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화물 반도체 소자의 센서 응용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 = Bulleti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0 no.2, 2017년, pp.19 - 27  

임유승 (세종대학교 지능기전공학부)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특집에서는 이러한 산화물 반도체의 현재 위치에서 학교와 연구소, 그리고 더 나아가 기업에서 바라보고 있는 ‘디스플레이 스위칭 소자 기술’에서 벗어나 상용화 과정으로 가기 전 새로운 갈래의 연구 방향성을 논해 보고자 한다.
  • 연구 동향 지금까지 프린팅 기반 산화물 반도체 소재의 성능 향상과 저온 공정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면, 본 챕터에서는 최근 디스플레이 스위칭 소자로써의 가능성을 넘어서 센서응용소자로서의 연구동향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특히, 광센서와 바이오센서로의 응용에 대해 살펴보고 발전 가능성에 대해 다뤄본다.
  • 지금까지 새로운 프리커서 합성과 후처리 방법에 의한 저온 산화물 반도체 형성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우수한 소자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추가적으로 공정 과정에서 소자의 특성 향상법, 새로운 구조를 이용한 고이동도 구현, 하이브리드 형태의 나노 재료가 첨가된 산화물 반도체에 대한 접근도 시도되고 있다.
  • 본 특집에서는 이러한 산화물 반도체의 현재 위치에서 학교와 연구소, 그리고 더 나아가 기업에서 바라보고 있는 ‘디스플레이 스위칭 소자 기술’에서 벗어나 상용화 과정으로 가기 전 새로운 갈래의 연구 방향성을 논해 보고자 한다. 특히, 공정 기법 중 하나인 프린팅 기술의 현재 연구 동향을 살핀 후 다양한 센서 소자 기술로의 가능성과 전망을 다루고 새로운 관점에서 다시 시작하는 산화물반도체 연구가 주목 받을 수 있는 방향성을 본 특집에서 다루고자 한다.
  • 연구 동향 지금까지 프린팅 기반 산화물 반도체 소재의 성능 향상과 저온 공정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면, 본 챕터에서는 최근 디스플레이 스위칭 소자로써의 가능성을 넘어서 센서응용소자로서의 연구동향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특히, 광센서와 바이오센서로의 응용에 대해 살펴보고 발전 가능성에 대해 다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에서 상용화에 성공 혹은 박차를 가하고 있는 산화물 반도체의 활용방안은 무엇인가? 특정 기술에 대한 연구들이 대학, 연구소, 기업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이 되어 왔으며, 소자의 특성 향상으로는 이동도, 신뢰성, 수율에 초점을 맞추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공정방법 또한 진공증착방식을 벗어나 프린팅 기술 접목까지 폭넓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연구는 고해상도, 대면적의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능동형유기발광다이오드(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MOLED)의 백플레인 기술에 접목하기 위해 진행되어 왔으며, 국내외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에서 상용화에 성공혹은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초 연구 단위를 벗어나 상용화 과정 속에서 대학과 연구소의 역할 축소와 연구테마의 방향성에 대해 많은 연구 그룹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고자 노력하고는 있으나 변화한 산화물 반도체 연구 생태계에서 줄어든 연구 규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프린팅 기반의 산화물 박막의 경우 근본적인 재료에 대한 접근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프린팅 기반 산화물 반도체의 저온 형성 방법으로 근본적인 재료의 화학적 접근법이 다양하게 시도가 되었으며, 새로운 프리커서 구조와 열처리 과정에서의 화학적 반응에 초점이 맞추어져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프린팅 기반의 산화물 박막의 경우 고품질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고온의 열처리가 기본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근본적인 재료에 대한 접근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재료적 접근으로 새로운 알콕사이드 산화물 프리커서를 합성과 수 화반응을 기반으로 250도 이하에서 고품질의 IZO 산화물 반도체 형성을 통해 우수한 트랜지스터 특성이 보고되었으며, 열처리 온도 210도에서 전계효과 이동도가 약 4cm2/Vs, 온-오프비 106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그림 1 (a)) [2].
프리커서를 활용하여 제작된 In2O3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은 어떠한가? 산화제로서는 금속질화물에 포함되어 있는 NO3-, 연료로는 아세틸아세톤(acetylacetone) 또는 요소(urea)를 사용하여 적절한 비율에 따른 최적의 연소과정이 연구되었다. 일반적인 프리커서를 활용하여 제작된 In2O3 트랜지스터의 경우 250도 열처리 조건에서 전계효과 이동도 10-4cm2/Vs 수준의 매우 낮은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연소 법에 의해 제작된 소자의 경우 3.37 cm2/Vs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X. Yu, T. J. Marks, and A. Facchetti, Nat. Mater., 15, 383 (2016). 

  2. K. K. Banger, Y. Yamashita, K. Mori, R. L. Peterson, T. Leedham, J. Rickard, and H. Sirringhaus, Nat. Mater., 10, 45 (2011). 

  3. M. G. Kim, M. G. Kanatzidis, A. Facchetti, and T. J. Marks, Low-temperature fabrication of high-performance metal oxide thin-film electronics via combustion processing. Nat. Mater., 10, 382 (2011). 

  4. Y. H. Hwang, J.-S. Seo, J. M. Yun, H. Park, S. Yang, S.-H. K. Park, and B.-S. Bae, NPG Asia Mater., 5, e45 (2013). 

  5. Y. S. Rim, H. Chen, T.-B. Song, S.-H. Bae, and Y. Yang, Chem. Mater., 27, 5808 (2015). 

  6. H. Chen, Y. S. Rim, C. Jiang, and Y. Yang, Chem. Mater., 27, 4713 (2015) 

  7. Y. S. Rim, W. H. Jeong, D. L. Kim, H. S. Lim, K. M. Kim, and H. J. Kim, J. Mater. Chem., 22, 12491 (2012). 

  8. T. Jun, K. Song, Y. Jeong, K. Woo, D. Kim, C. Bae, and J. Moon, J. Mater. Chem., 21, 1102 (2011) 

  9. J. S. Heo, J.-W. Jo, J. Kang, C.-Y. Jeong, H. Y. Jeong, S. K. Kim, K. Kim, H.-I. Kwon, J. Kim, Y.-H. Kim, M.-G. Kim, and S. K. Park, ACS Appl. Mater. Interfaces, 8, 10403 (2016). 

  10. D. J. Kim, D. L. Kim, Y. S. Rim, C. H. Kim, W. H. Jeong, H. S. Lim, and H. J. Kim, ACS Appl. Mater. Interfaces, 4, 4001 (2012). 

  11. H. W. Zan, W. W. Tsai, C. H. Chen, and C. C. Tsai, Adv. Mater., 23, 4237 (2011). 

  12. X. Liu, C. Wang, B. Cai, X. Xiao, S. Guo, Z. Fan, J. Li, X. Duan, and L. Liao, Nano Lett., 12, 3596 (2012). 

  13. Y. S. Rim, H. Chen, X. Kou, H.-S. Duan, H. Zhou, M. Cai, H. J. Kim, and Y. Yang, Adv. Mater., 26, 4273 (2014). 

  14. Y. S. Rim, Y. M. Yang, S.-H. Bae, H. Chen, C. Li, M. S. Goorsky, and Y. Yang, Adv. Mater. 27, 6885 (2015). 

  15. G. H. Gelinck, A. Kumar, D. Moet, J. L. van der Steen, A. J. J. M. van Breemen, S. Shanmugam, A. Langen, J. Gilot, P. Groen, R. Andriessen, M. Simon, W. Ruetten, A. U. Douglas, R. Raaijmakers, P. E. Malinowski, and K. Myny, IEEE Trans. Electron. Dev., 63, 197 (2016). 

  16. J. Kim, Y. S. Rim, H. Chen, H. H. Cao, N. Nakatsuka, H. L. Hinton, C. Zhao, A. M. Andrews, Y. Yang, and P. S. Weiss, ACS Nano, 9, 4572 (2015). 

  17. Y. S. Rim, S. H. Bae, H. Chen, J. L. Yang, J. Kim, A. M. Andrews, P. S. Weiss, Y. Yang, and H. R. Tseng, ACS Nano, 9, 12174 (2015). 

  18. K. M. Daum and R. M. Hill, Invest. Ophthalmol. Vis. Sci., 22, 509 (1982). 

  19. R. Badugu, J. R. Lakowicz, and C. D. Geddes, Anal. Chem., 76, 610 (2004). 

  20. S. Park, S. Lee, C. H. Kim, I. Lee, W. J. Lee, S. Kim, B. G. Lee, J. H. Jang, and M. H. Yoon, Sci. Rep. 5, 13088 (2015). 

  21. J. Jung, S. J. Kim, K. W. Lee, D. H. Yoon, Y. G. Kim, H. Y. Kwak, S. R. Dugasani, S. H. Park, and H. J Kim, Biosens. Bioelectron., 55, 99 (2014).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