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간호서비스를 받는 암환자 주부양자의 속박감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Entrapment of Primar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Receiving Home Healthcare Nursing Service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4 no.3, 2017년, pp.292 - 305  

문미영 (삼육대학교대학원) ,  한숙정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ntrapment of primar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Methods: From 6 general hospitals, 146 primar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who were receiving home healthcare nursing service were selected for the study. Regarding 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간호서비스를 받고 있는 암환자를 돌보는 주부양자의 속박감 정도와 속박감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암환자를 돌보는 주부양자의 속박감을 낮추기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가정간호서비스를 받는 암환자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속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가정간호서비스를 받는 암환자를 돌보는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속박감, 지각된 건강상태, 관계의 질 및 사회적 지지 정도와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속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암환자 주부양자가 느끼는 속박감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부양자의 속박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양 시간, 교대 유무, 유병기간, 가정간호 기간, 관계의 질, 지각된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순으로 속박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 다.
  • 본 연구는 가정간호서비스를 받는 암환자를 돌보는 주부양자의 속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Pearlin 등(1990)의 가족원의 스트레스 과정 모델에 기반하여 지각된 건강상태, 관계의 질, 사회적 지지가 속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 지각된 건강상태란 현재의 건강상태를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Pender, 1996). 본 연구에서는 Speake, Cowart 와 Pellet(1989)가 개발하고 Hwang(2000)이 번역한 건강상태자가 평가 측정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 주부양자란 장기간 치료와 안정 및 간호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책임지고 주로 돌보는 가족을 의미한다(Park, 1999).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치료 또는 요양중인 암환자의 가족원 중 부양 의무나 책임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직접 환자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부양자를 말한다.
  • 암환자란 가정에서 치료 또는 요양중인 암환자(이하 “암환자”라 한다)를 의미한다(암관리법 제 12조). 본 연구에서는 암 진단 후 가정에서 치료 또는 요양 중이며 병원 중심 가정간 호 사업기관에 등록하여 1개월 이상 가정간호서비스를 제공 받고 있는 암환자를 말한다.
  • 본 연구에서는 Pearlin 등(1990)의 가족원의 스트레스 과정 모델에 기반하여 1차적 스트레스 요인은 치매 노인의 질병상태, 2차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치매노인 보호자 의 지각된 건강상태, 중재요인으로 관계의 질 및 사회적지지, 배경요인으로 치매노인 배우자의 일반적 및 돌봄 특성과 치매노인의 일반적 특성으로 개념화하였고, 최종 결과요인으로 속박감을 선정하였다. 즉 다양한 요인들이 속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보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4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들이 82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어떻게 되는가? 6명이 암 치료를 받고 있거나 혹은 암 치료 후 생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7). 2014년 우리나라 국민들이 평균 기대수명 82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2%였고, 남자는 5명 중 2명 (38.7%), 여자는 3명 중 1명(33.1%)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며(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7), 2015년 전체 사망자의 28.4%가 암으로 사망하였다(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6).
암환자 가족이 속박감을 느끼고 이로 인해 우울이 유발되는 최근의 환경적 요인들과 원인은 무엇인가? 즉, 스트레스 사건으로부터 탈출하고자 하였으나 탈출할 수 없다고 지각하게 되면 속박감을 느끼고 이로 인해 우울이 유발된다(Cheon, 2008). 최근 의료환경의 변화로 외래 중심 치료가 증가함에 따라 환자가 병원에 머무는 시간 보다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암환자 가족이 담당해야 하는 역할은 계속해서 다양해지고, 확대되고 있다. 진단시기부터 수술이나 항암화학요법 등의 치료가 진행되는 과정, 치료가 종료되고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이루어지는 시기까지를 포함하여 암환자 가족은 치료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Given, Given, & Sherwook, 2012). 이러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암환자 가족은 환자를 잘 돌보기 위해 항상 걱정하며, 환자의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일차적인 책임자로(Given et al.
속박감이란 무엇이며,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가? 속박감이란 우울과 같은 고통스러운 감정이나 스트레스 사건, 역경 등 현재 처해진 어려운 상황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강한 욕구가 있지만 벗어날 수 있는 어떤 방법도 보이지 않는다고 느끼는 주관적인 지각을 의미하며, 결국 우울과 같은 심리적 부적응이 발생하게 된다(Gilbert & Allan, 1998). 즉, 스트레스 사건으로부터 탈출하고자 하였으나 탈출할 수 없다고 지각하게 되면 속박감을 느끼고 이로 인해 우울이 유발된다(Cheon,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chbold, P. G., & Stewarts, B. J. (1986). Family Caregiving Inventory. (Available from Patricia G. Archbold, Department of Family Nursing, School of Nursing, Oregon Health Sciences University, Portland, OR 97201-3098). 

  2. Brown, G. W., Bifulco, A., & Harris, T. O. (1987). Life events, vulnerability and onset of depression: Some refinement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0(1), 30-42. 

  3. Cheon, S. H. (2008). A study on perceived entrapment, anger and depression in adolesce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4), 239-247. 

  4. Cheon, S. H. (2011).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entrapment, de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women as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dementia elderl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3), 285-293. 

  5.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6. Fredman, S. J., Baucam, D. H., Gremore, T. M., Castellani, A. M., Kallman, T. A., Porter, L. S., Kirby, J. S., Dees, E. C., Klauber-Demore, N., Peppercorn, J., & Carey, L. A. (2009). Quantifying the recruitment challenges with couple-based interventions for cancer: applications to early-stage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18(6), 667-673. 

  7. Gilbert, P., & Allan, S. (1998). The role of defeat and entrapment(arrested flight) in depression: An exploration of an evolutionary view. Psychological Medicine, 28(3), 585-598. 

  8. Given, B. A., Given, C. W., & Sherwood, P. R. (2012). Family and caregiver needs over the course of the cancer trajectory. The Journal of Supportive Oncology, 10(2), 57-64. 

  9. Han, S. J., Lee, S. Y., Kim, J. Y., & Kim, H. S.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family caregiver burden for patients with dementia: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6(3), 242-254. 

  10. Hoga, L. A., Mello, D.S., & Dias, A. F. (2008). Psychosocial perspective of the partners of breast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a mastectomy: an analysis of personal narratives. Cancer Nursing, 31(4), 318-325. 

  11. Hwang, M. H. (2000). A study of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self care agency of the aged.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4(1), 43-58. 

  12. Kim, Y. R., & Yoo, M. S.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and the social support of the family caregivers of breast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3(2), 5-24. 

  1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6).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ved November 25, 2016,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34E01&conn_pathI2 

  14. Lee, I. J. (2009). Breast cancer in marital context: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0(1), 37-61. 

  15. Lee, J. S., & Cho, H. J (201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nal and Extranal Entrapment Scal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31(1), 239-259. 

  16. Lee, Y. S., Han, I. Y., Lee, I. J., & Nam, E. J. (2009). Cross cultural validation of the Caregiver Reaction Assessment (CRA) for cancer patient's caregiver.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9(3), 189-198. 

  17. Martin, Y., Gilbert, P., Mcewan, K., & Irons, C. (2006). The relation of entrapment, shame, guilt to depression, in carers of people with dementia. Aging and Mental Health, 10(2), 101-106. 

  18. Mignor, D. (2000). Effectiveness of use of home health nurses to decreaseburden & depression of elderly caregivers.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38(7), 34-41. 

  19.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7). Cancer in statistics. Retrived October 20, 2015, from http://cancer.go.kr/mbs/cancer/sub view.jsp?idcancer_040101000000 

  20. Northouse, L. L., Katapodi, M. C., Song, L., Zhang, L., & Mood, D. W. (2010). Interventions with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60(5), 317-339. 

  21. Oh, S. E., & Kim, S. L. (2007). Relation to the burden and function of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home care cl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14(2), 91-97. 

  22. Oken, M. M., Creech, R. H., Tormey, D. C., Horton, J., Davis, T. E., McFadden, E. T., & Carbone, P. P. (1982). Toxicity and response criteria of th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5(6), 649-655. 

  23. Park, Y. H. (1999). The Effects of Support Group Intervention for Spouses of Stroke Patients on Caregiver Burden and Well-Be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4. Pearlin, L. I., Mullan, J. T., Semple, S. J., & Skaff, M. M. (1990). Caregiving and the stress process: An overview of concepts and their measures. The Gerontologist, 30(5), 583-594. 

  25. Pender, N. J. (199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3rd ed.). Stamford, CT: Appleton & Lange. 

  26. Seo, M. A., Park, O. I., Moon, H., & Kim, J. H. (2015). Effects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grandmothers participating in their grandchildren's nurture on entrapment.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6(3), 457-469. 

  27. Shin, J. S., & Lee, Y. B. (1999).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psychosocial well-being of the unemployed.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37(4), 241-269. 

  28. Speake, D. L., Cowart, M. E., & Pellet, K. (1989).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2(2), 93-100. 

  29. Yang, Y. H. (1992). Theoretical Structure Model for the Caregiver's Role Stress and Healt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0.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