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이용한 심야버스 이용수요 특성분석 : 강남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User Demand Characteristics of Currently-established Night Bus in Seoul by Using Smart Card Data : Case Study on Gangnam Station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6 no.1, 2017년, pp.101 - 116  

김민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교통학전공) ,  이영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 이용객의 대부분이 사용하는 스마트카드 자료를 이용하여 실제 심야시간 통행량을 추정하고, 이를 현재 심야버스 노선과 비교하여 KT통신사에서 심야시간에 발생한 통화량을 기준으로 선정한 심야버스 노선과 실제 심야통행량을 비교하였다. 심야버스와 심야통행량을 비교하기 위해 일치도와 관련된 지표를 제시하고, 현재 얼마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지 계산하였다. 연구의 특이한 점은 같은 정류장명을 가진 버스정류장이라도 어느 방향에 있느냐에 따라 속한 행정동이 다르기 때문에, 기준이 되는 영향권의 지표를 지하철역으로 잡고, 지하철역과 인접한 행정동을 지하철역의 영향권의 범위로 설정한 것이다. 심야버스가 심야시간 주요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은 만큼, 실제 교통량을 계산하여 노선을 선정한다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stimates the actual night traffic using the smart card data used by most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users, and compares it with the current night bus routes by KT Telecom based on the night time call volume. In order to compare the current night bus and night trips evaluated by smart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행정동에 발생하는 심야 통행량과 그 지역을 지나는 버스 노선을 비교하여 해당지역에 실제로 제공되는 서비스율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 때의 해당지역 실제 서비스 제공 인원(RSP : Real Service People)을 산정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 기존의 행정동 기반의 대중교통 계획의 문제점을 들면서, 기존 수요 추정시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정류장기반 대중교통 OD 및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각 정류장 별 위치좌표와 버스노선자료를 이용하여 노드와 링크를 구축하였고, 정류장 기반 대중교통 OD와 네트워크를 EMME2를 이용하여 분석해 연구에서 구축한 OD 및 네트워크의 장점을 확인하였다.
  • 중심지역에서 통행이 끝난 승객에는 귀가통행을 한 승객도 포함된다. 따라서 귀가통행이 아닌 승객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다음을 비교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대중교통카드 자료를 활용하여 기존 심야버스 노선 선정에 이용되었던 통화량으로 수요를 추정하지 않고 실제 통행 수요량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기에 스마트카드 자료를 이용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용하는 스마트카드 자료는 [Table 2]와 같이 47개의 정보를 제공하며, 이용자가 승하차를 하며 단말기에 카드를 태그할 때마다 47개의 정보가 새롭게 기록된다.
  • 하지만, 이는 실제 통행량이 아닌 통화량을 기준으로 결정한 노선이므로, 이 노선이 적절한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야버스가 시행되기 전의 스마트카드 자료에서 심야 통행량을 추출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심야 통행량과 현재 운행 중인 심야버스를 비교하여 심야노선의 서비스 제공률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스마트카드로 알 수 있는 심야 통행수요를 현재 운행 중인 심야버스가 얼마나 충족시키는 지를 확인하여 심야버스 이용수요의 특성을 파악하고 앞으로 새로운 심야버스 노선을 계획할 때 고려할 수 있다.
  • 또한 대중교통인프라 확대, 사회활동의 변화, 야간 교통사고의 위험성 등과 같은 심야연장 운행의 필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심야연장운행의 문제점으로 수요확보, 장비인력 및 확충, 안전유지 등을 꼽았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면서 광역 전철인 경인선 열차의 심야연장 운행을 제안하였다.
  • 심야버스 노선은 실제통행량을 기준으로 조성된 것이 아니라, 통화량을 기준으로 노선을 선정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 통행량에 얼마나 현재 심야버스가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모든 행정동 전체로 비교를 했을 실제 심야통행량의 행정동과 기존 심야버스가 지나는 행정동을 비교하여 심야버스 이용수요와 서비스 제공률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빅 데이터인 스마트카드 자료에서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뽑아내어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다루고, 지하철역을 기준으로 공간적 범위를 재설정하여 중심지역인 강남역 일대에서 발생한 심야통행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3년 5월 21일 화요일에 강남역 주변 지역에서 발생한 통행을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지역인 강남역 주변은 심야시간대(오후11시~오후1시) 택시 승·하차 비율이 가장 높은 지점인 강남구 역삼1동(Ahn, 2015)에 속해있으며, 역삼1동 중 가장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역이므로 중심지역으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양의 스마트카드 자료에서 분석에 필요한 부분만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야버스 이용수요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스마트카드 자료를 이용하여 실제 심야통행량을 추출하여 OD를 구축하고, 노선 선정에 있어서 다양한 지표를 고려해야 하지만, 심야시간대 통화량과 실 통행량을 비교하여 심야버스 이용수요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화량을 기준으로 계획한 심야 버스 노선과 비교하고자한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카드 자료 내에서 행정동 별로 심야통행이 얼마나 발생하는지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이렇게 추출한 통행량과 기존 심야버스 노선이 지나는 행정동과 얼마나 일치하는지와, 서비스가 제대로 제공되고 있는지를 평가지표를 통해 분석한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카드 자료를 이용하여 실제 심야시간에 발생한 통행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이를 심야시간대 통화량을 기준으로 설정한 기존 심야버스 노선과 비교하기 위해 정류장을 행정동을 기준으로 분류하였고, 또한 심야버스노선과 비교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율 계산식을 제시하였다.
  • 기존의 심야버스는 심야시간대 통화량을 기준으로 심야시간대의 수요를 추정하여 버스 노선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추정한 수요대신 스마트카드 자료를 이용하여 실제 통행량을 구하여, 기존 심야버스 노선이 실제 통행량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2016)은 휴대폰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도상국의 통행 수요를 추정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교통 노선과 정류장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항상 양방향 통행이 발생하기 때문에, 집에 있는 전화타워의 위치를 이용하여 심야시간(10PM~7AM)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점을 심야통행이 발생하는 곳으로 보았다.

가설 설정

  • 셋째, 공간적 기준이 되는 지점은 노선이 지나는 지점과 가장 인접한 지하철역으로 보고, 지하철역의 공간적 영향권은 반경 1km로 설정한다. 도보허용거리를 1km로 가정하였으므로 이용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범위 또한 역사로부터의 1km로 가정한다.
  • 둘째, 심야 시간에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면, 이용객은 보통 지하철 한 정거장의 길이인 1km 정도는 걸어갈 의향이 있다고 가정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집계된 마지막 통행이 비가정기반형(Non-home based trip)통행인 경우, 모두 집으로 돌아가기 위한 심야통행이 발생한다는 가정 하에 심야버스가 운행되기 이전의 자료를 이용하여 현재를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사람의 통행에 대한 분석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가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한다.
  • 첫째, 마지막 통행이 귀가 통행이 아닌 경우, 그 곳에서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한 통행은 끝났지만, 이 후 대중교통 이외의 수단을 이용하여 귀가했다고 가정한다. 이는 스마트카드에 집계된 모든 통행의 마지막 통행이 귀가통행이 아닌 경우, 심야버스 노선이 신설되면 심야버스를 이용할 잠재적인 수요자로 집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기반으로 심야버스 노선의 서비스 제공률을 확인할 수 있다.
  • 현재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역세권의 범위를 역사 중심에서 반경 500m 이내로 보고 있다(Kim, 2012).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심야시간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역세권 범위의 2배 거리, 즉 1km를 이용자의 도보허용거리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간에도 통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통수단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그렇게 되면서 2013년 처음 도입 된 심야버스는 최근 3년간 666만 명이 이용할 정도로 심야시간대의 주요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하였다(Yonhop News, 2016). 심야 통행이 증가함에 따라 심야버스나 콜버스(Call-bus) 등과 같이 야간에도 통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통수단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심야버스노선은 실제 심야시간 통행량이 아닌 KT통신사에서 심야시간에 발생한 통화량을 조사한 자료를 토대로 설정된 노선이므로 이 노선이 실제 통행량에 맞게 제대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실제 통행 수요량을 추정할 때 대중교통카드 자료를 활용하는 것의 장점은? 스마트카드는 대중교통 이용정보가 시스템을 통해 기록되므로 사람이 직접 조사하는 방법보다 더 정확하고, 1년 365일 24시간 내내 수도권을 포함 대도시 어느 지역에서 이용 가능하므로 지역별, 시간별 자료 수집에 용이하고 이미 시스템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고 있으므로 이용 면에서도 효율적이다.
심야버스노선은 무엇을 기준으로 설계되었는가? 심야 통행이 증가함에 따라 심야버스나 콜버스(Call-bus) 등과 같이 야간에도 통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통수단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심야버스노선은 실제 심야시간 통행량이 아닌 KT통신사에서 심야시간에 발생한 통화량을 조사한 자료를 토대로 설정된 노선이므로 이 노선이 실제 통행량에 맞게 제대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hn H. J. and Lee Y. I.(2007), "A Study on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Bus/Subway Station Based OD and Network Using Smart Card Data in Seoul,"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Policy, vol. 4, no. 4, pp.31-59. 

  2. Ahn K. J.(2015), "Seoul City's Operation and Usage Status and Its Improvement Plan," The Seoul Institute Policy Report, vol. 186, pp.1-19. 

  3. Bae G. M.(2003), "A Study on the Feeder Transit Route Choice Technique,"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27, no. 4, pp.479-484. 

  4. Chang K. U., Kim H. B., Park H. S. and Park S. B.(2011), "A Study of Origin and Destination Decision for a Direct Bus Line in a City with Transit Mobility and Potential Dem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1, no. 4D, pp.547-553. 

  5. Chen C., Zhang D., Zhou ZH., Li N., Atmaca T. and Li S.(2013), "B-Planner : Night Bus Route Planning using Large-scale Taxi GPS Trace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vasiv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6. Demissie MG., Phithakkitnukoon S., Sukhvibul T., Antunes F., Gomes R. and Bento C.(2016), "Inferring Passenger Travel Demand to Improve Urban Mobility in Developing Countries Using Cell Phone Data : A Case Study of Senegal," IEEE Transaction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ol. 17, pp.2466-2478. 

  7. Ha S. J. and Cheon S. H.(2011), "A study on Bus Route Appropriateness According to Bus Route Chan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64, pp.680-685. 

  8. Kim N. J.(2012), "Estimating the Subway Station Influence Area by the Distribution of Walking Distance and the Changes of Housing Sale Prices - Focused on the Subway Stations of Jungang Line in Gury and Namyangju City,"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7, pp.29-38. 

  9. Lee S. Y. and Park K. A.(2003),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City Bus Route Networ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1, no. 4, pp.29-44.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3),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KHCM), Korea, p.594. 

  11. Munizaga MA. and Palma C.(2012), "Estimation of a disaggregate multimodal public transport Origin-Destination matrix from passive smartcard data from Santiago, Chill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 Emerging Technologies, vol. 24, pp.9-18. 

  12. News Jelly, http://contents.newsjel.ly/issue/seoul_nbus/, 2016.4.12. 

  13. Yonhap News, http://media.daum.net/m/channel/view/media/20160320070109079, 2016.4.8. 

  14. Yoon K. M., Park H. K. and Kim Y. H.(2011), "A Study on Improvement and Operation of Midnight Extending a Late Night Gyeongin Line Express Tra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483-4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