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이즈 적합성과 효율성이 향상된 야구 다리보호대 개발을 위한 그레이딩 편차 선정
Selection of Grading Deviations to Develop Improved Baseball Leg Guards for Size Suitability and Efficiency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1 no.1, 2017년, pp.184 - 195  

이효정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엄란이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이예진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ball is a life sport that gives vitality to people. However, currently available leg guards do not have a variety of sizes and it is very difficult to purchase a leg guard that is suitable for the size of a specific consumer.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ize system of a leg guard sol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리보호대가 착용되는 영역에 대한 심도 있는 인체치수 분석으로 키와 넙다리중 간둘레 치수조합에 의한 세분화된 치수체계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통해 보다 모든 한국인 체형에 적합하고 착용감이 우수한 다리보호대의 그레이딩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는 다리보호대 생산 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의 방법론은 인체에 착용되는 다양한 용품의 사이즈 체계 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국내 연구에서 스포츠 보호용품의 그레이딩에 관해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 뿐 아니라 해외 브랜드를 선호하는 소비자 특성으로 그들이 착용하는 제품이 과연 한국인의 인체치수에 적합한가에 관한 의문도 제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판 다리보호대의 사이즈 체계를 조사하고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2010) 인체 치수 데이터를 이용해 다리보호대가 착용되는 하지의 체형을 분석하였으며 각 체형에 따른 사이즈 조합으로 사이즈 차트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다리보호대의 그레이딩 편차를 제안하여 한국인의 체형과 치수에 최적화된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스포츠 보호장비인 다리보호대의 치수적합 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그레이딩 편차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KATS(2010)의 인체치수 데이터를 이용한 하지의 체형분석, 키와 넙다리둘레를 중심으로 이원빈도분포 및 다리보호대 설계를 위한 참고 인체치수 항목의 최다빈도구간 분석을 통해 그레이딩 편차를 도출하였다.
  • 최종적으로 다리보호대의 그레이딩 편차를 제안하여 한국인의 체형과 치수에 최적화된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인체치수를 지닌 국내 소비자의 치수를 커버하면서 그들의 안전한 스포츠 활동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판 다리보호대의 사이즈 체계를 조사하고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2010) 인체 치수 데이터를 이용해 다리보호대가 착용되는 하지의 체형을 분석하였으며 각 체형에 따른 사이즈 조합으로 사이즈 차트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다리보호대의 그레이딩 편차를 제안하여 한국인의 체형과 치수에 최적화된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인체치수를 지닌 국내 소비자의 치수를 커버하면서 그들의 안전한 스포츠 활동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업체들이 활용하는 기성복 사이즈 적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은? , 1997). 의복의 대량생산 시스템이 확대되면서 각 업체별로 기성복 사이즈 적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체형커버용 그레이딩 체계를 정립하고 그에 따라 제품을 판매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이는 의류업체마다 판매 대상의 성별과 연령대가 다르기 때문에 사이즈 호수, 호수별 치수 범위, 그레이딩 편차 등을 다르게 사용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그 값을 산출하는 근거가 제공되지 않아 과학적 이거나 체계적인지 알 수 없는 현실이다(Sohn &Hong, 2005).
스포츠 보호용품의 사이즈 적합성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이와 같이, 지금까지 의복 그레이딩이나 MTM을 주제로 진행된 연구에 의하면 연령과 성별 등 타겟 소비자의 직접 인체계측 또는 3D 스캔을 통한 간접 인체계측으로 대상 소비자의 인체특성 파악이 선행된 후 과학적으로 정확하게 그레이딩이나 MTM 편차를 도출하고 있다. 그러나 인체에 착용되는 다양한 용품 중 스포츠 보호용품의 경우에는 사이즈 적합성이 스포츠 능력뿐만 아니라 안전과도 직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지만 의복에 비해 상대적으로 해결방안 모색이 적은 것이 현실이다. 이는 구매자가 한정되어 있고 해외 브랜드의 점유율이 높아 국내 스포츠 보호용품 시장의 규모가 작은 환경적 배경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결과이기도 하다.
다리보호대의 길이 편차를 사이즈별로 약 1inch로 두고 있는 시판 브랜드들이 타당성이 있음을 확인하는 근거는? 그리고 체형 그룹 1, 2 모두 샘플 사이즈가 포함된 키 구간에서는 높이항목에서 그레이딩 편차가 없이 둘레치수로만 그레이 딩된다. 무릎높이와 넙다리구간높이 편차의 합이 곧 다리보호대 전체 길이 편차로 고려해 볼 수 있는데, 그룹 1, 2 모두 키가 가장 작은 구간 또는 키가 가장 큰 구간은 샘플 사이즈보다 4.5~5.0cm 가량 작아지거나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키가 한 구간씩 커지거나 작아질때 다리보호대 전체 길이는 약 2.5cm의 편차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다리보호대의 길이 편차를 사이즈별로 약 1inch로 두고 있는 시판 브랜드 들은 타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nderson, L. J., Brannon, E. L., Ulrich, P. V., Marshall, T., Staples, N., Grasso, M., Butenhoff, P., & Beninati, M. (1997). Discovering the process of mass customization: A paradigm shift for competitive manufacturing. Pollution Prevention Regional Information Center. Retrieved September 30, 2016, from http://infohouse.p2ric.org/ref/08/07074.pdf 

  2. Gupta, D., & Gangadhar, B. R. (2004). A statistical model for developing body size charts for ga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lothing Science and Technology, 16(5), 458-469. doi:10.1108/09556220410555641 

  3. Hsiao, H. (2013). Anthropometric procedures for protective equipment sizing and design. Human Factors, 55(1), 6-35. doi:10.1177/0018720812465640 

  4. Jo, J. S., & Choi, J. W. (2002). Development of a grading increments chart for women's wear focusing on dimensional variations among groups of different ages, heights, and drop values. Journal of the Korean Fiber Society, 39(2), 240-250. 

  5.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0). 6차 인체치수조사 [The 6th Size Korea]. Size Korea. Retrieved February 29, 2016, from http://sizekorea.kats.go.kr/03_report/6th.asp 

  6. Lee, H., Eom, R. I., & Lee, Y. (2015). 3D modeling of safety leg guards considering skin deformation and shap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4(4), 555-569. doi:10.5934/kjhe.2015.24.4.555 

  7. Luximon, A., Zhang, Y., Luximon, Y., & Xiao, M. (2012). Sizing and grading for wearable products. Computer-Aided Design, 44(1), 77-84. doi:10.1016/j.cad.2011.07.004 

  8. Mpampa, M. L., Azariadis, P. N., & Sapidis, N. S. (2010). A new methodology for the development of sizing systems for the mass customization of ga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lothing Science and Technology, 22(1), 49-68. doi:10.1108/09556221011008802 

  9. Park, C. M., & Suh, M. A. (1998). Classification of the somatotype for pre-school children's clothing construc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6(3), 201-216. 

  10. Sohn, B., & Hong, K. (2005). Development of clothing size and grading increments chart for women in middle ag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4(1), 107-117. 

  11. Suh, D. A., Oh, S. Y., & Chun, J. S. (2006). A study of the patternmaking methods for mass customization of the men's jacke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 (1), 40-47. 

  12. Zakaria, N. (2011). Sizing system for functional clothing - Uniforms for school children. Indian Journal of Fibre & Textile Research, 36(4), 348-35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