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파수 70 kHz를 이용한 청어의 유영자세각과 체장에 따른 초음파산란강도의 변동
Variation of target strength by swimming orientation and size for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at the frequency of 70-kHz 원문보기

한국어업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53 no.4, 2017년, pp.396 - 403  

박미선 (남동해수산연구소) ,  윤은아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황강석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이동길 (국립수산과학원 수산공학과) ,  오우석 (전남대학교 수산과학과) ,  이경훈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measured the target strength according to the swimming tilt angle and size change for Pacific herring at the frequency of 70 kHz as the basic database in order to estimate its abundance as well as density in the survey area using the hydroacoustical method. The number of the sample used in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어류 음향 조사에는 대부분 주파수 38과 120 kHz 대역을 이용하여 조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다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주파수 70 kHz 대역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수법을 이용한 70 kHz 주파수 대역에 대한 청어의 유영자세각 및 사이즈 변동에 따른 TS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음향을 이용하여 청어의 시공간적인 분포와 현존량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주파수 70 kHz 대역을 이용하여 청어의 유영자세각 및 체장변화에 따른 TS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청어는 14개체로 가랑이 체장은 2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어의 TS 정보에 관한 연구 현황은 어떠한가? 청어의 초음파산란강도에 관한 연구는 Norwegian Fjord 해역, Iceland 해역, N.E. Atlantic 해역, Shetland island 해역, Blatic 해역, N.E. Pacific 해역에서 대부분 조업 및 조사현장에서 수행되어졌고, 38 kHz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Halldorsson andReynisson, 1983; Edwards et al., 1984; Foote et al.,1986; Rudstam et al., 1988; Reynisson, 1993; Misund and Beltestad, 1996; Ona et al., 2001; Thomas et al.,2002; Ona, 2003; Didrikas and Hansson, 2004; Peltonen and Balt, 2005). 최근에는 다주파수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대상 종을 식별하여 밀도 및 현존량을 파악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Horne and Jeck, 1999;Korneliussen and Ona, 2002; McKelvey and Wilson,2006). 음향을 이용하여 청어의 밀도 및 현존량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주파수에 대한 TS 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청어는 어떤 과에 속하고 서식지는 어디인가? 청어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는 청어목(Clupeiformes) 청어과 (Clupeidae)에 속하는 어류로 한국, 일본, 베링해, 알래스카, 북태평양, 서태평양의 연근해에 널리 서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동해 영일만, 서해 태안, 남해 거제도 등지에 서식하며 산란기는 동해에서 1~2월로 알려져 있다 (Ji et al.
음향 조사가 수산 선진국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수산자원 평가 방법 가운데 음향 조사는 단 시간에 넓은 해역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의 시․공간적인 분포 및 현존량 평가할 수 있어 수산 선진국에서 많이 이용되어지고 있다. 음향조사방법은 정량적인 음향에너지를 수집할 수 있는 과학어군탐지기를 활용하여 현장에서 대상생물의 체적후방산란강도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SV)는 쉽게 취득할 수 있지만, 현존량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대상 어류의 크기 및 주파수에 대한 정확한 초음파산란강도 (Target Strength, TS)의 자료가 필요하다 (MacLennan and Simmonds,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eltestad AK. 1973. Feeding behavior and vertical migration in 0-group herring (Clupea harengus L.) in relation to light intensity. Cand. Real. thesis, University of Bergen. 

  2. Didrikas T and Hansson S. 2004. In situ target strength of the Baltic Sea herring and sprat. ICES J Mari Sci 61, 378-382. (DOI:10.1016/s1054-3139(04)00005-0) 

  3. Edwards JI and Armstrong F. 1984. Target strength experiments on caged fish. Scottish Fisheries Bulletin 48, 12-20. 

  4. Korneliussen RJ and Ona E. 2002. An operational system for processing and visualizing multi-frequency acoustic data. ICES J Mari Sci 59, 293-313. (DOI:10.1006/jmsc.2001.1168) 

  5. Foote KG, Aglen A and Nakken O. 1986. Measurement of fish target strength with a split beam echo sounder.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80, 612-621. 

  6. Halldorsson O and Reynisson P. 1983. Target strength measurement of herring and capelin in situ at Iceland. FAO Fisheries Report 300, 78-84. 

  7. Hazen EL and Horne JK. 2003. A method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biological factors on fish target strength. ICES J Mari Sci 60, 555-562. (DOI:10.1016/s1054-3139(03)00053-5) 

  8. Horne JK and Jech JM. 1999. Multi-frequency estimates of fish abundance: constraints of rather high frequencies. ICES J Mari Sci 56, 184-199. (DOI:10.1006/jmsc.1998.0432) 

  9. Ji HS, Lee DW, Choi JH and Choi KH. 2015. Natural hatching-induced and management for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eggs attached to the gill net. J Kor Soc Fish Technol 51, 370-374. (DOI:10.3796/ksft.2015.51.3.370) 

  10. KOSIS. 2017. Fishery Production Survey. http://kosis.kr/eng/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ETITLE&parentIdF (accessed August 20, 2017). 

  11. Love RH. 1977. Target strength of an individual fish at any aspect.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62, 1397. (DOI:10.1121/1.381672) 

  12. MacLennan DN and Simmonds EJ. 1992. Fisheries acoustics. Chapman and Hall, London. 325. 

  13. McClatchie S, Macaulay G, Coombs RF, Grimes P and Hart A. 1999. Target strength of the deep-water fish, orange roughy (Hoplostethus atlanticus)I. Experiment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06, 131-142. (DOI:10.1121/1.427042) 

  14. McKelvey DR and Wilson CD. 2006. Discriminant classification of fish and zooplankton backscattering at 38 and 120 kHz.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135, 488-499. (DOI:10.1577/t04-140.1) 

  15. Misund OA and Beltestad AK. 1996. Target-strength estimates of schooling herring and mackerel using the comparison method. ICES J Mari Sci 53, 281-284. (DOI:10.1006/jmsc.1996.0035) 

  16. Ona E. 2003. An expanded target-strength relationship for herring. ICES J Mari Sci, 60, 493-499. (DOI:10.1016/S1054-3139(03)00031-6) 

  17. Ona E, Zhao X, Svellingen I and Fosseidengen JE. 2001. Seasonal variation in herring target strength. In Herring: expectations for a new millenium. Edited by F. Funk, J. Blackburn, D. Hay, A.J. Paul, R. Stephenson, R. Toresen, and D. Witherell. Lowell Wakefield Fisheries Symposia Series, Fairbanks, Alaska, 461-487. 

  18. Peltonen H and Balk H. 2005. The acoustic target strength of herring (Clupea harengus L.) in the northern Baltic Sea. ICES J Mari Sci 62, 803-808. (DOI:10.1016/j.icesjms.2005.02.001) 

  19. Rudstam LG, Lindem T and Hansson S. 1988. Density and in-situ target strength of herring and sprat: a comparison between two methods of analyzing single beam sonar data. Fisheries Research 6, 305-315. (DOI:10.1016/0165-7836(88)90001-x) 

  20. Thomas GL, Kirsch J and Thorne RE. 2002. Ex situ target strength measurements of Pacific herring and Pacific sand lance. North America Journal of Fisheries Management 22, 1136-1145. (DOI:10.1577/1548-8675(2002)022 2.0.co;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