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2, 2017년, pp.269 - 277
이송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김린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The theses is an analytical comparison research between 'Skills Link' and 'Do Dream' : the former is an effective program to establish a variety of intervention strategies and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employment support of disadvantaged youth, performed by ESDC in the level of the nation, a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취약청소년이 겪게 되는 문제점은? | 학업중단, 가출, 시설보호 및 퇴소 청소년, 빈곤청소년 등 취약청소년의 경우 성공적인 자립을 위한 준비가 학령기때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사회생활 및 직업생활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즉, 취약청소년의 경우 개인 또는 사회 환경적 문제로 인해 불건전한 노동 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저임금 구조나 직업훈련 부족 등으로 인해 사회적 취약계층으로 전락할 악순환의 고리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1][2]. 따라서 취약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건전한 노동시장 진입을 위한 직업능력 개발 등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된다고 할 수 있다. | |
관련부처나 민간기관에서 제공하는 취업지원의 현재 상황은? | 그럼에도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주로 성인을 위주로 실시되고 있으며,청소년을 위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경우도 그 대상자의 범위가 매우 제한되어 있는 상황이다. 일부 관련 부처나 민간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업도 일반 청소년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업기간 또한 매우 단기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제공됨에 따라 노동시장에 진입을 준비하는 취약청소년의 특성과 요구에 부합하는 실질적 프로그램의 효과를 얻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2][3]. 더욱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직업교육 프로그램들은 부모의 지원과 정규교육을 전제로 구성된 프로그램들이 대부분이어서 학교 밖 청소년이나, 저학력 비진학 미취업자 등 취약청소년에게 적용하기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2][4]. | |
현재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누구를 위주로 실시되는가? | 그럼에도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주로 성인을 위주로 실시되고 있으며,청소년을 위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경우도 그 대상자의 범위가 매우 제한되어 있는 상황이다. 일부 관련 부처나 민간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업도 일반 청소년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업기간 또한 매우 단기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제공됨에 따라 노동시장에 진입을 준비하는 취약청소년의 특성과 요구에 부합하는 실질적 프로그램의 효과를 얻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2][3]. |
전경숙, "외국의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취업지원 정책," The HRD REVIEW, 제8권, 제3호, pp.112-123, 2005.
김자경, 김지연, 김정주, 학교 밖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 개발연구 : 지원서비스 전달체계 및 프로그램 구성을 중심으로, 여성가족부.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조성호, 최해연, 박성현, 위기청소년 자립지원방안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2008.
변숙영, 이수경, 이종범, 취약청소년의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실태와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황순길, 조규필, 박현진, 김범구, 황수진, 신정란, 윤재희, 취약청소년 자립 및 학업지원 통합모형개발, 여성가족부.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신혜령, "시설 청소년의 자립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11권, 제1호, pp.90-124, 2001.
http://kess.kedi.re.kr/index
http://www.servicecanada.gc.ca/-skillslink
http://www.youth.gc.ca/-skills_link.
전경숙, 이아름, 경기도 학교밖 청소년 지원방안 연구, (재)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3.
여성가족부, 2016년도 청소년사업 안내, 2016.
http://www.kdream.or.kr/
서정아, 권해수, 취약계층 청소년의 실질적인 자립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 학교 중단 청소년의 취업자립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