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nnealing 효과가 Diketopyrrolopyrrole 기반 고분자 박막 트랜지스터의 양극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
Annealing Effects on Ambipolar Characteristics of Diketopyrrolopyrrole-Based Polymer Thin-Film Transistors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0 no.3, 2017년, pp.180 - 184  

윤규복 (부경대학교 인쇄정보공학과) ,  이지열 (부경대학교 인쇄정보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diketopyrrolopyrrole (DPP) containing polymer semiconductors that have been reported to show high performance with ambipolar characteristics. We prepared three different DPP based polymer semiconductors (PDPPTPT, PDPP3T, and PDPP2T-TT) and fab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는 3,6-di-2-thienyl-1, 4-diketopyrrolo[3,4-c]pyrrole (T-DPP-T)에 1,4-phenylene 단위가 붙여진 PDPPTPT (그림 1(b))와 2,5-thienylene이 붙여진 PDPP3T (그림 1(c)), 그리고 thieno [3,2-b] thiophenes 단위가 더해진 PDPP2T-TT (그림 1(d)), 이렇게 세 가지 종류의 DPP 기반 고분자 반도체를 활성층으로 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제작하여 진공 어닐링 효과가 양극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표면은 소수성 (疏水性)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다음 단계로, 박막 트랜지스터의 활성층을 형성하기 위해, 아르곤 분위기의 글러브 박스 내에서 합성된 DPP 기반의 고분자 반도체 3종의 용질을 chloroform에 5 mg/mL의 농도로 녹였다. 이 때 사용된 3종의 DPP 고분자 반도체 중에서 PDPPTPT와 PDPP3T는 기존에 보고된 합성법을 따라 합성하였고[8, 9], 합성된 고분자의 분자량 (Mw)은 각각 37,046(PDI: 2.
  • 그 다음으로, 기판의 잔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동시에 SiO2 표면에 자기 조립 단분자막(self-assembled monolayer, SAM)이 잘 성장되도록–OH기를 공급해주기 위해 UV-O3 처리를 1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 이 때 n++-Si 웨이퍼는 기판이자 게이트 전극으로 사용되었으며 절연층으로 사용되는 SiO2는 약 11 nF/cm2의 정전용량을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기판의 표면을 세척하기 위해, Acetone과 IPA에 각각 10분 동안 담그고, 초음파를 가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으로, 기판의 잔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동시에 SiO2 표면에 자기 조립 단분자막(self-assembled monolayer, SAM)이 잘 성장되도록–OH기를 공급해주기 위해 UV-O3 처리를 1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 Atomic force microscope를 통해 측정된 고분자 박막의 최종적인 두께는 약 30 nm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고분자반도체 박막위에 소스/드레인 전극을 형성하여, 하부 게이트/상부전극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를 완성하기 위해 열증착법으로 약 50 nm 두께의 금을 증착하였다. 그림 2(b)는 소스/드레인 전극을 위해 사용한 shadow mask를 보여주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DPP 기반 고분자 반도체 3종(PDPPTPT, PDPP3T, PDPP2T-TT)으로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작하고, 제작한 소자의 어닐링 전, 후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어닐링 전에는 공기 중의 수분이 DPP기반 고분자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채널층으로 확산됨으로 인해 전자의 수송이 제약을 받아 n-type 특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200℃의 온도로 24시간 동안 진공 오븐에서 어닐링한 이후에는 전자의 Trap site로 작용할 수 있는 수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p-type과 n-type이 동시에 나타나는 양극성 특성을 보여주었다.
  • 따라서, p-type 특성만 나타나고 있는 우리의 DPP 고분자 반도체 기반 트랜지스터에서 양극성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확산되어 들어간 수분 분자의 제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그림 3과 그림 4에서 보인 전기적 특성을 갖는 DPP 기반 고분자 박막 트랜지스터를 진공 오븐에서 200℃의 온도로 24시간 동안 어닐링하였다
  • 30분 후 n-Hexane, ethanol의 순서로 기판을 세척하고, 질소가스를 불어준 후, 핫플레이트에서 120℃의 온도로 30분 동안 baking하였다. 이어서 기판 표면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붙어있는 ODTS를 제거하고, 기판과 반응한 단분자층만 남기기 위해 chloroform에서 5분 동안 초음파 세척을 한 다음 다시 동일한 용매로 헹군 이후 질소가스를 불어서 잔유 용매를 제거하였다.
  • 제작한 소자의 전기적 특성은 Labivew 프로그램으로 제어되는 Keithley 236과 Keithley 2635에 연결된 진공 probe station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그림 3은 각기 다른 3종의 DPP 고분자 (PDPPTPT, PDPP3T, 그리고 PDPP2T-TT) 기반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측정된 게이트 전압 – 드레인 전류 전달 곡선을 보여주고 있다.
  • 5)는 ONE- material (社)에서 구입한 것을 추가적인 정제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준비된 고분자 반도체 용액은 앞서 세척 후 표면 처리한 기판 위에 적당량 떨어뜨리고, 1,000 rpm으로 5초, 1,500 rpm으로 30초 동안 스핀코팅으로 박막을 형성한 후, 고분자 박막이 코팅된 기판을 아르곤 분위기내의 핫플레이트에서 20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열처리 하였다. Atomic force microscope를 통해 측정된 고분자 박막의 최종적인 두께는 약 30 nm로 확인되었다.

대상 데이터

  •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작하기 위해 기판은 열산화법으로 성장된 300 nm 두께의 SiO2를 가진 n++-Si 웨이퍼를 사용하였다. 이 때 n++-Si 웨이퍼는 기판이자 게이트 전극으로 사용되었으며 절연층으로 사용되는 SiO2는 약 11 nF/cm2의 정전용량을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연전자기기 또는 의복형 전자기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은? 이러한 유연전자기기 또는 의복형 전자기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단단한 반도체 기판을 기반으로 구현되었던 전자 소자와는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소자제조 기술이 필요하다. 즉, 기존 실리콘 웨이퍼를 깎아서 만들었던 top-down식의 전자소자 제조 방법과는 차별화 되어 유연한 기판 위에 여러 가지 전자 응용소자들을 bottom-up 방식으로 쌓아서 집적시키는 가산공정(additive process) 기술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유연전자기기의 특징은? 최근 사물 인터넷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전자기기의 휴대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접거나 구부릴 수 있는 유연전자기기(flexible electronics) 더 나아가 항시 몸에 부착이 가능한 의복형 전자기기(wearable electronics)의 개발이 점차 가시화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유연전자기기 또는 의복형 전자기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단단한 반도체 기판을 기반으로 구현되었던 전자 소자와는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소자제조 기술이 필요하다.
DPP 유도체 기반의 고분자 반도체의 특성은? 고분자 기반의 반도체는 기계적으로 유연한 성질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용매에 용해되어 잉크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가산공정을 통해 유연한 전자기기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여겨진다 [1-4]. 특히, 여러 합성 가능한 고분자 반도체 중에서 그림 1(a)에 보인 diketopyrrolopyrrole (DPP) 유도체 기반의 고분자 반도체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활성층으로 적용되었을 때에 비정질 상을 가지면서도 10 cm2/Vs 이상의 높은 이동도를 보이며, 절연체 층과 접하면서 형성되는 계면의 물리⋅화학적인 상태에 따라 n-type의 전하와 p-type의 전하가 동시에 흐를 수 있는 양극성(Ambipolar property)을 갖기 때문에, 관련 연구자로부터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5-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G. Gelinck, P. Heremans, K. Nomoto, and T. D. Anthopoulos, Adv. Mater., 22, 3778 (2010). [https://doi.org/10.1002/adma.200903559] 

  2. T. Someya, Stretchable Electronics (Wiley-VCH Cerlag Gmbh & Co. KGaA, Weinheim) (2013) p. 271. 

  3. E. Cantatore, Applications of Organic and Printed Electronics (Springer, Heidelberg, 2013) p. 3. [DOI: https://doi.org/10.1007/978-1-4614-3160-2] 

  4. J. Jang,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29, 527 (2016). [DOI: https://doi.org/10.4313/JKEM.2016.29.9.52] 

  5. C. B. Nielsen, M. Turbiez, and I. McCulloch, Adv. Mater., 25, 1859 (2013). [DOI: https://doi.org/10.1002/adma.201201795] 

  6. J. Li, Y. Zhao, H. S. Tan, Y. Guo, C. A. Di, G. Yu, Y. Liu, M. Lin, S. H. Lim, Y. Zhou, H. Su, and B. S. Ong, Sci. Rep., 2, 754 (2012). 

  7. J. D. Yuen, J. Fan, J. Seifter, B. Lim, R. Hufschmid, A. J. Heeger, and F. Wudl, J. Am. Chem. Soc., 133, 20799 (2011). [DOI: https://doi.org/10.1021/ja205566w] 

  8. J. S. Lee, S. K. Son, S. Song, H. Kim, D. R. Lee, K. Kim, M. J. Ko, D. H. Choi, B. S. Kim, and J. H. Cho, Chem. Mater., 24, 1316 (2012). [DOI: https://doi.org/10.1021/cm2037487] 

  9. J. C. Bijleveld, V. S. Gevaerts, D. D. Nuzzo, M. Turbiez, S.G.J. Mathijssen, D. M. de Leeuw, M. M. Wienk, and R.A.J. Janssen, Adv. Mater., 22, E242 (2010). [DOI: https://doi.org/10.1002/adma.201001449] 

  10. S. M. Sze, Physics of Semiconductor Devices, 2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1981) p. 442. 

  11. L. L. Chua, J. Zaumseil, J. F. Chang, E.C.W. Ou, P.K.H. Ho, H. Sirringhaus, and R. H. Friend, Nature, 434, 194 (2005). [DOI: https://doi.org/10.1038/nature03376] 

  12. O. D. Jurchescu, J. Baas, and T.T.M. Palstra, Appl. Phys. Lett., 87, 052102 (2005). [DOI: https://doi.org/10.1063/1.2001130] 

  13. C. Goldmann, D. J. Gundlach, and B. Batlogg, Appl. Phys. Lett., 88, 063501 (2006). [DOI: https://doi.org/10.1063/1.2171479] 

  14. H. T. Nicolai, M. Kuik, G.A.H. Wetzelaer, B. de Boer, C. Campbell, C. Risko, J. L. Bredas, and P.W.M. Blom, Nat. Mater., 11, 882 (2012). [DOI: https://doi.org/10.1038/nmat338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