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성능/효과

  • 이 예측에 따르면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2017년 1월 현재 모든 기술이 거쳐가는 암흑기를 지나고 있으며, 상용화에 필요한 핵심 기술들이 완성된 후 시장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후속연구

  • 낮은 웨이브 임피던스를 가지는 자기공진방식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의 저주파 전자파의 합리적인 평가 방법 개발과 자기장에 의한 전자기기 전자파 간섭 현상에 대한 문제와 해결책의 분석이 요구된다. SAR 특성 등 고주파 전자기장의 인체 영향은 항상 주요 규제 대상이고, 회피를 이용한 인체 영향 저감의 경우에도 항상 전자파 인체영향의 위험이 존재하는 만큼, 시스템의 신뢰성 검토가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향후 주요 연구 주제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특히, 저주파 Small Antenna 해석 및 합리적인 측정 절차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고, 이에 맞는 측정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관련 시스템과의 간섭 문제 등을 고려한 주파수 선정과 규제 레벨 연구의 수행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코일과 커패시터의 공진 구조 설계 시 고전압 발생을 줄이기 위한 전압/전류의 예측과 고전압 방전 및 전류 누설에 관한 충분한 검토가 요구된다. 또한 무선전력전송 주파수 및 체배 고조파의 전자파 방사를 줄이기 위한 Common Mode 및 Harmonic 저손실 필터 설계에 대한 개발이 필수적이며, Foreign Object Detection 등 전자파 안전에 관한 기술이 활용될 가능성도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고주파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는 Array Antenna의 수신 감도 향상 기술과 더불어, Retro-directive 기술과 Time Reversal 기술을 활용하여 낮은 레벨의 전자파를 이용한 무선전력전송 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고주파 전력 발생장치에서의 전원 노이즈와 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제어 회로의 노이즈 차폐 기술이 요구되며, PCB를 통해 유입되는 Signal 및 Power 노이즈 저감 기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전력회로의 실시간 제어와 고조파 Spectrum의 제어 및 노이즈 저감을 위한 신호 및 전원 노이즈 저감 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코일 구조 설계 시 전자파 경로 제어를 위한 코일과 자성체 코어의 구조 설계와 자성체 재료의 강성 및 포화 자기장 개선 등이 요구되고, Chassis 설계, Noise Decoupling 기술의 적용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 마이크로파의 전파 직진성을 활용하여 Array Antenna를 이용한 전파 방향제어, Retro-directive, Time reversal 기술을 이용한 고효율화로 발생 전자파의 크기를 줄이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러나 전력을 무선으로 보내고 사용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연관된 EMC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필요조건이다. 송수신간 위치/거리 자유도 향상은 전자파 인체 영향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체 안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기술, 전자파 회피기술의 개발 필요하게 될 것이다.
  • 송수신간 위치/거리 자유도 향상은 전자파 인체 영향 문제 악화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 이는 사용 편의성 증대에 따라 EMC 문제가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고, 인체 안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기술, 전자파 회피 기술의 개발을 통해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간섭 및 인체 안전의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EMC 기술을 통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전력회로의 실시간 제어와 고조파 Spectrum의 제어 및 노이즈 저감을 위한 신호 및 전원 노이즈 저감 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코일 구조 설계 시 전자파 경로 제어를 위한 코일과 자성체 코어의 구조 설계와 자성체 재료의 강성 및 포화 자기장 개선 등이 요구되고, Chassis 설계, Noise Decoupling 기술의 적용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선전력전송 기술이란 무엇인가?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기존의 전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 대신,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대기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술로서, 1900년대 초반 Nikola Tesla에 의해 자기장 공진코일을 이용한 무선전력전송의 개념이 최초로 제안되었다. 이후 전동 칫솔 등 일부 전자기기에서 무선 충전 기술을 사용하였으나,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많지 않았고, 따라서 무선전력전송 시장 규모가 매우 작을 수밖에 없었다.
자기공진 방식의 장점은 무엇인가? 자기공진 방식은 마이크로파 방식과는 달리, 송신단과 수신단이 양방향으로 상호 인덕턴스에 의해 자기장으로 연결되어 있고, 근거리에서 마이크로파 방식에 비해 효율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수신단의 변화에 따라 송신단이 감지하는 임피던스가 달라지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공진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하기에 좋은 구조이다.
마이크로파 방식의 특징 및 장점은 무엇인가? 주파수는 원거리 전송에 적합한 GHz 대역을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2.45 GHz와 5.8 GHz를 사용한다. 이 주파수에서는 작은 크기의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여 빔포밍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자기공진 방식보다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DC-AC 및 AC-DC 변환 효율이 떨어져서 근거리에서 효율은 자기공진 방식에 비해 낮지만, 원거리에서는 자기공진 방식보다 효율이 높다. 따라서 원거리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이나, 효율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저전력 시스템의 경우에는 마이크로파 방식의 무선전력전송이 많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김성민, 김상원, 문정익, 조인귀, "무선충전 기술동향과 발전방향", 전자통신동향분석, 31(3), 2016년 6월. 

  2. S. Kim, H. H. Park, J. Kim, J. Kim, and S. Ahn, "Design and analysis of a resonant reactive shield for a wireless power electric vehicle", IEEE Trans. on Microwave Theory and Techniques, vol. 62, no. 4, pp.1057-1066, Apr. 2014. 

  3. J. Shin, S. Shin, Y. Kim, S. Ahn, S. Lee, G. Jung, B. Song, S. Jeon, and D. H. Cho,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haped magnetic resonance base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roadway-powered moving electric vehicles", IEEE Tra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61, no. 3, pp. 1179- 1192, Mar. 2014. 

  4. ICNIRP, "Guidelines for limiting exposure to time-varying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s (up to 300 GHz)", Health Phys, vol. 74, pp. 494-522, 1998. 

  5. ICNIRP, "Guidelines for limiting exposure to time-varying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1 Hz to 100 kHz)", Health Phys, vol. 99, no. 6, pp. 818-836, 2010. 

  6. Y. Chun, S. Park, J. Kim, J. Kim, H. Kim, J. Kim, N. Kim, and S. Ah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of resonance coupling wireless power transfer in on-line electric vehicle system", IEICE Trans. on Communications, vol. E97- B, no. 2, pp. 416-423, Feb.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