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방 R&D기술 등급평가 방법론 개발 연구
The Study on Development of R&D Technology Rating Methodology in the Defense A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2, 2017년, pp.158 - 167  

정유진 (국방기술품질원) ,  김준영 (국방기술품질원) ,  정태윤 (국방기술품질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국방 R&D기술 평가에 적용 가능한 기술등급평가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국방 R&D기술 등급평가를 위해서 첫째,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기술료수입 예측 모델을 설계하여 기술수익지수가 도출되도록 하였다. 모델을 통해 예측된 기술료수입이 커질수록 기술수익지수도 커진다. 둘째, 계층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기술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다각적으로 반영하는 기술력평가지수가 산출되도록 하였다. 기술력평가지수 평가항목 개발을 위해 델파이기법을 사용하여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였고, 요인분석 및 AHP를 사용하여 평가항목을 구조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술수익지수와 기술력평가지수의 가중평균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기술 등급이 도출되도록 하였다. 각 지수별 가중치는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여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국방 R&D기술 등급평가 방법론은 국방기술을 등급으로 평가가능하게 한 최초의 방법론이다.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국방 분야에서도 기술의 연구개발 초기단계에는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화폐단위로 표시되는 가치평가결과의 정확성이 매우 떨어진다. 따라서 특히 실무적인 관점에서 볼 때 R&D기술 부문에서는 기술등급평가 기법이 긴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방법론을 실무에 적용하게 되면, 국방 연구개발 관련 정책담당자에게 과학적이고 정량적인 기술의 가치 판단 기준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R&D예산 배분에 기여할 수 있으며, 국방 R&D분야의 기술이전 활성화 업무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the technology rating methodology that is applicable to defense R&D technology. First, a technology profitability index was develop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orecast the revenue from technology transfer. Secondly, the technology evaluation index was derived using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볼 때 높은 기술료수입을 창출하는 기관의 기술은 더 높은 가격으로 기술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기술개발기관의 명성에 따라 영향을 받는 기술의 수익성을 고려하기 위해 기술수익지수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도 델파이기법, 요인분석 및 AHP를 활용하여 국방 R&D기술 평가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평가항목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전문가 의견을 점수화하여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데이터를 다중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하여 기술개발기관의 기술 수익창출력을 고려한 기술 등급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방 R&D기술 평가 시 기술이 창출하는 수익을 고려하고 기술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등급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술이 창출하는 수익을 고려하는 동시에 전문가들의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의견을 정량화하여 반영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기술이 창출하는 수익을 고려하기 위해서 기술료수입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모형을 구성하였고, 도출한 다중회귀식을 통해 기술료수입의 예측치를 산출한 후 그 값을 기술수익지수 도출에 활용하였다.
  • 본 장에서는 국방 R&D기술 등급평가 방법론을 적용한 기술 등급평가 사례를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 앞서 도출한 평가항목들은 기술평가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항목이므로, 해당 항목들로 구성한 설문지를 전문가들에게 배포, 평가대상기술에 대한 각 세부항목들의 평가점수 및 항목별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에 대한 응답을 받았다. 가중치는 일반적인 AHP계산방식에 따라 쌍대비교 설문의 결과를 행렬화한 후 행렬의 곱으로 계산하였다.
  • 감시·정찰 무기체계와 관련하여 국내 주요 연구기관이 연구개발하여 보유 중인 국방기술 A를 대상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간략한 모형 적용 연구를 통해 방법론의 실무 적용가능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방 R&D기술에 대한 체계적 평가를 수행하여 기술의 중요도에 따른 등급을 산출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방과학기술 수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상황에서 2014년 국방부는 '세계적 수준의 국방과학기술로 선진강군·창조경제 구현'이라는 비전을 내걸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국방과학기술 역량을 오는 2018년에는 세계 9위 수준, 2028년에는 세계 8위 수준으로 강화한다는 중장기 목표를 설정했다[1]. 2013년 기준 우리나라의 국방과학기술 수준은 세계 10위로[2],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면에서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 예상되며 이에 따라 국방기술평가의 역할 역시 중요해질 것이라 판단된다. 과학적인 국방기술의 평가를 통해 핵심기술 조기 발굴 및 효율적·효과적인 국방 R&D예산 배분이 가능해진다. 또한 체계적인 방법으로 기술을 평가한 결과를 활용하여 공정한 기술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면 방산시장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기술평가를 통한 국방 분야 핵심 기술에 대한 효과적 투자 및 기술시장 활성화는 국방기술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2014년 국방부가 내건 비전과 중장기 목표는 무엇인가? 국방기술 역시도 빠른 속도로 발전하며 다양화, 첨단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4년 국방부는 '세계적 수준의 국방과학기술로 선진강군·창조경제 구현'이라는 비전을 내걸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국방과학기술 역량을 오는 2018년에는 세계 9위 수준, 2028년에는 세계 8위 수준으로 강화한다는 중장기 목표를 설정했다[1]. 2013년 기준 우리나라의 국방과학기술 수준은 세계 10위로[2],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면에서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 예상되며 이에 따라 국방기술평가의 역할 역시 중요해질 것이라 판단된다.
개별기술 등급평가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기술등급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개별기술 등급평가 방법으로는 평점법, 비교평가법,전문가 심사법, 델파이법 등과 이외에 무수히 많은 기법들이 활용되고 있다. 등급평가를 위한 항목은 평가목적에 따라 항목 수 및 내용에서 차이가 생기며, 항목 간 배점과 가중치 등도 임의적으로 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epartment of Defense, "2014-2028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Document", 2014. 

  2.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Survey", 2013. 

  3. J. S. Lee, T. Y. Joung, "The research of Defense Technology Valuation Model", Proceedings of the KIIE and KORMS Spring Conference, pp. 1-33, 2010. 

  4. Chan Soo Kim, Kyu-Kab Cho, "The Improvement on Proposal Evaluation System of National Defense Core Technology R&D Projects",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 15, no. 2, pp. 123-152, 2007. 

  5. Chan Soo Kim, Kyu-Kab Cho,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Proposals of National Defense Core-Technology R&D Projects", IE Interfaces, vol. 21, no. 1, pp. 96-108, 2008. 

  6. Hyung Jun Lee, Woo-Je Kim, Chan Soo Kim, "A Study on Develop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of Defense R&D Test Development Projects", IE interfaces, vol. 23, no. 1, pp. 78-88, 2010. 

  7. N. H. Cho, J. S. Park, H. M.. Lee, "A Study on Improvement of Offset Evaluation", The Quarterly Journal of Defense Policy Studies, vol. 72, pp. 215-253, 2006. 

  8. W. J. Jang, T. Y. Joung, "The Defense Offset Valuation Model", The DISAM Journal of International Security Assistance Management, vol. 29, no. 4, pp. 91-101, 2007. 

  9. Seoksoo Hong, Jae-Hyun Seo,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Valuation Analysis Indicators Using the Delphi Method in the Offset Program,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16, no. 1, pp. 252-278, 2013. 

  10. J. O. Park, "Technology Rating Model and related Examples",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3, no. 1, pp. 55-67, 2000. 

  11. Oong-Hyun, Sung, "A Study on Technology Ranking Valuation Using Technology Composite Index", vol. 8, no. 2, pp. 583-604, 2005. 

  12. Sam Youl Lee, Hak Jin Kim, Sang Yoon Kim, Kye Yeong Jun, "A Study on the Technology Evaluation System for Information Technology Transfer in Korea", KAPAE, vol. 18, no. 4, pp. 141-164, 2008. 

  13. Seong Pyo Cho, Ji Ho Ryu, "Brand Familiarity and Differential Earning Effect of Advertising and R&D Expenditures", vol. 31, no. 4, pp. 25-52, 2006. 

  14. H. S. Lee, J. H. Lim, SPSS 20.0 Manual, pp342, JypHyunJae Publishing Co, 2013. 

  15.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ition), Hillsdal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