학교 식품과학부 식품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저지방 및 고단백 부위인 닭 가슴살을 백설탕, 황설탕, 조청, 프락토올리고당, 파인애플 농축액, 복분자 엑기스, 꿀 등 총 7종의 감미제를 사용한 침지용액에 각각 침지 처리 후 $50^{\circ}C$에서 9시간 건조하여 닭 가슴살 육포를 제조하고 이들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품질 특성이 우수한 닭 가슴살 육포를 선정하여 $50^{\circ}C$에서 저장하며 대조군(돈 육포 및 우 육포)과 지방산패 속도를 비교하였다. 제조된 닭 가슴살 육포는 수분 22.5-25.0%, 조단백 41.0-46.6%, 조지방 0.4-1.0%로 저지방 고단백 식품임을 알 수 있었다. 닭 가슴살 육포 제조에 사용된 감미료의 종류는 육포의 pH 5.2-5.9, 총균수($2.5-6.2{\times}10^4CFU/g$) 및 수분활성도(0.744-0.812) 수준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수분활성도와 pH는 복분자 엑기스를 사용한 닭 가슴살 육포에서 가장 낮았으며 백설탕을 사용한 시료군에서 가장 높았다. 닭 가슴살 육포의 응집성, 탄력성, 씹힘성은 사용한 감미제의 종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p<0.05) 경도와 검성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관능평가 결과에서는 복분자 엑기스 시료군이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복분자 엑기스를 사용한 닭 가슴살 육포와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돈 육포와 우 육포를 대조군으로 하여 $50^{\circ}C$에서 저장 시 돈 육포의 TBARS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여 저장 2주 후 98.03 MDA mg/kg, 우 육포의 경우 75.60 MDA mg/kg를 나타낸 반면, 복분자 엑기스 닭 가슴살 육포의 경우는 이보다 훨씬 낮은 58.30 MDA mg/kg 값을 나타내어 지방산패가 우 육포와 돈 육포에 비해 상당히 느리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 닭 가슴살은 돈육과 우육에 비하여 산화안정성이 우수한 저지방-고단백 육포 제조에 바람직한 원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닭 가슴살 육포 제조 시 복분자 엑기스 침지용액을 사용함으로 낮은 수분활성도와 우수한 관능성을 가진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icken breast jerky (CJ) was prepared by drying chicken breast at $50^{\circ}C$ for 9 hrs after marinating it in a various sweetening sauce including white sugar (WS), brown sugar (BS), rice syrup (RS), fructooligosaccharide (FO), pineapple concentrate (PC), Rubus coreanus extract (R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닭 가슴살을 원료로 선택하여 다양한 감미제를 사용한 침지용액을 처리하여 닭 가슴살 육포를 제조하고 이들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관능적으로 우수한 닭 가슴살 육포를 선정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돈 육포와 우 육포와의 산화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 우육포나 돈육포의 경우 건조 후 질긴 조직감으로 인한 관능성 저하로 인하여 연육제를 처리하여 단단한 조직감을 개선하는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35,36). 본 연구에서는 예비 실험으로 연육제를 처리하여 제조한 닭 가슴살 육포의 경우 원료육의 부드러운 조직감이 연육제의 처리로 인하여 씹히는 육포로서의 질감이 사라지고 부서지는 특성을 나타내어(data not shown) 본 연구에서는 조직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처리되는 연육제를 사용하지 않고 감미제와 관능성 개선을 위한 부재료들로 닭 가슴살 침지용액을 이용하여 육포를 제조하였다. 총 7종의 감미제를 달리하여 제조한 닭 가슴살 육포의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가설 설정

  • 3) All values are mean±SD (five determination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 돼지에 비해 닭고기의 특징은? 닭고기는 우육과 돈육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지방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아 저지방 고단백 건강 식이를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요구에 잘 부응하고 있다. 이는 웰빙 (well-being) 식이 경향과 함께 꾸준히 소비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1).
닭 가슴살이 다이어트나 근육 운동을 하는 사람들로부터 선호되는 부위인 이유는? 이는 웰빙 (well-being) 식이 경향과 함께 꾸준히 소비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1). 닭은 통째로 또는 부분 육으로 분할 가공되어 이용되고 있는데 이 중에서 특히 닭 가슴살은 지방이 약 0.4 g/100g인데 반하여 단백질 함량은 약 23.3 g/100g 수준으로 다른 부위에 비하여 저지방 및 고단백질 재료로 최근 다이어트나 근육 운동을 하는 사람들로부터 선호되는 부위이다(2). 그러나 일반 조리법으로 제조된 닭 가슴살은 퍽퍽한 조직감으로 인하여 한정적으로 이용되고 있어 다양한 가공을 통하여 손쉽고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 육포와 닭 가슴살 육포의 감미제에 따른 색도의 차이는? 05) 다른 시료군과의 기호도 차이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든 시료에서 간장을 기본 재료로 사용했으며 감미제에 의한 색도의 차이는 크지 않기 때문에 육안으로 구별되는 육포의 색도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닭 가슴살 육포의 맛에 대한 기호도 평가는 사용된 감미제의 종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Statistics Korea (2015) Korea Livestock Survey Repor of KOSIS. KOSIS 1-1240000-000479-08 

  2. Yang IY, Im PR, Kang JS, Kwak HS, Jeong YH, Kim MS, Lee YS (2015) Quality of commercial broiler breast meat retailed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693-1699 

  3. Faith NG, Le Countour NS, Alvarenga MB, Calicioglu M, Buege DR, Luchansky JB (1998) Viability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 ground and formed beef jerky prepared at levels of 5 and 20% fat and dried at 52, 57, 63, or $68^{\circ}C$ in a home-style dehydrator. Int J Food Microbiol, 41, 213-221 

  4. Gailani MB, Fung DY (1986) Critical review of water activities and microbiology of drying of meats. Crit Rev Food Sci Nutr, 25, 159-183 

  5. Torres EAFS, Shimokomaki M, Franco BDGM, Landgraf M (1994) Parameter determining the quality of charqui, an intermediate moisture meat product. Meat Sci, 38, 229-234 

  6. Song HH (1997) The effects of glycerol, rice syrup and honey on the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MS Thesis, Konkuk University, Korea, p 10-24 

  7. Cho EJ, Lee JE (2000) The effect of addition of kinds of sugar and drying method on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Korean J Food cook Sci, 16, 511-520 

  8. Park GS, Lee SJ, Jeong ES (2002)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according to the kinds of saccharides and the concentrations of green te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30-235 

  9. Lee SW, Lee BS, Cha WS, Park JH, Oh SL, Cho YJ, Kim JK, Hong JH, Lee WY (2004) Diffusion of salt and drying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Korean J Food Preserv, 11, 508-515 

  10. Lim HJ, Jung EY, Kim GD, Joo ST, Yang HS (2012)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beef jerky replaced salt with soybean paste, soy sauce or red pepper paste. J Agric Life Sci, 46, 97-104 

  11. Lee SJ, Park GS (2004)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prepared with various spic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489-497 

  12. Choi JH, Jung JY, Choi YS, Han DJ, Kin HY, Lee MA, Lee ES, Paik HD, Kim CJ (2006) The effects of marination cond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red pork meat and sensory properties of pork jerky. Korean J Food Sci An, 26, 229-235 

  13. Oh JS, Park JN, Kim JH, Lee JW, Byun MW, Chun S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jerky added with Capsicum annuum L. and Prunus mume Sieb. et Zucc.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1-86 

  14. Han DJ, Jeong JY, Choi JH, Choi YS, Kim HY, Lee MA, Lee ES, Paik HD, Kim CJ (2008) Effects of various humectants on quality properties of pork jerky. Korean J Food Sci An, 28, 486-492 

  15. Kim HS, Seong PN, Kim MH (2012) Effect of cochineal color, green tea extract and grapefruit seed extract additions on pork jerky quality. Food Eng Prog, 16, 219-225 

  16. Han DJ, Jeong JY, Choi JH, Choi YS, Kim HY, Laa MA, Lee ES, Paik HD, Kim CJ (2007) Effects of drying conditions on quality properties of pork jerky. Korean J Food Sci An, 27, 29-34 

  17. Park CJ, Park CS (2007) The effects of drying method and spice extracts added to beef jerk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800-809 

  18. Park CJ, Kim ML, Park CS (2009) Effects of drying method and medicinal herb extract addition on the microstructure of beef jerky. Korean J Food Preserv, 16, 875-883 

  19. Nam KC, Jo CR, Lee KH (2012) Comparison of free amino acids and dipeptide contents, Warner-Bratzler shear force and aensory property of beef jerky manufactured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An, 32, 796-802 

  20. Calicioglu M, Sofos JN, Samelis J, Kendall PA, Smith GC (2002) Destruction of acid and non-adapted Listeria monocytogenes during drying and storage of beef jerky. Food Microbiol, 19, 545-559 

  21. Konieczny P, Stangierski J, Kijowski J (2007)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cceptability of home style beef jerky. Meat Sci, 76, 253-257 

  22. Banout J, Kucerova I, Marek S (2012) Using a double-pass solar drier for jerky drying. Energy Procedia, 30, 738-744 

  23. Albright SN, Kendall PA, Avens JS, Sofos JN (2003) Pretreatment effect on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oculated beef jerky. LWT-Food Sci Technol, 36, 381-389 

  24. Calicioglu M, Sofos JN, Samelis J, Kendall PA, Smith GC (2003) Effect of acid adaptation on inactivation of Salmonella during drying and storage of beef jerky treated with marinades. Int J Food Microbiol, 89, 51-65 

  25. Yoon Y, Calicioglu M, Kendall PA, Smith GC, Sofos JN (2005) Influence of inoculum level and acidic marination on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during drying and storage of beef jerky. Food Microbiol, 22, 423-431 

  26. Yang CY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jerky with pear, pineapple and kiwi extracts. Culi Sci Hos Res, 12, 237-250 

  27. Porto-Fett ACS, Call JE, Hwang CA, Juneja V, Ingham S, Ingham B, Luchansky JB (2009) Validation of commercial processes for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the surface of whole-muscle turkey jerky. Poult Sci, 88, 1275-1281 

  28.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210-219 

  29. Park GS, Lee SJ, Jeong ES (2002)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according to the kinds of saccharides and the concentrations of green te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30-235 

  30. Kim YH (1998) A report of the food standardization (KS)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p 774-803 

  31. USDA database (2008) Poultry products.- https://ndb.nal.usda.gov (accessed on April 2013) 

  32. Yang CH, Lee SH (2002) A evaluation of quality of the marketing jerky in domestic: I. Investigating of outward appearance, food additives, nutrient content and sanitary state. Korean J Food Nutr, 15, 197-202 

  33. Lee JA, Kim HY (2016) Development of restructured chicken thigh jerky added with red pepper seed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 1333-1337 

  34. Barbut S (1988) Microstructure of reduced salt meat batters as affected by polyphosphates and chopping time. J Food Sci, 53, 1300-1304 

  35. Jeong SW, Kim YS, Kim YH, Paik YS (1994) Quality changes of beef jerky during storage. J Anim Sci Technol, 36, 693-697 

  36. Choi YI, An YS, Hong SK (1993) Effect of emulsion addition on binding abi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ed pork jerky. J Anim Sci Technol, 35, 223-229 

  37. Choi YI, An GY (1996) Effects of phosphate type and addition level on binding ability, microstructure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ed pork jerky. J Anim Sci Technol, 38, 159-179 

  38. Kang HJ (2011)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added with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MS Thesis, Sejong, University, Korea, p 31-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