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여러 가지 가중행렬을 가진 공간 시계열 모형들의 예측
Prediction for spatial time series models with several weight matric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8 no.1, 2017년, pp.11 - 20  

이성덕 (충북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주수인 (충북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이소현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역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간의 변화뿐만 아니라 공간 위치의 변화를 함께 고려한 자료를 공간 시계열 자료라고 한다. 공간 시계열 자기회귀 이동평균 모형과 공간 시계열 중선형 모형에 대해 소개하고 각각의 Kalman Filter 방법에 의한 모수 추정의 과정을 거쳐 최종 선택된 모형의 예측력을 비교하였다. 또한 공간 시계열 자료의 모형에 포함되는 가중행렬에 대하여 기존의 방법인 동일한 가중치와 더불어 거리에 비례한 가중치와 인구수에 비례한 가중치를 제안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질병관리본부에서 수집한 유행성 이하 선염 자료를 활용하여 가중치를 달리한 공간 시계열 모형을 적합시키고 예측하였다. 예측 오차 제곱합을 활용하여 어느 모형이 가장 효과적인 모형인지 판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introduced linear spatial time series (space-time autoregressive and moving average model) and nonlinear spatial time series (space-time bilinear model). Also we estimated the parameters by Kalman Filter method and made comparative studies of power of forecast in the final model. W...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간 시계열 모형은 기존 시계열 모형에 공간의 위치를 반영하는 가중행렬이 포함된다. 가중행렬이 지리적으로 인접한 지역일수록 공간 의존도(spatial dependence)가 높은 것을 반영하는데 본 연구는 인접한 지역에 동일한 가중치를 주는 기존의 방법과 더불어 인구수에 비례하여 인구수가 많은 곳에 더 큰 가중치를 주는 방법과 인접한 지역들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거리가 가까운 곳에 더 큰 가중치를 주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liff와 Ord가 제시한 STARMA 모형은 무엇입니까? 기존의 연구로 Cliff와 Ord (1975)는 자기회귀 이동평균 (autoregressive moving average; ARMA) 모형을 확장하여 공간 시계열 자료를 적합할 수 있는 STARMA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기존의 ARMA 모형에 공간항을 더 추가시켜 모형 자체를 시간과 공간으로 확장시킨 것이다. Pfeifer와 Deutsh (1980a)은 STARIMA 모형의 특성과 모형 구축의 절차를 제시하였다.
공간 시계열 자료란 무엇입니까? 특정 위치에서 관측되어진 자료가 과거의 시간과 주변 공간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성질을 가진 자료를 공간 시계열 자료 (spatial time series data)라고 한다. 공간 시계열 선형 모형으로 공간 시계열 자기회귀 이동평균 (space-time series autoregressive moving average; STARMA) 모형과 공간 시계열 중선형 (space-time bilinear; STBL) 모형을 고려하고자 한다.
가중행렬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지역일수록 무엇을 반영하는가? 공간 시계열 모형은 기존 시계열 모형에 공간의 위치를 반영하는 가중행렬이 포함된다. 가중행렬이 지리적으로 인접한 지역일수록 공간 의존도(spatial dependence)가 높은 것을 반영하는데 본 연구는 인접한 지역에 동일한 가중치를 주는 기존의 방법과 더불어 인구수에 비례하여 인구수가 많은 곳에 더 큰 가중치를 주는 방법과 인접한 지역들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거리가 가까운 곳에 더 큰 가중치를 주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im, S. W., Jeong, A. R. and Lee, S. D. (2005). Comparison between Kriging and GWR for the spatial data.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18, 271-280. 

  2. Lee, S. D., Kim, I. K., Kim, D. K. and Jeong, A. R. (2009). Bayes inference for the spatial time series model.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16, 31-40. 

  3. Dai, Y. and Billard, L. (1998). A space-time bilinear model and its identification. Journal of Time Series Analysis, 19, 657-679. 

  4. Dai, Y. and Billard, L. (2003).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in space time bilinear model. Journal of Time Series Analysis, 24, 25-44. 

  5. Cliff, A. D. and Ord, J. K. (1975). Space time modeling with an application to regional forecasting.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64, 119-128. 

  6. Harvey, A. C. (1990). Forecasting, structural time series models and the kalman filt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7. Kalman, R. E. and Bucy, R. S. (1961). New results in linear filtering and prediction theory. Journal of Basic Engineering, 83, 95-108. 

  8. Park, J. H. (2015). Review on statistical methods for large spatial Gaussian data.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495-504. 

  9. Pfeifer, P. E. and Deutsch, S. J. (1980a). A three-stage iterative procedure for space-time modeling. Technometrics, 22, 25-47. 

  10. Pfeifer, P. E. and Deutsch, S. J. (1980b). Ident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first order space-time ARMA models. Technometrics, 22, 397-408. 

  11. Sung, Y. K. and Sohn, J. K. (2013). Prediction of extreme rainfall with a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857-8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