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적 양극화, 탈북자 토크쇼, 정체성 혼란 -<이제 만나러 갑니다>와 <모란봉 클럽>에 대한 담화 및 담론 분석-
North Korean Defectors, Talk Shows, Dialogue and Discourses -A Dialogue and Discourse Analysis on TV Talk Sho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 2017년, pp.567 - 584  

강민경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  백선기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남시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탈북자 TV 토크쇼가 어떠한 포맷과 의미구조를 근간으로 하는지 분석했다. 채널A의 <이제 만나러 갑니다>와 TV조선의 <모란봉 클럽>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해 탈북자들의 남 북에 대한 사고와 그에 따른 담론 생성에 주목했다. 분석 결과, <이제 만나러 갑니다>는 무거운 주제들과 체제에 대한 주제들을 근간으로 '북한에 대한 긍정형'과 '남한에 대한 판타지형' 담화가 주로 전개되었고, 남한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반해 <모란봉 클럽>은 가볍고 선정적인 주제를 중심으로 '남한에 대한 비판형'과 '남한에 대한 불만형' 담화 유형이 주룰 이루며, 남한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북한의 비판적 시각을 부각시켰다. 또한 <이제 만나러 갑니다>는 수렴적 담론 구조를 근간으로 남한 우월 이데올로기가 두드러진 반면에, <모란봉 클럽>은 대립적인 담론 구조를 통해 남한 절망 이데올로기를 생성하고 있다. 요컨대 한국사회에서 '이방인'으로 분류되는 탈북자들의 혼재된 정체성이 드러났고, 자신들을 반-북한적인 존재로 자임하고 있음과 동시에 남한사회의 정착과정에서 불만 및 혼란스러움을 토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formats and structure of meanings for the TV talk sho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The authors selected of Channel A and of TV Chosun as research subjects. As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ormer dealt with heavy issues about North Korea, expressed positiv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크쇼의 특성은 무엇인가? 본 연구가 ‘토크쇼’란 장르에 주목하는 이유는 토크쇼가 개인의 기억에 특정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각 토크 쇼만의 특정 전개 방식을 활용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관심을 유도하며[2], 지극히 개인적인 기억과 발언에 이데올로기가 첨예하게 반영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니기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포맷의 탈북자 프로그램 가운데 현재 방영 중에 있는 두 탈북자 토크쇼 프로그램 <이만갑>과 <모란봉>을 중심으로 탈북자들의 발언들이 어떻게 표출되고, 어떠한 담론들을 생성하 며, 그러한 담론들에 내재된 이데올로기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며, 이들 담론과 이데올로기들이 한국 사회에어떤 함의를 지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언론 매체에서 북한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정보와 콘텐츠를 제공하는 언론매체의 다양화는 날로 가속화 되고 있다. 특히 파급효과가 상대적으로 큰방송은 직접 겪기 어려운 사건이나 문화에 대한 간접 경험을 제공하는데[1], 이러한 매체적 특성은 ‘북한’이 라는 폐쇄된 사회를 재현하는 강력한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북한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왜 방송과 같은 수단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가? 우리나라 대부분의 국민들이 북한의 실상을 체험하 기란 거의 불가능하며 이것은 북한 전문가들도 마찬가 지다. 그로 인해 북한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방송과 같은 매개적 수단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미선, 김유례, "역사적 소통 공간으로써 미디어 재현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7호, pp.157-169, 2015. 

  2. 태지호, 황인성, "텔레비전 토크쇼 (채널 A)의 탈북 여성들의 사적 기억 재구성 방식과 그 의미에 대하여," 한국언론정보학보, pp.104-124, 2012. 

  3. 박주연, "통일 및 북한관련 지상파 텔레비전 정규 프로그램 연구: KBS 의 과 MBC 의 분석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20권, 제1호, pp.43-68, 2012. 

  4. 박병도, "재중 탈북자와 국제난민법. 법학논총," 제19권, 제1호, pp.35-59, 2012. 

  5. 통일부 http://www.unikorea.go.kr 

  6. 조동운, 최양진, "제 2 분과 : 발표; 북한이탈주민 조기정착 방안,"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 논문집, pp.119-136, 2015. 

  7. 조현상, "탈북 (脫北) 디아스포라에 대한 남한 사회의 배제와 포용에 관하여,"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pp.285-306, 2015. 

  8. 김성경, "분단체제가 만들어낸 '이방인', 탈북자 잘냉전과 대량탈북시대에 남한 사회에서 '탈북자' 라는 위치의 한계와 가능성," 북한학연구, 제10권, 제1호, pp.37-69, 2014. 

  9. 동아시아연구원 http://www.eai.or.kr 

  10. 정하윤, "남북한 통일 이후 사회통합과 민주 시민교육의 방향,"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회보, 제13권, 제2호, pp.51-70, 2012. 

  11. 김상철, "탈북자 (새터민) 문제 해결방안," 복지행정연구, 제24호(단일호), pp.127-162, 2008. 

  12. 박명규, 이상신, "현상과 이미지 - 북한 이미지 의 측정과 분석," 통일과 평화, 제3권, 제1호, pp.129-173, 2011. 

  13. 오영숙, "탈북의 영화적 표상과 공간 상상," 영화 연구, 제51권, pp.185-212, 2012. 

  14. 윤인진, "탈북자는 2등 국민인가," 당대비평, 제16권, pp.222-255, 2001. 

  15. 이희영, "새로운 시민의 참여와 인정투쟁," 한국사회학, 제44권, 제1호, pp.207-241, 2010. 

  16. 모춘흥, 김수철, "영화에서 재현된 탈북자들의 인정투쟁의 다면성과 조건: 와 을 중심으로," 통일연구, 제20권, 제1호, pp.117-150, 2016. 

  17. 오원환, "탈북자 정체성의 정치학 : 종편에서의 '탈북미녀'의 등장과 '탈북자' 정체성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30권, 제3호, pp.5-41, 2016. 

  18. 전규찬, "TV 오락을 둘러싼 담화정치학 분석," 한국방송학보, 제5권, pp.47-71, 1994. 

  19. 박경숙, "탈북이주자 생애사에 투영된 집단적 상흔과 거시 권력 구조: 지속된 한인 디아스포라, 가부장제, 위계적 시민권," 경제와 사회, 제95호, pp.288-332, 2012. 

  20. 이새롭, 북한 이주 여성을 둘러 싼 사회적 통념과 선택적 협상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논문, 2002. 

  21. 조영주, "북한 여성 연구의 자료로서 '증언'의 활용가능성," 여성학논집, 제21권, 제1호, pp.37-78, 2004. 

  22. 백선기,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23. 이창덕, "국어교육과 대화분석 : 대화분석 이론과 연구 방법의 국어 교육 적용 모색," 한국초등국어교육, 제14집, pp.39-64, 1998. 

  24. C. Seale, G. Gobo, J. F. Gubrium, and D. Silverman, Qualitative Research, Practice, Sage Publications, 2008. 

  25. 박동섭, "바흐친의 대화성 개념을 통한 교실 담화분석의 방향 모색," 교육인류학연구, 제11권, 제1호, pp.37-72. 2008. 

  26. D. S. Park and Y. Moro, "Expanding socio-psychological study through Bahktinian dialogicality," JAPANESE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46, No.2, p.146, 2007. 

  27. 백선기, 텔레비전 문화의 기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28. K. Henderson and J. Mazzeo, Meanings of Medium, 백선기 역, TV 속의 사회 사회 속의 TV,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29. 백선기, 황우섭, "다문화성 TV 방송 프로그램이 패러독스 : KBS-TV의 에 내재된 '다문화성'과 '섹슈얼리티'의 혼재성," 한국언론정보학보, 제45권, pp.255-295, 2009. 

  30. 김용은, 나동규, 김주희, 남미경, 김범식, "스포츠 영화 의 재현된 이미지 연구,"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6권, 제1호, pp.167-184, 2013. 

  31. 백선기,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2,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32.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 기호의 우리, 우리의 기호, 민음사, 1994. 

  33. 백선기, 미디어담론,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34. 백선기, 백은정, "'촛불집회'에 대한 보도경향과 이데올로기 : 백선기의 기호네트워크구조 분석 (SNA)와 담론구조 분석(DSA) 적용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 제29권, pp.227-269, 2011. 

  35. 이민경, 종합편성채널 통일.북한관련 프로그램의 생산과 수용에 관한 연구 : 채널A 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6. 손혜진, 무대미술 공간개념에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7. 문은배, 색채의 이해와 활용, 서울 국제, 2002. 

  38. 문은배, 색채의 이해와 활용 : 컬러리스트 완벽 대비를 위한 최고의 이론서, 안그라픽스,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