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베이비부머의 사회참여활동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Social Participation among Female Baby Boomer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1 no.1, 2017년, pp.89 - 111  

홍성희 (계명대학교 소비자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social participation among female baby boomers. The key research questions were asked in what kind of activities do female baby boomers engage as social participation? The in-depth interview was used with 11 female baby boomers who were bor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이비붐 세대가 속해있는 중년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즉, 부모 자녀의 관계 수명이 길어지게 되었고, 출산율 감소와 소자녀화로 자녀에 대한 투자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부부관계의 중요성을 증가시켰다. 그러므로 베이비붐 세대가 속해있는 중년기는 가족관계에 있어 새로운 전환이 필요한 시기로, 자녀양육을 중심으로 한 부모역할에서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한 남편, 아내역할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가족 생활주기 측면에서는 ‘빈 둥지 시기’에 해당되어 상실감과 함께 가족관계의 의미가 새롭게 부각되는 시기이다(홍성희 곽인숙, 2014). 이러한 가족의 변화 속에서 여성 베이비부머는 새로운 경험을 중심으로 새로운 가족규범을 창출하기 시작한 세대로, 남성과 또 다른 이질성을 가지고 있다(한경혜, 2010).
베이비부머는 누구인가? 우리나라의 베이비부머는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출생한 인구로, 베이비부머의 시작 연령인 1955년 출생자가 2010년 정년을 시작하는 55세에 이르면서 이들의 은퇴와 노후 삶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들이 사회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4년 현재 약 14%로(통계청, 2014), 고령화 사회에서 기대수명의 연장으로 ‘100세 시대’를 맞이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베이비부머가 사회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베이비부머는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출생한 인구로, 베이비부머의 시작 연령인 1955년 출생자가 2010년 정년을 시작하는 55세에 이르면서 이들의 은퇴와 노후 삶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들이 사회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4년 현재 약 14%로(통계청, 2014), 고령화 사회에서 기대수명의 연장으로 ‘100세 시대’를 맞이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강소랑.문상호(2012). 가족관계 사회자본이 중고령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46(3), 271-298. 

  2. 강은나.김혜진.김영선(2012). 베이비부머의 노년기 근로지속의사 및 근로형태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55), 159-182. 

  3. 강현정(2012).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활동참여 여부가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7, 429-448. 

  4. 김순미.고선강(2012). 중년기 가정의 세대 간 경제적 자원이전과 노후생활 준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59-76. 

  5. 김영란.주재선(2010). 베이비붐세대 남녀 특성 비교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6. 김유정(2009). 중년 부부의 삶의 의미: 코오리 엔테이션 모델 적용,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종인.김윤정(2013).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사회참여 의향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4(2), 655-663. 

  8. 김주현(2009). 노인의 생산적 활동 참여와 생활만족도, 노인인력개발포럼, 114-141. 

  9. 김지훈.강욱모.문수열(2013).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자본 인식과 사회적 자본 형성간의 관계 분석 : 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0(3), 25-50. 

  10. 김진영.송예리아(2012), 여가활동의 질과 건강의 관계, 보건과 사회과학, 32, 15-144. 

  11. 남순현.김미혜(2014). 베이비부머의 여가중심 라이프스타일, 은퇴준비 및 부부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4(1), 183-203. 

  12. 박주희(2016). 베이비부머 세대의 가족특성이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4), 1-17. 

  13. 방하남.신동균.이성균.한준.김지경.신인철(2010).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4. 배문조(2009).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3), 1107-1122. 

  15. 서지원(2012). 베이비부머 가계의 경제구조 및 경제적 만족도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1), 41-66. 

  16. 신창식.최수일(2010). 노년기 여가활동과 사회자본 및 삶의 만족 관계, 호텔관광연구, 12(3), 173-189. 

  17. 신연희.한경혜.김호기.김병후.김혜영.박경숙(2010). 위기의 베이비붐 세대, 사회적 해결책은 있는가?, 한국가정법률상담소. 

  18. 신호창.노형신(2010). 고령화 사회 대비 효과적 고용정책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토대 연구: 연령대별 인식차이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일반, 16(1), 5-40. 

  19. 어성연.조희금.고선강(2010). 전문직 미혼 남녀의 만혼현상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1-19. 

  20. 여미영(2009).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홍직(2009).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 25(3), 25-42. 

  22. 장유미(2011).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사회적 자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3(2), 261-289. 

  23. 장지연.신동균.신경아.이혜정(2009). 중고령자 근로생애사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4. 정경희.이소정.이윤경.김수봉.선우덕.오영희.김경래.박보미.유혜영.이은진(2010). 베이비 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5. 정경희.오영희.이윤경.박보미(2011). 베이비 부머의 삶의 다양성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6. 정순둘.이현희(2012). 가족특성과 노후준비의 관계 : 베이이붐 세대와 예비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58, 209-232. 

  27. 정순둘.성민현(2012).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보건사회연구, 32(4), 249-272. 

  28. 정순둘.김성원(2013),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신체적 노후준비 영향요인 Andersen과 Newman 모델의 적용, 노인복지연구, 59, 37-256. 

  29. 정순둘.박현주.오은정(2013). 베이비부머의 은퇴 후 희망 노후생활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62, 289-316. 

  30. 정호성.강성원.문외솔.박준.손민중.이찬영.이은미.이민훈.박번순(2010). 베이비붐 세대 은퇴의 파급효과와 대응방안-주요국(미.일) 비교 포함-, 삼성경제연구소. 

  31. 조성숙.서훈(2011). 우리나라 중년 남성과 여성의 노후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2(4), 707-717. 

  32. 조영희(2011). 베이비부머 세대의 인적자원관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차 추계학술대회자료집, 45-60. 

  33. 조윤주(2008), 자원 봉사를 하는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참여 노인의 생성감과 가족의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7(2), 91-205. 

  34. 차성란(2012).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미래 사회적 자본: 베이비붐 세대의 집단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1), 67-83. 

  35. 통계청(2014). 2014 혼인 이혼통계 

  36. 한경혜.이정화.Ryff. C. Marks. N..옥선화.차승은(2003), 한국 중년기 남녀의 건강상태 및 건강 관리 행동 성별, 연령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1), 213-229. 

  37. 한경혜(2010). 한국의 베이비부머 :라이프코스와 생활세계에 대한 이해, 2010년 한국노년학회 학술대회자료집 

  38. 한동희(2014). 여성노인의 사회자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5(3), 479-500,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9. 홍성희.곽인숙(2014). 성인자녀와의 지원교환이 중년부모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69-91. 

  40. Bourdieu, P.(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G. Richardason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on New York, Greenwood. 

  41. Burt, R. S.(2007). Brokerage and Closure: An Introduction to Social Capital. Oxford Journals, 23(5), 666-667. 

  42. Coleman, J. S.(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S), S94-S121. 

  43. Costa, D. L., Kahn, M. E.(2001). Understanding the decline in social capital, 1952-1998. NBER Working Paper, 82-95. 

  44. Hsu, H.(2007). Does Social Participation by the Elderly Reduce Mortality and Cognitive Impairment?, Aging and Mental Health, 11(6), 699-707. 

  45. Ingen, E.(2008). Social Participation Revisited: Disentangling and Explaining Period, Life- Cycle and Cohort Effects, Acta Sociologica, 51(2), 103-121. 

  46. Isham, J., Kolodinsky, J., Kimberly Garrett(2006). The effect of volunteering for nonprofit organizations on social capital formation: Evidence from a statewide Survey,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35(1), 367. 

  47. Laslett(1991). A fresh map of life: The emergence of the Third age, Harvard University Press. 

  48. Lochner, K. Kawachi, I., Kennedy. B.(1999). Social capital: a guide to its measurement. Health and Place, 5, 259-270. 

  49. Mammen, S., Bauer, J.W., Lass, D.(2009). Life Satisfaction Among Rural Low-Income Mothers: The Influence of Health, Human, Personal and Social Capital, Applied Research Quality Life 4, 365-366. 

  50. Newton, K.(1997). Social Capital and Democracy,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0(5), 575-586. 

  51. Portes, A.(1998).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ology. Annual Review or Sociology, 24, 1-24. 

  52. Sperrazza, L., & Banerjee, P.(2010). Babyboomer and Senior: Understanding their leisure values enhances programs, Activites, Adaptation and Aging, 34, 196-215. 

  53. Vemuri, A. W., Grove. J. M., Wilson. M. A., Burch Jr. W. R.(2011). A Tale of two scales: Evaluating the Relationship Among Life Satisfaction, Social Capital, Income,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t Individual and Neighborhood Levels in Metropolitan Baltimore. Environment and Behavior, 43(1), 3-25. 

  54. Whitbourne, S. K. (2001). The physical aging process in midlife : Interactions with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factors. In M. E. Lachman(Ed), handbook of midlife development, 109-155. New York : John Wile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