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전도 대전류 입자가속기 원문보기

초전도와 저온공학 = Superconductivity and cryogenics, v.19 no.1, 2017년, pp.14 - 18  

김종원 (기초과학연구원,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상 데이터

  • 그림 8. RISP에서 제작한 네 종류 초전도 가속관들의 시제품.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전도가속기는 어떻게 처음 제안되었는가? 초전도가속기의 역사는 1961년 스탠포드 대학의 Fairbank 교수가 초전도가속관으로 전자 빔 가속을 제안하여 시작되었고 64년 같은 그룹에서 납을 구리표면에 코팅하여 만든 초전도가속관으로 전자를 최초로 가속하였다. 한편 이온빔의 경우는 1978년 미국 알곤 국립연구소에서 세계최초의 초전도 중이온 가속기를 완성하여 지금도 사용하고 있다, 양성자 빔은 미국 오크리지 연구소 SNS(Spallation Neutron Source)에서 전자빔 가속을 위해 개발한 elliptical 가속관을 사용하여 186 MeV로 부터 1 GeV 이상의 에너지로 빔을 가속한다 [1].
초전도체로 만들어진 가속관의 경우 높은 전압을 생성할때 가속관내 전자기장에 의한ohmic 손실이 어떠한가 초전도체로 만들어진 가속관의 경우 높은 전압을 생성할 경우에도 가속관내 전자기장에 의한 Ohmic 손실이 거의 없다. 초전도체에서 DC 전류는 전력손실이 전혀 없지만 AC 전류는 아래식과 같은 두 종류의 저항에 의한 전력손실이 발생한다.
초전도체에서 AC 전류의 식을 나타내면? Rs =  RBCS(T) + Rre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M. A. Plum, "Commissioning of the spallation neutron source accelerator systems", Proc. of PAC 2007, Albuquerque USA, pp2603-2607 June 25-29 (2007) 

  2. C. Darve et al., "The ESS superconducting accelerator", Proc. of SRF 2013.Paris, France pp 77-79 Sep. 23-27 (2013) 

  3. Y. S. Cho et al., "The operation experience at KOMAC", Proc. of HB 2016 Malmo, Sweden pp 468-473 July 3-8 (2016) 

  4. J. Wei et al., "The FRIB project- Accelerator challenges and progress", Proc. of HIAT 2012 Chicago, USA pp 8-19 June 18-21 (2012) 

  5. J. Benitez et al., "Current developments of the VENUS ion source in research and operations", Proc. of ECRIS 2012.Sydney, Australia pp 153-158 Sep. 25-28 (2012) 

  6. S. C. Jeong, "Progress of the RAON heavy ion accelerator project in Korea", Proc. of IPAC 2016, Busan Korea, pp4261-4265 May 8-13 (2016) 

  7. J. Biarrotte et al., "Design of the MYRRHA 17-600 MeV superconducting linac", Proc. of SRF 2013.Paris, France pp 129-132 Sep. 23-27 (2013) 

  8. K. Shinto and C.Vermare, "Present status of the accelerator system in the IFMIF/EVEDA project", J. Plasma Fusion Res. SERIES V9 378-381 174-179 (2010)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