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서울시 미세먼지 농도의 지역적 특성파악을 위한 연구 - 구별 분포 특성 및 차량등록대수와의 관계 -
Understanding on Regi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 Matter in Seoul - Distribution of Concentration in Borough Spatial Area and Relation with the Number of Registered Vehicles -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6 no.1, 2017년, pp.55 - 65  

박종길 (인제대학교 환경공학과) ,  최윤정 (선일이엔씨) ,  정우식 (인제대학교 대기환경정보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verage concentration of PM in Seoul metropolitan area satisfied the Korean air quality standard in 2010. Furthermore, concentration of PM in all boroughs across Seoul met the air environment standard in 2012. $PM_{10}$ concentration was relatively higher in center of Seoul in comparis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황사가 대도시 대기의 농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대도시지역에 집중된 교통량에 의해 배출되는 미세먼지가 대도시의 상세 지역에서 공간적 분포와 특성에 따라 어떠한 경향을 보이며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사발생일과 관련하여 서울시 각 지역별(구별) 농도분포는 차이가 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먼저,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황사발생일 자료의 포함여부에 따른 농도변화 및 분포특성을 살펴본 결과,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바와 같이, 황사발생일의 자료를 포함한 경우의 미세먼지 농도가 제외한 경우에 비해 높게는 나타났지만, 서울시 각 지역별(구별) 농도분포의 경향은 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서울시의 경우, 미세먼지의 공간적 분포 경향 및 형태에 있어서는 황사 발생 여부보다는 해당 각 지역별 배출원의 분포특성 및 지표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리적, 지형적 특성이 더 크게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황사발생일의 자료 포함여부에 관계없이 최근으로 올수록 서울 각 지역에서의 연평균 농도는 점차적으로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2010년 이후에는 연평균 대기환경기준을 만족하는 지역들 이 늘어나서 서울 전체 평균은 대기환경기준을 만족하였고, 2012년에는 각 지역별 연평균 농도 또한 대기환경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PM10과 PM2.5가 발생하는 인위적인 요인의 예시는 무엇인가? PM10과 PM2.5는 크게 자연적,인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특히 산업 활동, 디젤엔진의 화석연료 연소 등과 같은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많이 발생하므로 대기오염물질 농도현황 분석 시 내부 오염 배출원인 차량에 의한 영향도 함께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Kim and Cho, 2006; Lipfert et al.,2006; Kim, 2013).
미세먼지가 유발하는 질환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 2015). 특히, 이들 미세먼지로 인해 인체 심혈관 및 호흡기계 질환을 유발하는 등의 위해성을 일으키며(Shin, 2007) 점차 그러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미세먼지와 연관된 대기오염은 일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주요 위험인자로(Schwartz, 1994) 알려져 있는데, PM10 농도와 사망자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을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오고 있다(Samet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e, H. J., 2014, Effects of short-term exposure to $PM_{10}$ and $PM_{2.5}$ on mortality in Seoul, J. Env. Health Sci., 40(5), 346-354. 

  2. Dimitrova, R., Lurponglukana, N., Fernando, S., Runger, G. C., Hyde, P., Hedquist, B. C., Anderson, J., Bannister, W., Johnson, W., 2012, Relationship between particulate matter and childhood asthma basis of a future warning system for central Phoenix, Atoms. Chem. Phys., 12, 2479-2490. 

  3. Jung, W. S., Park, J. K., Lee, B. R., Kim, E. B., 2013, Analysis on the $PM_{10}$ transportation route in Gimhae region using the HYSPLIT model, J. Env. Sci. Int., 22(8), 1043-1052. 

  4. Kang, S. N., 2015, Compa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limate elements and PM10 in southeast major cities, Master's Thesis, Pusan Nat. Univ., Korea. 

  5. Kim, D. Y., Cho, J. S., 2006, Air pollution in Seoul caused by aerosols, Report of Gyeonggi Res. Ins. 

  6. Kim, U. S., 2011, A Study of building customized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local $PM_{10}$ emission inventory in Seoul, Report of Seoul Develop. Ins. 

  7. Kim, Y. P., 2006, Air pollution in Seoul caused by aerosols, J. Korean Soc. Atmos. Env., 22(5), 535-553. 

  8. Kim, Y. S., 2013, $PM_{10}$ and $PM_{2.5}$ source identification study in industrial and commercial region, Ph.D's Thesis, Dong-A Uni., Korea. 

  9. Ko, H. J., Lim, E. H., Song, J. M., Kim, W. H., Kang, C. H., Lee, H. Y., Lee, C. K., 2015, Composition variation of atmospheric fine particulate matters in accordance with air mass transport pathways at background site of Korea in 2013, J. Korean Soc. Atmos. Env., 31(1), 15-27. 

  10. Lee, K. S., 2008, Spacio-temporal analysis of urban population exposure to traffic related air pollution, J. Eco. Geo. Soc. of Korea, 11(1), 59-77. 

  11. Lipfert, F. W., Wuzga, R. E., Baty, J. D., Miller, J. P., 2006, Traffic density as a surrogate measure of environmental exposures in studies of air pollution health effects: Long-term mortality in a cohort of US veterans, Atmos. Env., 40, 154-169. 

  12.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Guidelines for action plan of area air quality regulations, 496. 

  13. Park, J. K., Choi, Y. J., Jung, W. S., 2015, An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M_{10}$ concentration and its relation of the death from Asthma in Seoul, Korea, J. Env. Sci. Int., 24(7), 961-968. 

  14. Samet, J. M., Dominici, F., Curriero, F. C., Coursac, I., Zeger, S. L., 2000,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mortality in 20 U.S cities, 1987-1994, The New Eng. J. Med., 343, 1742-1749. 

  15. Schwartz, J., 1994, Air pollution and daily mortality : A Review and meta analysis, Env. Res., 64, 36-52. 

  16. Shin, D. C., 2007, Health effects of ambient particulate matter, J. Korean Med. Association, 50(2), 175-1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