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상자의 재질분석과 보존처리
Material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Storage Box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3 no.1, 2017년, pp.17 - 24  

박수진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정다운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이용희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인 조선왕조실록상자(고적 25247)에 사용된 목재의 수종식별과 칠층의 특징을 관찰하고, 보존처리 과정 및 결과를 소개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실록상자의 제작에는 피나무과의 피나무속(Tilia spp.)의 목재가 사용되었다. 표면의 칠기법은 목재 위에 골회를 칠하고 닥나무속(Broussonetia spp.) 인피섬유로 제작한 한지를 덧바른 뒤 다시 토회칠, 흑칠, 정제옻칠, 흑칠 순서로 제작하였다. 보존처리 전 실록상자의 상태는 짜임이 벌어지고, 칠이 벗겨져 있었으며 장석이나 족대 등 일부 부재가 사라진 상태이었다. 이러한 손상부위는 아교 및 토회로 강화처리하여 안정적인 상태가 되도록 수리하였고, 결실부는 수종분석 결과와 남아있는 부재의 형태를 바탕으로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였다. 이를 통해 실록상자의 기초적인 제작방법을 파악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udies were conducted on manufacturing techniques by applying microscopy and conservation treatments o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storage box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results revealed that lime tree wood(Tilla spp.) was used to make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storage box. Lacquer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조선왕조실록상자(고적 25247)의 제작에 사용된 목재의 종류와 칠기법을 현미경으로 조사하여 제작기법을 살펴보았으며, 보존처리 과정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실록상자(고적 25247)의 목재와 칠층을 현미경을 통해서 관찰하여 제작기법을 파악하고 보존처리과정을 소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왕조실록의 편찬시기는 언제부터 언제까지인가? 조사대상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중 하나인 실록상자(고적 25247)이다. 조선왕조실록의 편찬 시기는 1413년부터 1865년까지이며, 본 실록상자에 봉안되어 있던 실록의 종류는 파악할 수 없었다. 다만 1616년 이후에 제작된 선조(宣祖)실록상자(K976, 국립중앙박물관소장)와 함께 보관되어 왔고, 두 실록상자의 형태가 매우 유사하여 비슷한 시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2011년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당시 조선왕조실록상자의 상태는 어떠하였는가? 반면 실록상자는 오랜 시간동안 실록을 보관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많은 손상이 일어났지만 실록에 비하여 중요성이 인식되지 않아, 체계적인 관리와 보존이 이뤄지지 않았다. 실제로 2011년도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실시한 실록상자의 수리복원 사업을 살펴보면, 보존처리 전의 실록상자의 상태는 목재, 칠, 장석 등이 대부분 손상되어 온전한 상태로 남아 있는 것들이 거의 없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실록상자의 보존처리 전 상태도 훼손이 심한 편이었다.
조선왕조실록상자는 무엇인가? 조선왕조실록상자는 조선왕조에서 제작한 실록(實錄)을 보관하던 함을 말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완성된 실록은 나무함에 봉안하였고, 봉안한 함은 사고에서 보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2011, Report on management for repair and restoration of old documents 2: repair and restoration II. 77-102. (in Korean) 

  2.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2014, New born Joseon recording culture: white paper on repair and restoration management of cultural property in Kyujanggak. 118-122. (in Korean) 

  3. Kwon, Y.H., Lee, S.A., Kim, H.J. and Lee, T.Y., 2014, The trees that make money. Green Happiness , Seoul, 356-360. (in Korean) 

  4. Lee, S.H., 2006, Identification of plant designated on archives at the materials of Korean traditional paper.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12-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Lee, Y.H., Park, J.H. and Park, S.Z., 2014, Repair and restoration of Joseon historical document box.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15, 122-1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Park, Y.K., 1982, Korean wood furniture. Samsung Publishing, Seoul, 9-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