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동-산청 회장암체 내 부존하는 하동 함 철-티탄 광체의 광화작용
Ore Mineralization of The Hadong Fe-Ti-bearing Ore Bodies in the Hadong-Sancheong Anorthosite Complexes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0 no.1, 2017년, pp.35 - 44  

이인경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전영식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최상훈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동-산청 회장암체는 영남육괴의 남서부에 선캠브리아기 지리산 편마암 복합체의 변성암류를 기반암으로 차노카이트(charnockite)와 함께 분포하며, 주변에는 중생대 화성암류가 관입 산출한다. 하동-산청 회장암체는 중생대 쥬라기의 섬장암을 경계로 북서쪽의 산청 회장암체와 남쪽의 하동 회장암체로 구분된다. 광체는 하동 회장암체 내에 남북방향으로 약 14 km의 연장을 보이며 단속적으로 산출되는 하동 함 철-티탄 암맥상 광체이다. 하동 함 철-티탄 암맥상 광체 내에는 함-철 산화광물인 자철석(magnetite) 및 티탄철석(ilmenite) 과 함께 함 티탄 광물들(금홍석(rutile) 과 티타나이트(titanite))과 소량의 황화광물들(자류철석, 황철석, 황동석, 섬아연석 등)이 수반하여 산출된다. 하동 함 철-티탄광체의 광화작용은 초기 자철석-티탄철석의 공생 산출로 시작되어 자철석-티탄철석 ${\rightarrow}$ 자철석-티탄철석-자류철석 ${\rightarrow}$ 티탄철석-자류철석-금홍석-티타니이트(${\pm}$황철석) ${\rightarrow}$ 황화광물의 공생관계를 보이며 진행되었다. 광체 내 공생관계와 및 열역학적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하동 함 철-티탄 광체의 초기 함 철-티탄 광화작용은 약 $10^{-11.8}{\sim}10^{-17.2}$ atm의 산소 분압조건($700^{\circ}C$)에서 $Fe_3O_4-FeS$ 상평형을 이루는 황 분압조건 (약 $10^0$ atm) 까지 황 분압의 증가에 의하여 진행되었으며, 그 후 황화광물의 산출은 산소 분압은 감소(${\geq}10^{-20.2}$ atm)되면서 황 분압이 증가(${\geq}10^0$ atm) 하는 환경에서 진행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adong-Sancheong Proterozoic anorthosite complex occurs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the Ryongnam massif. The geology of the area mainly consists of metamorphic rocks of the Jirisan metamorphic complex as basement rocks, charnockite, and the Hadong-Sancheong anorthosite, which are intruded by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하동-산청 회장암체 내에 산출되는 하동 함 철-티탄 광체에 대한 광물·광상학적 연구와 함께 지화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광체 내 금속광화작용에 대한 광상학적 부존특성과 생성환경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동-산청 회장암체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하동-산청 회장암체는 영남육괴의 남서부에 선캠브리아기 지리산 편마암 복합체의 변성암류를 기반암으로 차노카이트(charnockite)와 함께 분포하며, 주변에는 중생대 화성암류가 관입 산출한다. 하동-산청 회장암체는 중생대 쥬라기의 섬장암을 경계로 북서쪽의 산청 회장암체와 남쪽의 하동 회장암체로 구분된다. 광체는 하동 회장암체 내에 남북방향으로 약 14 km의 연장을 보이며 단속적으로 산출되는 하동 함 철-티탄 암맥상 광체이다.
하동-산청 지역 회장암체에 대한 선행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국내 학자들에 의한 회장암체의 본격적인 연구는 Son and Cheong(1972) 에 의해 처음으로 수행되었으며, Jeong(1980) 에 의해 하동-산청 회장암체로 명명되었다. 그 후 하동-산청 회장암체에 대한 암석학적, 지구화학적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다 (Jeong, 1982; Jeong et al., 1989; Kwon and Jeong, 1990; Jeonget al., 1991; Lee et al., 1999; Park et al., 2001; Park et al., 2004; Ko, 2006). 이들은 회장암체의 산출특성, 주변 산출암상과의 관계 및 암석화학 특성 등을 검토하여 하동-산청 회장암체의 성인을 제시하였다. 하동-산청 회장암체의 생성과 관련된 연대 측정 결과에 의하면, 하동-산청 회장암은 대표적 회장암의 분류 유형 중 원생대 massif형 회장암(Proterozoic massiftype anorthosite)에 해당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Kwon and Jeong, 1990; Lee et al., 1999; Park et al., 2004).
회장암이란 무엇인가? 회장암(anorthosite)이란 사장석의 함량이 90% 이상이고 고철질 광물의 함량이 10% 미만인 심성암을 의미한다(Ashwal,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shwal, L.D. (1993) Anorthosites. Springer-Verlag, Berlin, 422. 

  2. Barton, P.B. Jr., P. III and Toulmin (1964) The Electrum Tarnishing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he Fugacity of Sulfur in Laboratory Sulfide Systems. Geochim. Comochim., Acta, v.25, p.619-640. 

  3. Choi, Y.K., Cheong, C.H., Lee, D.S., Kim, C.W. and Kim, S.J. (1964) Geological map of the Danseong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48p. 

  4. Froese, E. (1977) Oxidation and sulphidation reactions. In Short course in application of thermodynamics to petrology and ore deposits, Mineralogical association of Canada, p.84-98. 

  5. Froese, E.A. and Gunter, E. (1976) A Note on the Sulfur Vapor Equilibrium. Econ. Geol., 71, 1589-1594. 

  6. Hass, J.L., Jr. and Robie, R.A. (1973) Thermodynamic Data for Wustite, $Fe_{0.947}O$ , Magmetite, $Fe_3O_4$ , and Hematite, $Fe_2O_3$ , (abstract). Am. Geophys. Union, v.54, p.483. 

  7. Jeong, J.G. (1980) Petrologic Studies on Anorthositic Rocks in Handong-Sancheing District, Korea. Jeo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18, p.83-108. 

  8. Jeong, J.G. (1982) Petrologic studies on anorthositic rocks in Hadon-Sancheong district, Korea. Jour. Geol. Soc. Korea, v.18, p.83-108. 

  9. Jeong, J.G. (1987) Magmatic differentiation of the anorthositic rocks in Hadong-Sancheong area, Jour. Geol. Soc. Korea, v.3, p.216-228. 

  10. Jeong, J.G., Kim, W.-S. and David H. Watkinson (1989) Geologic structure of Hadong anorthositic rocks and associated titanium orebody. Jour. Geol. Soc. Korea, v.25, p.98-111. 

  11. Jeong, J.G., Kim, W.-S. and Seo, B.-M. (1991) Differentiation of the plutonic rocks in Saengcho-myon, Sancheong-gun: trace element modeling for the magmatic differentiation. J. Miner. Soc. Korea, v.4, p.69-89. 

  12. Jung, J.S., Kim, J.-S., Cho, H., Song, C.-W., Son, M., Ryoo, C.-R., Chi, S. and Kim, I.-S. (2010) Occurrence and deformation of Fe-Ti ores from the Proterozoic Hadong anorthosites, Korea. Jour. Petrol. Soc. korea. v.19, p.31-49. 

  13. Kang, S.-W., Yoo, B.-W., Ryoo, C. and Kim, Y.-J. (1994) Petrochemistry of plutons in the Hamyang-Macheon Area, Gyeongnam.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15, p.100-114. 

  14. Kim, D.-Y., Song, Y.-S. and Park, K.-H. (1998) Petrology, geochemistry and geological chronology of charnockite of Eastern Jirisan area. 53rd Abstract Book of Geol. Soc. korea, p.35-36. 

  15. Kim, N.J. and Gang, P. J. (1965) Geological map of the Jinkyo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6. Kim, O.J., Hong, M.S., Park, H.I., Park, Y.D., Kim, G.T. and Yun, S. (1963) Geological map of the Sancheong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7. Kim, O.J., Hong, M.S., Yun, S.K., Park, H.I. and Park, Y.D. (1964) Geological map of the Unbong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8. Kim, S.Y., Seo, J.R., Yang, J.I. and Kim, S.B. (1991) Geology and ore deposits of rare elements in Hadong and Uljin area, Korea.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156p. 

  19. Ko, B.K. (2006) Petro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of the petrogenesis of the Hadong-Sancheong anorthosite complex. Ph. D.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54p. 

  20. Koh, S.-M., Yoo, J.-H., Kim, Y.-U., Lee, H.-Y., Kim, S.-Y. and Song, M.-S. (2003) Evalution and exploration of titanium and feldspar deposits in Hadong-Sancheong-Hapcheon area.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70p. 

  21. Koh, S.-M. (2010) Occurrences of Ilmenite Deposits in Hadong-Sancheong Area. J. Miner. Soc. Korea, v.23, p.25-37. 

  22. Kwon, S.T. and Jeong, J.G. (1990) Preliminary Sr-Nd Isotope Study of the Hadong-Sancheong Anorthositic Rocks in Korea: Implication for Their Origin and for the Precambrian Tectonic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26, p.341-349. 

  23. Lee, I.G., Park, S.J., Chi, S.J. and Choi, S.H. (2011) Genesis of Hadong-Sancheong Ti-bearing ore body, 2015 Abstract Book of the Korean Soc. of Econ. and Environ, Geol., p.251. 

  24. Lee, J.M., Jeong, J.G. and Kim, W.S. (1999) The preliminary study on the evolution of Hadon anorthositic rocks and their genetic relations with ilmenite-bearing ore bodies, Korea. Jour. Geol. Soc. Korea, v.35, p.321-326. 

  25. Lee, S.M. (1980) Some metamorphic aspects of the meta-pelites in Jirisan (Hadong-Sancheong) region. Jour. Geol. Soc. Korea, v.16, p.1-15. 

  26. Nam, G.S., Ryu, W.S. and Lee, J.D. (1989) Geological map of the Hadong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7. Park, K.-H., Kim, D.-Y. and Song, Y.-S. (2001) Sm-Nd mineral ages of charnockites and ilmenite-bearing anorthositic rocks of Jirisan area and their genetic relationship. Jour. Petrol. Soc. Korea, v.10, p.27-35. 

  28. Park, Y.-R., Ko, B.K. and Lee, K.-S. (2004) Oxygen and hydrogen isotope studies of fluid-rock interaction of the Hadong-Sancheong anorthositic rocks. Jour. Petrol. Soc. Korea, v.13, p.224-237. 

  29. Richardson, F.D.J. and Jeffes, H.E. (1952) The Thermodynamics of Substances of Interest in Iron and Steel Making III-Sulphides. J. Iron Steel Inst., v.71, p.165-175. 

  30. Robie, R.A. and Waldbaum, D.R. (1968) Thermodunamic Properties of Minerals and Related Sbubstances at 298K ( $25^{\circ}C$ and atmosphere (1.013bar) Pressure and at Higher Temperature. U. S. Geol. Suv. Bull. 1259p. 

  31. Scott, S.D. and Barnes, H.L. (1971) Sphalerite Geothermometry and Geobarometry. Econ. Geol., v.66, p.653-669. 

  32. Seo, J.R., Park, S.W., Lee, P.G., Oh, M.S. and Lee, B.J. (1993) Study of rare mineral resources in the Hadong area.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72p. 

  33. Shikazono, N. (1985) A Comparison of Temperatures Estimated from the Electrum-Sphalerite-Pyritear-Gentite Assemblage and Filling Temperatures of Fluid Inclusions from Epithermal Au-Ag vein-type Deposits in Japan. v.80, p.1454-1424. 

  34. Son, C.M. and Cheong, J.G. (1972) On the origin of anorthosite in the area of Hadon Sancheong, Gyeongsangnamdo, Korea. J. Kor. Inst. Mining Geol., v.5, p.1-20. 

  35. Spry, P.G. (2000) Sulfidation and Oxidation Haloes as Guides in the Exploration for Metamorphosed Massive Sulfide Ore. Reviews in Econ. Geol., p.149-1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