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림재적 추정을 위한 계층적 베이지안 분석
Hierarchical Bayesian analysis for a forest stand volum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8 no.1, 2017년, pp.29 - 37  

송세리 (경북대학교 통계학과) ,  박주원 (경북대학교 산림과학.조경학부) ,  김용구 (경북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림경영 계획을 위한 필요한 산림재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어져 왔는데, 이러한 산림구조에 관한 연구는 주로 현장조사와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현장조사를 통한 연구는 비교적 정확하나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뿐 아니라 접근의 용이성이 떨어지는 지역이 있기 때문에, 넓은 지역의 조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항공기에서 발사된 레이저 펄스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대상의 3차원 좌표를 얻는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기술을 활용하여 획득한 정밀한 수치형자료를 이용한 산림의 구조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산림재적을 추정하기 위해서 LiDAR자료를 이용한 수고자료와 산림 재적에 대한 회귀모형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는데, 국내의 경우 수목의 종류와 그 분포가 다르기 때문에 회귀모형만으로 재적을 추정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산림의 수고와 흉고직경을 측정하여 재적값을 추정하고 산림의 공간효과를 고려한 계층적 베이지안 분석을 통해 관측되지 않은 전체 산림재적에 대한 추정을 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has gradually become important to estimate a forest stand volume utilizing LiDAR data. Recently, various statistical models including a linear regression model has been introduced to estimate a forest stand volume using LiDAR data. One of limitations of the current approaches is in that the acc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외국 사례의 경우 LiDAR 자료와 산림재적간의 관계는 선형회귀모형에 의해서 잘 적합되는 편이지만 국내 산림의 현장 조사값은 임학분야에서 30%의 허용오차를 인정할 정도로 큰 관측오차가 존재할 뿐 아니라, 복잡한 임상, 다층적인 수고분포 등의 다양한 변수로 인해 회귀모형만으로 재적을 추정하는 데는 한계가 따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산림의 공간효과를 고려한 계층적 베이지안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관측되지 않은 전체 산림재적에 대한 추정을 하고자 한다.
  • 또한 산림재적에 대한 현장조사시 그 지점에 위치하는 산림의 수고와 흉고직경을 측정하여 재적값을 구하는데, 이러한 방법이 상당한 관측 오차를 유발한다는 점 또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산림의 공간효과를 고려한 계층적 베이지안 분석을 통해 관측되지 않은 전체 산림재적을 추정하고자 한다 (Lee와 Kim, 2016; Yoon, 2016).
  • 따라서 본 논문은 LiDAR 자료를 활용하여 추출된 수고 자료를 기반으로 직접적 조사가 어려운 산림 재적을 측정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산림재적을 추정하기 위해서 LiDAR자료를 이용한 수고자료와 산림 재적에 대한 회귀모형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는데, 국외의 경우 LiDAR의 수고자료를 이용하여 산림재적을 추정할 경우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이 잘 적합하는데 반해 (Ryan 등, 2015), 국내의 경우 수목의 종류와 그 분포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회귀모형만으로 재적을 추정하는 데 한계가 있다.

가설 설정

  •  여기에서 y(s)는 s지점에 위치하는 산림재적의 현장조사값, v(s)는 s지점에 위치하는 실제 (unknown) 산림재적, ε(s)는 s지점에 위치하는 산림의 재적에 관한 관측오차를 나타내고, (ε(s 1 ), . . . , ε(sN )) ′ ∼ M V N (0, τ2 I)을 가정한다.
  • Data model에서 산림재적의 현장조사값인 y와 Process model에 실제 산림재적 v는 다변량 정규분포를 가정하였고, Prior model로 현장조사값의 분산인 τ2 과 Process model에서 회귀계수인 β, 공분산 함수의 모수가 되는 σ2 와 θ에는 서로 독립인 무정보 사전분포를 가정하였다.
  • 산림재적에 대한 현장조사 시 관측오차가 큰 것을 고려하여, 현장조사값은 실제 산림재적에 관측오차를 더한 값이라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산림의 현장조사값 y에 대한 모형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여기에서 X(s)는 s지점에 위치하는 1 × p 크기의 독립변수 행렬, η(s)는 s지점에 위치하는 산림재적에 대한 모형 오차로써 공간모형을 가정한다.
  • 1), 각 변수들에 대한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의 설명력이 낮은 것을 보완하기 위해, 회귀분석 결과 유의한 변수를 이용하여 베이지안 모형에서 많이 사용되는 다층구조를 이용하였으며, 그 중 프로세스 모형에서 산림재적의 공간구조를 설명하는 랜덤효과 모형을 가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형을 통해 각 모수들과 실제 산림재적을 추정하고, 관측오차의 분산 과 공간모형의 분산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구조에 관한 연구를 위해 현장조사 방법을 이용하였을 때의 단점은 무엇인가? 산림경영 계획을 위한 필요한 산림재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어져 왔는데, 이러한 산림구조에 관한 연구는 주로 현장조사와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현장조사를 통한 연구는 비교적 정확하나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뿐 아니라 접근의 용이성이 떨어지는 지역이 있기 때문에, 넓은 지역의 조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항공기에서 발사된 레이저 펄스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대상의 3차원 좌표를 얻는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기술을 활용하여 획득한 정밀한 수치형자료를 이용한 산림의 구조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산림구조에 관한 연구는 주로 무엇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가? 산림경영 계획을 위해 필요한 산림재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어져 왔는데, 이러한 산림구조에 관한 연구는 주로 현장조사와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Herold와 Ulmer, 2001). 현장조사를 통한 연구는 비교적 정확하나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뿐 아니라 접근의 용 이성이 떨어지는 지역이 있기 때문에 (Clawges 등, 2008), 넓은 지역의 조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Zimble 등, 2003).
산림구조에 관한 연구를 위해 위성영상 방법을 사용하였을 때의 단점은 무엇인가? 현장조사를 통한 연구는 비교적 정확하나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뿐 아니라 접근의 용 이성이 떨어지는 지역이 있기 때문에 (Clawges 등, 2008), 넓은 지역의 조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Zimble 등, 2003). 또한 위성영상을 이용한 연구는 실제 수목의 높이를 측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Maltamo 등, 2004). 최근에는 항공기에서 발사된 레이저 펄스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대상의 3차원 좌표를 얻는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기술을 활용하여 획득한 정밀한 수 치형자료를 이용한 산림의 구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rab, A., Hooten M. B. and Wikle, C. K. (2008). Hierarchical spatial models, In Encyclopedia of GIS, 425-431, Springer-Verlag, New York. 

  2. Chibb. S. and Greenberg, E. (1995). Understanding the Metropolis-Hastings algorithm. The American Statistician, 49, 327-335. 

  3. Gelman, A. (1996). Inference and Monitoring Convergence. In Markov Chain Monte Carlo in Practice, edited by Gilks, W.R., Richarson, S. and Spiegelhalter, D. J., Chapman and Hall, London, 131-143. 

  4. Gelman, A., Carlin, B. P., Stern, H. S., Duncon, D. B., Behtari, A. and Rubin, D. B. (2013). Bayesian Data Analysis, 3rd Ed., CRC Press, Boca Raton. 

  5. Herold, A. and Ulmer, U. (2001). Stand stability in the Swiss national forest inventory: Assessment technique, reproductibility and relevance.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45, 29-42. 

  6. Jang, A. J., Yoo, G. Y., Kim, Y. I. and Lee, B. G. (2006). Estimation of individual tree and tree height using color aerial photograph and LiDAR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2, 543-551. 

  7. Kwak, D. A., Lee, W. G. and Sohn, M. H. (2005). Application of LiDAR for measuring individual trees and forest stand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4, 431-440. 

  8. Lee, J. J. and Kim, Y. (2016). A spatial analysis of Neyman-Scott rectangular puls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 1119-1131. 

  9. Maltamo, M., Eerikainen, K., Pitkanen, J., Hyyppa, J. and Vehmas, M. (2004). Estimation of timber volume and stem density based on scanning laser altimetry and expected tree size distribution function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0, 319-330. 

  10. Matern, B. (1986). Spatial Variation, 2nd Ed., Springer-Verlag, New York. 

  11. Ryan, D. Sheridan, Sorin C. Popescu, Demetrios Gatziolis, Cristine L. S. Morgan and Nian-Wei Ku (2015). Modeling Forest Aboveground Biomass and Volume Using Airborne LiDAR Metrics and Forest Inventory and Analysis Data in the Pacific Northwest. Remote sensing, 7, 229-255. 

  12. Woo, C. S., Yoon, J. S., Shin, J. I. and Lee, G. S. (2007). Automatic extraction of individual tree height in mountainous forest using airborne Lidar dat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 251-258. 

  13. Yoon, S. (2016). Generating high resolution of daily mean temperature using statistical model.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 1215-1224. 

  14. Zimble, D. A., Evans, D. L., G. C., Parker, R. C., Grado, S. C. and Gerard, P. D. (2003). Characterizing vertical forest structure using small-footprint airborne LiDAR.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7, 171-1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