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훌라후프를 이용한 체중이동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체중이동변화와 보행에 미치는 영향: 단면 예비연구
The Effect of Weight-shift Training with Hula Hoop on Weight Shift Chang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A Cross - Sectional Pilot Study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2 no.1, 2017년, pp.9 - 14  

고연주 (강남병원 물리치료실) ,  이한숙 (을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weight shift training with Hula Hoop on weight shift chang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METHODS: Ten stroke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The study group underwent weight shift training with Hula Hoop, while the contro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복합 과제에 해당하는 훌라후프를 사용한 체중이동훈련을 시행하였을 때 뇌졸 중환자의 체중이동변화와 보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의 재활프로그램의 폭표를 균형능력과 보행능력 회복에 맞춰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보행능력의 소실은 환자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또한 환자들의 낙상 가능성에 대해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이 된다. 뇌졸중 환자의 비대칭적인 체중지지는 보행시 비대칭과 관련이 있으며(Lee 등, 2012), 선 자세에서의 균형은 한 쪽 하지로 체중을 이동하는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는 기능적인 가동성과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필수조건이며, 일어서기, 이동하기, 걷기, 방향 바꾸기, 계단 오르기 등의 활동을 하기 위해서 중요하다(Eng과 Chu, 2002).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재활프로그램의 목표는 균형능력과 보행능력을 회복 하는데 맞춰야 할 필요가 있다(Bohannon 등, 1991).
성인 편마비 환자에게 강조되는 활동은 무엇인가?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재활프로그램의 목표는 균형능력과 보행능력을 회복 하는데 맞춰야 할 필요가 있다(Bohannon 등, 1991). 성인 편마비 환자에게서 보행기능, 균형, 자세조절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마비 측으로 체중이동(weight transfer)과 체중지지(weight bearing)를 촉진시키는 활동이 강조된다(Bobath, 1990). 체중이동은 독립적인 보행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기립자세에서 마비측 하지의 체중이동은 보행 훈련을 위해 가장 중요한 첫 단계이다(Brunnstrom, 1965).
훌라후프 운동의 장점은 무엇인가? 훌라후프 운동은 몸의 움직임을 조정하기 위해서 수직은 중력과 반대이며 수평은 평행한 움직임을 유지해야 한다(Cluff 등, 2008). 훌라후프를 돌리기 위해서는 엉덩관절을 가장 먼저 움직이며 복합적으로 엉덩이, 무릎, 발목전략을 서로 보안하며 이용하므로, 훌라후프 운동이 동적 평형 유지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복잡하고 좋은 과제라고 볼 수 있으며(Balasubramaniam 등, 2004; Cluff 등, 2008), 비만여성의 체중감소, 허리 및 복부비만 해소에 효과적이며, 근력 및 근지구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Ye,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lasubramaniam, Ramesh, Michael T, et al. Coordination modes in the multisegmental dynamics of hula hooping. Biol Cybern. 2004:90(3):176-90. 

  2. Bobath B. Adult Hemiplegia: Evaluation and treatment (3rd ed). London. William Heinemman Medical Books Ltd. 1990. 

  3. Bohannon RW, Horton MG, Wikholm JB, et al. Importance of four variables of walking to patients with stroke. Int J Rehab Res. 1991;14:246-50. 

  4. Brunnstrom S. Walking Preparation for Adult Patients with Hemiplegia. PhysTher. 1965;45:17-29 

  5. Cluff T, Robertson DGE, Balasubramaniam R, et al. Kinetics of hula hooping: An inverse dynamics analysis. Hum Mov Sci. 2008;27(4):622-35. 

  6. Choi YS. The Effects of Jump rope and Hula hoop Exercise on the improvement of the Early Childhood Basic Physical Strength. Master's Degree. Inje University. 2010. 

  7. Eng JJ, Chu KS.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t-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 1138-44. 

  8. Goo BO, Shim JM, Lee SY, et al. The effects of functional weight bearing exercise on balance and gait in stroke. Korean Soc Phys Med. 2010;5(1):35-42. 

  9. Hunt SM, Mckenna SP, Williams J, et al. Reliability of a population survey tool for measuring perceived health problems: A study of patients with osteoarthrosi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1981;35(4):297-300. 

  10. Jorgensen HS, Nakayama H, Raaschou HO, et al. Recovery of walk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Copenhagen stroke study. Arch Phys Med Rehabil. 1995;76:27-32. 

  11. Kim YH. Effects of weight training go on Foot Pressure in Patients changing. Master's Degree.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06. 

  12. Lee YW, Shin DC, Lee KJ, et al. The Relation between asymmetric weight-supporting and gait symmetry in patients with stroke. J Korean Soc Phys Med. 2012; 7(2):205-12. 

  13. Messier S, Bourbonnais D, Desrosiers J, et al. Dynamic analysis of trunk flex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4;85(10):1619-24. 

  14. Mercer VS, Chang SH, Williams CD, et al.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to increase hip abductor muscle strength and improve lateral stability following stroke, a single subject design. J Geriatr Phys Ther. 2009; 32(2):6-15. 

  15. Shumway-Cook A, Anson D, Haller S, et al. Postural sway biofeedback: its effect on reestablishing stance st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1988;69(6):395-400. 

  16. Ulroy S, Gronley J, Weiss W, et al. Use of cluster analysis for gait pattern classification of patients in the early and late recovery phases following stroke. Gait Posture. 2003;18(1):114-25. 

  17. Ye SR. Hula hoop exercise and diet regimen combined effect on th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obese women. Master's Degree. Ewha Women University.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