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아시아 S파 상대 주시 토모그래피
S-wave Relative Travel Time Tomography for East Asia 원문보기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20 no.1, 2017년, pp.18 - 24  

조성흠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  장성준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아시아 지역의 S파 맨틀속도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한반도와 일본 지역에 설치된 129개의 광대역 속도 관측소상에 기록된 원거리 지진 자료를 이용하여 S파 상대 주시 토모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보다 정확한 S파 상대 주시의 계산을 위해 다중 채널 상호 상관법을 적용하였으며 파선이론을 기초로 역산을 수행하였다. 역산 결과 주요 판의 경계를 따라 섭입하는 태평양판과 필리핀해판이 고속도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맨틀 전이대를 따라 수평으로 존재하는 태평양판이 확인되었다. 또한 한반도 동부의 하부에서 약 300 km 깊이까지 저속도 이상이 발견되었으며, 이 저속도 이상체는 울릉분지와 울릉도 형성에 연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도 하부 200 ~ 700 km 사이에 나타나는 저속도 이상은 제주도의 형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와 같은 저속도 이상체들은 한반도 주요 화산 활동의 근원이 깊은 맨틀에서부터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는 중요한 근거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erformed seismic imaging based on relative S-wave travel times to examine S-wave velocity of upper mantle structure beneath East Asia. We used teleseismic events recorded at 129 broadband stations of th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중 채널 상호 상관법을 통해 획득한 S파 상대 주시를 이용하여 동아시아 지역의 맨틀속도구조모델을 계산하였다. 역산 결과 태평양판과 필리핀해판을 지시하는 고속도 이상이 일본 지역 하부에 나타났으며, 제주도 형성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는 저속도 이상이 제주도 하부 200 ~ 700km 깊이까지 나타났다.
  • 이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지역의 S파 맨틀속도구조를 얻기 위해 진앙거리 30° 이상 90° 이하의 원거리 지진을 이용한 S파 상대 주시 토모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아시아 지역의 지진활동은 어떠한가? 일본열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은 유리시아판, 태평양판, 필리핀해판, 북아메리카판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세계에서 지진활동이 가장 활발한 지역에 속한다. 지진에 대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평가되던 한반도 역시 2016년 9월 경주 지역에서 규모 5.
토모그래피의 결과에서 이상이 어떻게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가? 4는 토모그래피의 결과를 깊이 단면으로 보여준다. 쿠릴 해구(Kuril trench), 일본 해구(Japan trench), 이즈-보닌 해구(Izu-Bonin trench), 난카이 해구(Nankai trough), 류큐 해구(Ryukyu trench)와 같은 판의 경계를 따라 고속도 이상이 나타나며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판의 이동 방향으로 고속도 이상이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지하속도구조모델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일본열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은 유리시아판, 태평양판, 필리핀해판, 북아메리카판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세계에서 지진활동이 가장 활발한 지역에 속한다. 지진에 대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평가되던 한반도 역시 2016년 9월 경주 지역에서 규모 5.8의 강진이 발생함을 통해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났으며, 이에 따라 지진발생 메커니즘을 파악하기 위한 지하속도구조모델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bdelwahed, M., and Zhao, D., 2007, Deep structure of the Japan subduction zone,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162, 32-52. 

  2. Asamori, K., and Zhao, D., 2015, Teleseismic shear wave tomo-graphy of the Japan subduction zone,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203, 1752-1772. 

  3. Bird, P., 2003, An updated digital model of plate boundaries, Geochemistry, Geophysics, Geosystems, 4, 1027, doi:10.1029/2001GC000252. 

  4. Brenna, M., Cronin, S., Kereszturi, G., Sohn, Y., Smith, I. M.,and Wijbrans, J., 2015, Intraplate volcanism influenced by distal subduction tectonics at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Bulletin of Volcanology, 77, 1-16. 

  5. Chang, S.-J., and Baag, C.-E., 2005, Crustal structure in southern Korea from joint analysis of teleseismic receiver functions and surface wave dispersion,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5, 1516-1534. 

  6. Chang, S.-J., and Baag, C.-E., 2007, Moho depth and crustal Vp/Vs variation in southern Korea from teleseismic receiver functions: Implication for tectonic affinity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 Bulletin of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7, 1621-1631. 

  7. Fukao, Y., Widiyantoro, S., and Obayashi, M., 2001, Stagnant slabs in the upper and lower mantle transition region, Reviews of Geophysics, 39, 291-323. 

  8. Kennett, B. L. N., and Engdahl, E. R., 1991, Travel times for global earthquake location and phase association,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105, 429-465. 

  9. Kim, S., Tkalcic, H., Rhie, J., and Y. Chen, 2016, Intraplate volcanism controlled by back-arc and continental structures in NE Asia inferred from transdimensional Bayesian ambient noise tomography,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3, 8390-8398, doi:10.1002/2016GL069483. 

  10. Li, C., and van der Hilst, R. D., 2010, Structure of the upper mantle and transition zone beneath Southeast Asia from traveltime tomograph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115, B07308, doi:10.1029/2009JB006882. 

  11. Liu, X., and Zhao, D., 2016, P and S wave tomography of Japan subduction zone from joint inversions of local and teleseismic travel times and surface-wave data,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252, 1-22. 

  12. Lou, X., van der Lee, S., and Lloyd, S., 2013, AIMBAT: A Python/Matplotlib tool for measuring teleseismic arrival times,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84, 85-93. 

  13. Simute, S., Steptoe, H., Cobden, L., Gokhberg, A., and Fichtner, A., 2016, Full-waveform inversion of the Japanese Islands reg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121,doi:10.1002/2016JB012802. 

  14. VanDecar, J. C., and Crosson, R. S., 1990, Determination of teleseismic relative phase arrival times using multi-channel cross-correlation and least-squares,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80, 150-169. 

  15. VanDecar, J. C., 1991, Upper-mantle structure of the Cascadia subduction zone from non-linear teleseismic travel-time inversion, Ph.D. thesi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16. Wei, W., Zhao, D., Xu, J., Wei, F., and Liu, G., 2015, P and S wave tomography and anisotropy in Northwest Pacific and East Asia: Constraints on stagnant slab and intraplate volcanism,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120, 1642-1666, doi:10.1002/2014JB011254. 

  17. Witek, M., van der Lee, S., and Kang, T.-S., 2014, Rayleigh wave group velocity distributions for East Asia using ambient seismic nois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1, 8045-8052,doi:10.1002/2014GL062016. 

  18. Zhao, D., and Ohtani, E., 2009, Deep slab subduction and dehydration and their geodynamic consequences: evidence from seismology and mineral physics, Gondwana Research,16, 401-4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