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흥업소 여성종업원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자살충동억제의지에 미치는 영향 -룸살롱과 바 여성종업원 태도 비교조사-
Korean Hostess' Attitudes toward Death and its Effects on Their Capacities to Resist Suicidal Impulses -Comparative study of Korean Hostess Working at the Room Salon and Ba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 2017년, pp.507 - 521  

김유리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인문사회의학교실) ,  한흥식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  제민지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인문사회의학교실) ,  천경주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인문사회의학교실) ,  장철훈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진단검사의학교실) ,  김성수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인문사회의학교실)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소재 유흥업소 여성종업원(룸살롱/바)을 대상으로 이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관련 요인들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방법: 120명의 유흥업소 여성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죽음에 대한 태도에 관한 총 7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죽음해방인식, 죽음자연현상수용, 죽음공포, 죽음생각회피, 나의 죽음이 가족에게 주는 충격, 죽음생각빈도, 자살충동억제의지로 구분된다. 결과: 룸살롱 여성종업원들은 '월수입 만족도'가 높을수록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빈도가 낮았으며, 자살충동억제의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룸살롱 여성들의 '자살충동억제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나의 죽음이 가족에게 주는 충격'과 '월수입 만족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바 여성종업원들의 경우 '죽음해방인식' 요인만이 '자살충동억제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룸살롱 여성종업원들의 경우 '월수입 만족도'가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에 관한 생각을 정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개인이 가진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에서 자살이라는 최악의 선택을 하지 않게끔 도울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death among Korean hostess (room salon/bar) in Busan and their suicide-related factors. Methods: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rated to 120 Korean hostess. The questionnaires consist of 7 major concepts: de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유흥업소 여성종업원 중에서도 특히 룸살롱 여성종업원과 바 여성종업원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후, 이들의 자살 생각 및 죽음에 대한 태도가 자살충동억제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에게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보완하고자, 죽음에 대한 태도가 자살충동억제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에 T.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흥업소 여성종업원 자살의 심각성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위해 20-40대 유흥업소 여성종업원(룸살롱/바)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자살 관련 연구의 사회심리적 접근방식에서 벗어나 자살 생각과 죽음에 대한 태도와의 연관성을 집단별로 비교 조사하고, 이러한 태도가 자살충동억제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산지역 소재 유흥업소 여성종업원을 대상으로 이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관련 요인들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설문지는 죽음에 대한 태도에 관한 총 7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죽음해방인식, 죽음자연현상수용, 죽음공포, 죽음생각회피, 나의 죽음이 가족에게 주는 충격, 죽음생각빈도, 자살충동억제의지로 구분된다. 결과: 룸살롱 여성종업원들은 '월수입 만족도'가 높을수록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빈도가 낮았으며, 자살충동억제의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룸살롱 여성들의 '자살충동억제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나의 죽음이 가족에게 주는 충격'과 '월수입 만족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바 여성종업원들의 경우 '죽음해방인식' 요인만이 '자살충동억제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룸살롱 여성종업원들의 경우 '월수입 만족도'가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에 관한 생각을 정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흥업소의 정의는? 한편, 20-40대 여성들 60명 중 1명은 유흥업소의 “유흥접객원”으로 취업할 만큼[2][3] 이 연령대의 여성이 유흥업소에서 일하는 비중이 높아 하나의 직업군으로 간주해야한다. 여기서 유흥업소란 어원적으로 유흥업을 경영하는 곳이라는 뜻으로 재미있게 즐기면서 노는 일 또는 음식점, 술집에서 즐기면서 노는 곳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식품 접객업소 등 사람이 사회생활을 하면서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곳들을 의미한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살에 대한 생각은 무엇과 상관관계가 있는가? 실제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자살과 죽음에 대한 태도 연구에 따르면, 자살에 대한 생각은 죽음에 대한 태도 중 죽음공포, 죽음생각회피, 죽음자연현상수용, 죽음 해방인식 등의 하위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2-36]. 또한 최근 국내에서 의학전문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특히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행동은 ‘자살충동억제의지’, ‘죽음해방인식’, ‘죽음생각빈도’, ‘죽음생각회피’, ‘나의 죽음이 가족에게 주는 충격’ 요인들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한다[3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통계청, 2013년 사망원인 통계, http://kostat.go.kr 

  2. 국세청, 국세통계연보, http://nts.go.kr 

  3. 문영재, "'유흥접객원' 14만명.. 女경제활동인구 60 명 중 1명꼴,"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A51&newsid02696166596114440&DCDA00105&OutLnkChkY 

  4. 이인숙, 종업원의 직무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유흥업소 종업원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 변혜정, "성적 거래의 변형과 확산의 정치학," 한국여성학, 제25권, 제3호, pp.109-149, 2009. 

  6. 홍지아, "미디어를 통한 성매매의 의미구성: 중앙일보, 조선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의 기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31권, 제3호, pp.219-259, 2015. 

  7. 원미혜, "여성의 성 위계와 '창녀'낙인," 아시아여성연구, 제50권, 제2호, pp.45-84, 2001. 

  8. 장숙경, 여성정책에 대한 언론의 보도행태 연구 -포항시 사례를 중심으로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9. 디지털뉴스팀, "포항 괴담 확산…유흥업소 여종 업원들 자살 이어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703123007 1&code940202 

  10. 박주희, "유흥주점 여성 1년 새 8명 자살에도 "성 매매무관" '포항괴담' 덮기 바쁜 경찰 왜?,"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486711.html 

  11. Y. Hong, X. Li, X. Fang, and R, Zhao, "Correlates of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 among female sex workers in china,"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Vol.28, No.5, pp.490-505, 2007. 

  12. D. C. Ling, E. A. Holroyd, W. C. Wong, and S. A. Gray, "Handling emerging health needs among a migrant population-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e attempts and suicide ideation among female street sex workers in Hong Kong," Clinical Effectiveness Nursing, Vol.8, No.3, pp.205-214, 2004. 

  13. 장승진, 성매매피해경험이 자아존중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4.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성매매피해여성의 정신건강 및 지원욕구 조사 -지원시설 입소자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여성인권진흥원, 2011. 

  15. Minsoo Jung, "Associations of physical and sexual health with suicide attempts among female sex workers in south korea," Sexuality and Disability, Vol.31, No.3, pp.275-286, 2013. 

  16. 식품위생법 시행령 제21조 제8호,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4959&efYd20160804#0000 

  17. 한상철, "풍속영업 종사 여성의 성매매 유입과 중독," 한국중독범죄학회보, 제2권, 제2호, pp.15-30, 2012. 

  18. 이연섭, "토킹바,"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565485 

  19. 김형수, "연구논문: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제22권, 제1호, pp.159-172, 2002. 

  20. 은기수, "경제적 양극화와 자살의 상관성: 1997년 외환위기를 전후하여," 한국인구학, 제28권, 제2호, pp.97-129, 2005. 

  21. 최인, 김영숙, 서경현, "노인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제25권, pp.33-56, 2009 

  22. 이소정, "노인 자살의 사회경제적 원인 분석," 사회보장연구, 제26권, 제4호, pp.1-19, 2010. 

  23. 모지환, 배진희, "자살행동 영향 요인," 보건사회 연구, 제31권, 제2호, pp.121-145, 2011. 

  24. 남영옥,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11호, pp.283-304, 2013. 

  25. 심혜선, 김지현, "여성의 수치심, 자기용서와 자살생각 - 자기용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총, 제34권, 제1호, pp.159-179, 2013. 

  26. I. Orbach, S. Feshbach, G. Carlson, H. Glauman, and Y. Gross, "Attraction and repulsion by life and death in suicidal and in normal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51, No.5, pp.661-670, 1983. 

  27. I. Orbach, S. Feshbach, G. Carlson, and E. Leah, "Attitude toward life and death in suicidal, normal, and chronically ill children: An extended replic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52, No.6, pp.1020-1027, 1984. 

  28. 이누미야 요시유키, 한성열, "사생관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0권, 제1호, pp.31-82, 2004. 

  29. 이누미야 요시유키, "청년기의 생명윤리와 사생관: 자살, 임신중절 및 장기기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9권, 제1호, pp.85-108, 2005. 

  30. 이수현, 최은혜라, 김성수,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공감능력이 자살충동억제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15권, 제2호, pp.206-218, 2012. 

  31. E. Durkheim, 황보종우(역), 에밀 뒤르켐의 자살론, 경기도: 청아출판사, 1897. 

  32. J. D. Minton and L. R. Bruch, "The correlations of attitudes towards suicide with death anxiety, religiosity and personal closeness to suicide," Omega-Journal of Death Dying, Vol.11, No.4, pp.317-324, 1980. 

  33. T. W. Paul, G. T. Reker, and G. Gesser, Death attitude profile-revised: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attitude toward death, Death anxiety handbook: Research, instrumentation, and application, NY: Taylor & Francis, pp.121-148, 1994. 

  34. A. A. Leenaars, "Suicide: a multidimensional malaise," Suicide and Life-Threating Behavior, Vol.26, No.3, pp.221-236, 1996. 

  35. R. R. Holden, P. S. Kerr, J. D. Mendonca, and V. R. Velamoor, "Are some motives more linked to suicide proneness than other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54, No.5, pp.569-576, 1998. 

  36. I. Orbach, M. Mikulincer, E. Gilboa-Schechtman, and P. Sirota, "Mental pain and its relationship to suicidality and life meaning,"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Vol.33, No.3, pp.231-241, 2003. 

  37. R. F. Baumeister, "Suicide as escape from self," Psychological Review, Vol.97, No.1, pp.90-113, 1990. 

  38. P. T. Wong, Meaning management theory and death acceptance, Existential and Spiritual Issues in Death Attitudes, FL: CRC Press, pp.65-87, 2008. 

  39. J. Cohen, P. Cohen, S. G. West, and L. S. Aiken,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pp.75-79, 2003. 

  40. J. S. Westefeld and S. R. Furr, "Suicide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Vol.18, pp.119-123, 1987. 

  41. M. J. Goldblatt, E. Ronningstam, M. Schechter, B. Herbstman, and J. T. Maltsberger, "Suicide as escape from psychotic panic," Bulletin of the Menninger Clinic, Vol.80, No.2, pp.131-145, 2016. 

  42. 오진탁, "자살자의 죽음이해 분석," 인문과학연 구, 제42권, pp.335-354, 2014. 

  43. 오진탁, 자살예방 해법은 있다, 서울: 교보문고, 2013. 

  44. 여성가족부, 성매매실태 및 경제규모에 관한 전국조사, http://www.mogef.go.kr/korea/view/policy/policy02_01e.jsp?funcview&tPage2&key_type&key&search_start_date&search_end_date&class_id0&idx1503 

  45. H. S. Becker, Labeling theory reconsidered. Deviance and Social Control, London: Tavistock, pp.41-66, 1974. 

  46. E. Goffman,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Englewood Cliffs, NY: Prentice Hall, 1963. 

  47. 이민아, 김석호, 박재현, 심은정, "사회적 관계 내 자살경험과 가족이 자살생각 및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제33권, 제2호, pp.61-84, 2010. 

  48. R. Eckersley and K. Dear, "Cultural correlates of youth suicide," Social Science & Medicine, Vol.55, No.11, pp.1891-1904, 2002. 

  49. Y. Joo and S. Roh,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 rural population,"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Vol.31, 2016. 

  50. 류숙진, 대인 서비스 직종의 감정노동 관리와 노동자 반응-패스트푸드점, 보험사, 콜센터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51. 김왕배, 이경용, 이가람, "감정노동자의 직무환경과 스트레스," 한국사회학, 제46권, 제2호, pp.123-149, 2012. 

  52. R. K. Merton, "Social structure and anomi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3, No.5, pp.672-682, 1938. 

  53. 김자영, "성매매 피해여성의 정신건강과 자살," 여성과 인권, 제6권, pp.136-152, 2011. 

  54. S. J. Price, C. A. Price, and P. C. McKenry, Families & change: Coping with stressful events and transitions, Sage, 2010. 

  55. 최정민, 김신열, "노인이 인지한 소득불평등과 자살생각 간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 권, 제11호, pp.743-758, 2014. 

  56. 박순주, "성매매 여성의 '노동'경험 인식과 그 맥락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정책, 제41권, pp.7-53, 2013. 

  57. 강이영, "자살위기의 이해와 대처," 생명연구, 제18권, pp.305-323, 2010. 

  58. 한국청소년상담원, 청소년 자살 사후개입 매뉴 얼 개발 - 학교 장면에서의 개입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010. 

  59. 김준홍, 정영일, "한국인의 자살시도의 위험요인: 자살관과 사생관을 중심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8권, 제2호, pp.109-12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