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화순 운주사 마애여래좌상의 암석학적 특성 및 손상도 평가
Deterioration Evaluation and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ck‐carved Seated Buddha of Hwasun Unju Temple,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3 no.1, 2017년, pp.1 - 10  

이장존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김재환 (조선대학교 장비운영센터 X-선분석실) ,  이수예 ((사)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남 화순 운주사 마애여래좌상은 운주사 석불군 가운데 유일한 마애불로써 현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5호로 지정되어 있다. 암반의 암석은 연녹색의 안산암질 응회각력암으로써 구성광물은 석영장석으로 이루고 있다. 전암대 자율 측정 결과,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단일 퇴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음파 속도 측정 결과, 2009년에 비해 2015년은 1500~2000 m/s의 빈도수는 증가하고, 2000~2500 m/s의 빈도수는 감소하였으며, 2015년에 2000 m/s이하의 측정값이 87.5%로 2009년의 68.8%에 비해 증가하였다. 또한 마애여래좌상의 상부, 하부, 왼쪽부분 및 머리 등에서 부분적으로 저속대의 범위가 확장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마애불의 대한 풍화는 장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ock-carved seated Buddha of Unju temple of Hwasun, Jeonnam, the only Triad Buddha among the stone Buddhas of Unju temple, is currently designated as a 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275 of Jeollanam-do. The rock of the seated Triad Buddha bedrock is light-green andesitic tuff breccia that is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운주사 석조문화재의 재질 특성 및 손상 메커니즘, 보존처리제 적용성 연구 등을 위해 마애불을 비롯하여 주변 암반의 과학적 조사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9). 본 연구는 전남 화순 운주사 경내에 자연 환경하에 노출되어 있는 마애여래좌상에 대하여 손상도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마애여래좌상의 구성 암석에 대하여 재질분석을 실시하고, 풍화 훼손 상태 및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2009년과 2015년에 각각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마애여래좌상에 대한 풍화훼손상태 및 사이트환경을 살펴보았으며, 구성암석에 대한 암석학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마애여래좌상이 새겨진 암반에서 탈락된 암석 시료를 수습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우선 마애여래좌상의 대자율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광배부터 좌대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으로 전암대자율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주사가 위치한 곳은 어디인가? 운주사는 전남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적 제312호로 지정되어 있다. 운주사 경내에는 마애여래좌상(시도유형문화재 제275호) 뿐만 아니라 원형다층석탑(보물 제798호), 구층석탑(보물 제796호) 석조불감(보물 제797호), 와불, 다양한 석불 등이 산재하고 있다(Figure 1).
운주사 주변 일대 암석은 어떤 종류인가? 운주사 주변 일대에는 응회암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운주사 경내에 있는 석조문화재들 역시 대부분 운주사 일대에 분포하는 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응회암으로 구성하고 있는 석조문화재 중 원형다층석탑 및 석조불감, 광배석불 등의 재질 및 풍화 특성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Park, 2008; Park et al.
마애여래좌상에 대하여 손상도 평가를 어떻게 했는가? 본 연구는 전남 화순 운주사 경내에 자연 환경하에 노출되어 있는 마애여래좌상에 대하여 손상도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마애여래좌상의 구성 암석에 대하여 재질분석을 실시하고, 풍화 훼손 상태 및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2009년과 2015년에 각각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이러한 동일 석조문화재를 대상으로 수 년의 시간 차이를 두고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고, 모니터링 한 연구 사례가 드물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eong, C.H. and Kim, K.S., 1966, The geological map of Neungju sheet. Geological Survey of Korea, 1-42. (in Korean) 

  2. Cho, K.M. and Jwa, Y.J., 2005, Study on the source area of the stones from stone-cultural properties -Geomorphological and petrological approach for the Iksan area-. Jour. Petrol. Soc. Korea, 14(1), 24-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un, Y.G., Lee, C.H. and Jun, B.K., 2013, Li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Jinyangri Gakgol Dolmen in Hampyeong,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9(4), 517-5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onservation Institute of Buddhist Temple Cultural Heritage, 2012, Maintenance into Un-ju temple districts in Hwasun. 1-267. (in Korean) 

  5. Fooks, P.G., Dearman, W.R. and Franklin, J.A., 1971, Some engineering aspects of rock weathering. Quarterly Journal Engineering Geology, 4, 139-185. 

  6. Go, C.S., 2007, A study on the "Un-Ju-Sa". Ph.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oo, S.W., 2016, A study on 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rock-carved triad buddha of Hwasun Unju temple, A study on research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rock-carved triad buddha of Hwasun Unju temple. Youngsan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1-170. (in Korean) 

  8. Jwa, Y.J., Lee, S.W., Kim, J.S. and Sohn, D.W., 2000, Source area of stones used for the stone buildings of Bulguksa temple and Seokguram grotto.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6(3), 335-3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wa, Y.J., Kim, K.K., Ko, S.B. and Kim, J.S., 2006, Source area of the rocks using the west stone pagoda of Gameunsaji temple site, Korea. Jour. Petrol. Soc. Korea, 15(3), 128-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ang, D.W., Obara, Y., Hirata, A. and Kang, S.S., 2011,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rock under natural environment and strength evaluation of weathered rock.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21(6), 460-4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ang, S.S., Ko, C.S., Kim, C.B. and Jang, B.A., 2013, Analysis of weathered state on a halo stone buddha, Unju temple of Hwasun, Korea using low frequency flaw detector.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3(3), 235-2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Joo, S.W., 2016, A study on 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rock-carved triad buddha of Hwasun Unju temple, A Study on Research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Rock-Carved Triad Buddha of Hwasun Unju Temple. 1-170. 

  13. Lee, M.S., Lee, J.M. and Kim, J.H., 2012a,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ultrasonic velocity diagnosis of the five-storied stone pagoda in Tamni-ri, Uiseong.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5(1), 70-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Y.J., Kim, Y.S., Lee, M.H., Han, J.H. and Kim, M.S., 2012b, Assessment and calibration of ultrasonic velocity measurement for estimating the weathering index of stone cultural heritage.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2), 126-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9, Development on evaluation technology for weathering degree of stone cultural propertie(in Korean) 

  16. Park, S.M., 2008, Deterioration diagnosis and conservation environmental assessment of the stone buddhas and shrine in Unjusa temple, Hwasun, Korea.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1-1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Park, S.M., Lee, C.H., Lee, M.S. and Kim, S.D., 2009, Analysis of microclimate and conservation environment of the stone buddha and shrine in Unjusa temple, Hwasun, Korea. Econ. Environ. Geol., 42(1), 73-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Park, S.M., Lee, M.S., Kim, J.H. and Lee, C.H., 2012,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deterioration assessment for multi-storied round shape stone pagoda of Unjusa temple, Hwasun, Korea.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5(1), 86-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Youngsan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2016, Conservation treatment of rock-carved triad buddha in Un-ju temple. 1-11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