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농업 철학과 원칙의 회복을 통한 위기 극복 방안
Issues on Overcoming Present Crises of Organic Agriculture through its Philosophy and Principle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5 no.1, 2017년, pp.53 - 69  

김호 (단국대학교 환경자원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rganic farming was begun with principles and values like environmental friendliness, symbiosis, and cooperation and circulation. And there has cut keen market competition, as sales and market size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have been much larger. Thus producers and consumers have kept u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1970년대 중반, 유기농업의 조직화를 통해 시작했던 생산자 및 소비자조직의 선구자들이 내세웠던 초심으로 돌아갈 필요성이 있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과거에 제안했던 유기농업의 개념과 유기농업의 철학6)을 다시 제시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유기농업의 발생배경 및 전개과정, 유기농업의 변화 추이, 친환경인증제도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유기농업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유기농업의 개념과 철학 및 원칙의 관점에서 유기농업 위기의 극복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 협의회에서는 1995년 5월 30일에 환경보전형 농업의 제도적 운영방안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하여 ‘환경보전을 위한 농산물 생산 및 가공·유통 지원법(안)’을 발표하였다. 이 법안의 목적을 보면 당시의 친환경농업에 대한 취지와 추진방식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즉 수질 및 토양오염의 방지, 농경지의 지속적인 경작, 자연경관의 보전 등 농업환경을 보전하고 소비자에게 안전한 식품을 공급한다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 이 연구는 현재의 유기농업이 위기라는 문제의식을 전제로 하여, 이를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기농업의 발생배경 및 전개과정, 유기농업의 변화 추이, 친환경인증제도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유기농업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 유기농산물 소비자단체 중 대표적인 것은 한살림생협과 아이쿱생협, 행복중심생협 등이다. 한살림은 1986년에 12월 4일에 설립되었으며, 설립 목적은 생명의 세계관 및 가치관의 확산과 이에 맞는 생태농업을 기반으로 한 생산과 생활양식의 실천을 통해 더불어 사는 생명살림세상을 이루어가는 데에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목표를 생태순환형 지역농업의 육성 및 실현과 환경친화적 생활양식의 실천, 생산자와 소비자의 공존 공생 등에 두고 있다(Kim, 2007)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농회의 창립목적은 무엇입니까? 정농회는 하나님의 사랑을 생명의 농사로 실천하는 모임이다. 정농회의 창립목적은 경천애인의 진리를 농업으로 구현하여 우리나라 전 농토가 화학오염으로부터 벗어나, 자연환경 및 생태계의 질서를 보전하는 생명농업으로 조속히 전환할 것을 바라고 유기농업을 솔선 실천함으로써 전 국민의 건강증진과 건전한 생활풍토 조성에 기여(Lim et al., 2016)하는 데에 있다. 정농회는 일본의 「愛農會」와 교류를 계기로 조직되었으며, 지금도 생산자들이 조직단위로 상호 방문하며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친환경농업의 확산 배경은 무엇입니까? 친환경농업은 소비자의 식품안전성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농업인의 품질차별화를 통한 소득향상 기대,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적극적인 친환경농업육성정책, 친환경인증제의 실시에 따른 가격차별화 가능성 등에 따라 급속히 확산되었다.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친환경 농업 면적은 연평균 유기농업이 40.
2010년을 정점으로 친환경농업이 감소추세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그런데 2010년을 정점으로 친환경농업이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저농약인증의 중단과 폐지예고 뿐 아니라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 대표적인 차별화 유통경로인 생협 유통물량의 낮은 증가율, FTA로 인한 수입 유기농식품의 증가,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친환경농산물 가격 및 소득이 정체되고 있는 데에 기인하고 있다. 더구나 최근 이슈가 된 부실·허위인증 사태로 인한 소비자 신뢰도 저하, 경기침체 및 실질소득의 감소 등 때문에 수요가 획기적으로 늘어나지 않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oi, D. C. 2012. Principles and New Directions of Organic Agriculture. KAOA Symposium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2. Heo, J. 2007. Discussion on the "Conventionalization" and Crisis of Organic Agriculture.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30(1): 1-30. 

  3. Jeong, H. K. and D. H. Moon. 2013. Response Strategy to Abolishment of Low-Pesticide Agricultural Product Certification. KREI. 

  4. Kim, C. G., H. K. Jeong, and D. H. Moon. 2012. Production and Consumption Status and Market Prospects for Environment-Friendly Agri-foods. KREI. 

  5. Kim, H. 1994. A Study on the Economic Background and Management Method in Organic Farming. Korean J. Org. Agric. 3(1): 43-70. 

  6. Kim, H. 1995. A Study on the Evolution Directions of Development Policy for Environmentally Conscious Agriculture. Th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36(1): 203-227. 

  7. Kim, H. 2007. Implications and Situations of Hansalim's Green Marketing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roducts. Korean J. Org. Agric. 15(1): 25-42. 

  8. Kim, H. 2014. Organic Agriculture; Past, Present and Future. KAOA Symposium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9. Lim, R. K., et. al. 2016. People who have sowed Seeds of Jeongnong. Jeongnong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