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글로벌 마인드와 글로벌 패션 브랜드의 옥외 광고에 대한 호의도가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er Global-Mindedness and Global Fashion Brand Out-Of-Home Advertising on Brand Evaluatio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7 no.2, 2017년, pp.1 - 16  

김앙영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의상학과) ,  황선진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consumer global-mindedness affects global fashion out-of-home (OOH) advertising which global consumer culture positioning appli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global fashion brand OOH advertising, perceived fashion brand globalness, perceived qua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글로벌화가 가장 많이 진행되는 패션 브랜드들의 옥외 광고를 대상으로 소비자들의 글로벌 마인드와 광고 유형들을 함께 고려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글로벌 마인드가 글로벌 소비자 문화 포지셔닝을 적용한 글로벌 패션 브랜드의 옥외 광고에 대한 호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고, 지각된 패션 브랜드의 글로벌성과 지각된 품질, 브랜드 명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통합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 이를 토대로 영문으로 구성된 ‘the NEAL’이라는 가상 패션 브랜드명을 선정하고 이국적인 이미지를 위해 서양인 모델을 선정하였으며 외국의 한 길거리를 사용하여 광고의 배경을 제시하였다. 또한 설문지에 브랜드 명과 브랜드 표적층 및 컨셉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2차 예비 조사에서는 본 연구의 자극물에 GCCP을 나타내는 5가지 구성 요소들에 대해 글로벌한지 아닌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6점 척도를 사용하여 문항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소비자의 글로벌 마인드가 최근 증가하는 글로벌 패션 브랜드의 옥외 광고에 대한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이 호의도가 브랜드 평가 요인인 지각된 패션 브랜드의 글로벌성, 지각된 품질 그리고 브랜드 명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따른 가설은 다음과 같으며 본 연구 모형은 [Fig.
  • 이와 관련하여 소비자의 글로벌 마인드가 GCCP의 광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 본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Nijssen & Douglas(2011)은 네덜란드인들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글로벌 마인드가 GCCP의 광고에 대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본 결과, 소비자의 글로벌 마인드는 GCCP의 광고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가설 1] 소비자의 글로벌 마인드는 글로벌 패션 브랜드의 옥외 광고에 대한 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글로벌 패션 브랜드의 옥외 광고에 대한 호의도는 소비자의 패션 브랜드의글로벌성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글로벌 패션 브랜드의 옥외 광고에 대한 호의도는 지각된 품질에 정(+)의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글로벌 패션 브랜드의 옥외 광고에 대한 호의도는 브랜드 명성에 정(+)의영향을 미칠 것이다.
  • 이는 Lee & Kim(2011)이 광고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GCCP전략을 광고에 활용할수록 소비자들은 높은 명성의 브랜드로 인식한다는 것을 밝힌 것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가설 2, 3과 마찬가지로 GCCP를적용한 옥외 광고에 대해 소비자들이 매력적으로 느낄 때 패션 브랜드가 유명할 것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흥미를 자극시킬 수 있도록 글로벌한 이미지를 강조하는 옥외 광고를 활용하여 패션 브랜드의 긍정적인 명성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을 이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첫째, 지각된 품질은 객관적 또는 실제적인 품질과는 다른 개념이다. 둘째, 제품의 특정한 속성이라기보다는 높은 수준의 추상적인 것이다. 셋째, 소비자들의 전반적인 평가로이는 제품의 태도와 유사한 개념이며, 마지막으로소비자의 환기된 집합 내에서 형성되는 판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ㆍ외관 모두 동일하게 조성하여 브랜드의 통일된 이미지를 형성하고 세계 모든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광고 활동을 펼치며 동일한 제품을 어느 매장에서든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이유는? 전 세계적으로 국가 간의 경계가 사라지는 글로벌한 상황에서 ‘GUCCI’, ‘LVMH’, ‘Ralph Lauren’ 등 유명 패션 업체들은 수천 개의 매장 건물의 내ㆍ외관 모두 동일하게 조성하여 브랜드의 통일된 이미지를 형성하고 세계 모든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광고 활동을 펼치며 동일한 제품을 어느 매장에서든 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패션 브랜드의 표준화된 글로벌 마케팅 전략을 통해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을 소유하고 싶은욕구가 생기게 된다(McDowell, 2004). 또한 소비자들은 브랜드의 글로벌성을 인식함으로써 그 브랜드 및 제품을 선호하게 되고(Steenkamp, Batra, Alden, 2003), 나아가고 품질의 제품을 판매할 것이라는 인식과 함께 가치와 명성이 높은 브랜드로 간주하게 된다(Cheon & Jun, 2012; Jung &Kim, 2004). 이와 같은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인식은 글로벌한 환경에서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이는데 개방적이며 그 문화에 적응하고자 하는 글로벌 마인드(world-mindedness)의 영향을 받으며, 글로벌 소비자 문화 포지셔닝의 광고에 대해 더 적극적인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Alden, Steenkamp, & Batra, 1999).
많은 패션 브랜드들이 옥외 광고를 시행하는데 어떤 식으로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고 있는가? 특히 패션 시장의 글로벌화가 가속화되면서 많은 패션 브랜드들이 옥외 광고를 시행하고 있는데, H&M, ZARA, SPAO 등 국내외 유명 SPA브랜드들이 외관의 파사드 활용을 최대화 하고 사 인물들은 작고 심플하게 연출하면서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고 있다(Lee, 2014). 해외에서도 GUCCI, Calvin Klein과 같은 글로벌 브랜드들이 다양한 형태의 옥외 광고를 시행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고, 옥외 광고 시장 자체가 크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관심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있다(Matrix media service, 2013).
옥외 광고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이러한 상황에서 장소와 관계없이 소비자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광고 전략의 일환으로 세계적으로 옥외 광고(out-of home advertising)가 증가하고 있다(Roux, Waldt, & Ehlers, 2013). 옥외 광고는 브랜드 인지도를 증가시키고 호의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며 브랜드 리포지셔닝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Board works,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aker, D. A. (1991).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The Free Press, 102-120. 

  2. Akaka, M. A. & Alden, D. L. (2010). Global Brand Positioning and Perceptions: International Advertising and Global Consumer Cul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 ertising, 29(1), 37-56. 

  3. Alden, D. L., Steenkamp, J-B E. M., & Batra, R. (1999). Brand Positioning Through Advertising in Asia, North America, and Europe: The Role of Global Consumer Culture, Journal of Marketing, 63(1), 75-87. 

  4. Agarwal, S. & Teas, R. K. (2002). Cross-national Applicability of a Perceived Quality Model, Journal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11(4), 213-236. 

  5. Bang, J. Y. (2008). A Study on Communication Effects of Outdoor Advertisement According to Consumers' Characteris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6. Batra, R., Ramaswamy, V., Alden, D. L., Steenkamp, J-B E. M., & Ramachander, S. (2000). Effect of Brand Local and Nonlocal Origin on Consumer Attitudes in Developing Countrie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9(2), 83-95. 

  7. BOARDWORKS (2015. March 6). How Outdoor Advertising Helped These Brands grown their Business, BOARDWORKS, http://www.boardworks.com/how-outdoor-advertising-helped-these-brands-grow-their-business. 

  8. Chaudhuri, A. (2002). How Brand Reputation Affects the Advertising-Brand Equity Link,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2(3), 33-43. 

  9. Cheon, Y. S. & Jun, J. W. (2012). Strategic Effects of Global Brand Positioning on Brand Perceptions and Purchase Intentions A Focus on Consumers of the Brand Origin Country, Journal of Korean Advertising, 92, 135-173. 

  10. Chin, H. K. (2013). The Study of the outdoor advertising medial executive decision making process, Journal of Outdoor Advertising Research, 10(2), 135-158. 

  11. Choi, M. W. (2013). A Study on the Change and Growth of Out-of-Home Advertising as New Media Advertising, Journal of Outdoor Advertising Research, 10(1), 141-166. 

  12. Dahlen M., Granlund A. & Grenros, M. (2009). The consumer-perceived value of non-traditional media: effects of brand reputation, appropriateness and expense,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6(3), 155-163. 

  13. Davvetas, V., Sichtmann, C., & Diamantopoulos, A. (2015). The impact of perceived brand globalness on consumers' willingness to pay.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32(4), 431-434. 

  14. Deng, H., Russell, J. J., Lamb, R. N., Jiang, B. Li, Y., & Zhou, X. Y.(2004). Microstructure control of ZnO thin films prepared by single source chemical vapor deposition, Elsevier Science B. V., Amsterdam, 458(1-2), 43-46. 

  15. Friedman, J. (1990). Being in the World: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Sage Publication. 

  16. Gong, S. & Ko. H. J. (2015). An Exploratory Study of Out of Home Advertising Effects in China: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Journal of outdoor advertising research, 12(1), 5-32. 

  17. Han, G. S. (2005). Outdoor Advertising of Communication Effect to Gender and Involvement, Journal of Outdoor Advertising Research, 2(2), 19-42. 

  18. Hannerz, U. (1990). Cosmopolitans and Locals in World Culture, In Michael Featherstone (ED.), Theory, Culture and Society, Sage Publications, 237-251. 

  19. Jun, J. W. & Cheon, Y. S.(2012). Effects of Global Billboard Advertising on Consumers' Perceptions of Brand Globalness and Judgements - A Focus on Involvement as a Mediator -, Korean Academy of OOH Advertising, 2012(6), 1-25. 

  20. Jung, Y. W. (2013). A Study of Types of QR Codes and their Effects on Advertising,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6(1), 147-165. 

  21. Jung, I. S. & Kim, G. G. (2004). A Study on Globalness of Brands and Consumer Behavior,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8(1), 165-178. 

  22. Kapferer, J. N. (1997). Strategic Brand Management. 2nd Edition, Kogan Page: Dover, NH. 

  23. Kim, S. B & Choi, K. L. (2006). The Influence of Perceived Brand Globalness on Purchase Intention - Focusing on Consumer Ethnocentrism as a Moderating Variable -,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13(1), 221-238. 

  24. Lee, C. & Kim, T. E. (2011). The Effect of Global Consumer Culture Positioning in TV Advertising on Product Evaluation and Attitude towards Advertising,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22(4), 25-51. 

  25. Lee, J. E. (2014, August 11), The various signs 37. SP A brand. SP Today. Retrieved from http://www.sptoday.com/bbs/board.php?bo_tablearticle&wr_id54769&sflwr_content&stx%BF%A1%C0%D5%BC%BC%C4%C1%C1%EE&sopand&p1. 

  26. Lee, I, S. & Jun, J. W. (2014). Strategic PPL Effects of GCCP (Global Consumer Culture Positioning): A Focus on the Moderating Role of Susceptibility to Global Consumer Culture, Journal of Practical Research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7(4), 148-171. 

  27. Lee, Y. J. (2011). The effect of advertising methods, brand reputation, and consumer's regulatory focus on attitudes of customers towards the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8. Leslie, D. C. (1999). Brand Management Through Narrowing the Gap Between Brand Identity and Brand Reputation,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15(1-3), 157-179. 

  29. Levitt, T. (1983). The Globalization of Markets, Harvard Business Review, 61(May, June). 

  30. Matrix Media. (2013, April 1.). Retrieved from http://www.matrixmediaservices.com/fashion-advertising, Matrix Media Services. 

  31. McDowell, C. (2004). The New Art?. Costume, The Journal of the Costume Society, 38, 126-132. 

  32. Nijssen, E. J., & Douglas, S. P. (2008). Consumer World-Mindedness, Social-Mindedness and Store Image,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16(3), 84-107. 

  33. Nijssen, E. J., & Douglas, S. P. (2011). Consumer world-mindedness and attitudes toward product positioning in advertising: An examination of global versus foreign versus local positioning,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19(3), 113-133. 

  34. Nually, J. C. (1967). Psychometric Theroy. New York, NY: MCGraw-Hill. 

  35. Punyatoya, P. (2013). Consumer evaluation of brand extension for global and local brands: the moderating role of product similarity, Journal of International Consumer Marketing, 25(3), 198-215. 

  36. Park, H. & Jun, J. W. (2013). Media and Advertising Effects of Digital Signage: A Focus on Consumers Psychological Tendency and Media Locations, Journal of outdoor advertising research, 10(2), 105-133. 

  37. Roux, T., Waldt, D. R., & Ehlers, L.(2013). A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out-of-home advertising media in south Africa, Communication -Pretoria-, 39(3), 383-401. 

  38. Seo, B. S (2001). A study on the effect measurement model of outdoor advertisement: Focused onthe large-scale outdoor advertisement,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2(2), 191-206. 

  39. Steenkamp, J. E. M., Batra, R., & Alden, D. L. (2003). How perceived brand globalness creates brand value,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34(1), 53-65. 

  40. Veloutsou, C. & Moutinho, L. (2009). Brand Relationships through Brand Reputation and Brand Tribalism,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2(3), 314-322. 

  41. Westjohn, S. A., Singh, N., & Magnusson, P. (2012). Responsiveness to Global and Local Consumer Culture Positioning: A Personality and Collective Identity Perspective,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20(1), 58-73. 

  42. Yeom, S. W. (2012). A Study on the Outdoor Advertising Strategy of Message Repetition, Journal of outdoor advertising research, 9(1), 63-92. 

  43. Yoo, C. J., Lee, S. H. & Choo, M. S. (2005). The Moderating Role of Brand Repu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Expression in Ad and Brand Attitude/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Korea Advertising Society, 16(5), 249-263. 

  44. Zeithaml, V. A. (1988).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52(3), 2-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