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평가 방안 탐색
Exploring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9 no.1 = no.85, 2017년, pp.306 - 314  

홍정환 (부경대학교) ,  원효헌 (부경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qualitative evaluation and applicable models in the evaluation area of educational program. To this e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evaluation are examined, and grounded theory is selected as a suitable methodology for 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교육 프로그램 평가는 해당 프로그램의 개발 단계에서 설정한 목표가 제대로 성취되었는가를 측정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다시 말해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성과를 도출하였는지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주로 활용된 방법은 평가자가 확인코자 하는 변인을 설정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통계적 방법으로 확인하여 얼마나 의미 있는 성과가 도출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연구자는 계량화된 자료를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양적 평가와 상호보완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질적 평가의 방안을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탐색할 것이다.
  • 연구자는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평가 가능성과 방법론을 탐색하였다. 먼저 몇 개의 변인으로 환원되는 것이 불가능한 교육 프로그램 실행 현장의 복잡성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질적 연구방법론에 기초한 질적 평가가 필요하다는 점을 주장하기 위해, 질적 평가의 특징과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실재” 면에서 양적 연구는 고정되고 검증 가능한 하나의 객관적 실재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반면, 질적 연구는 실재를 사회적으로 구성되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정 평가는 무엇을 전제로 하고있는가? 교육 프로그램 평가에서 중요한 하나의 국면은 과정에 대한 평가이다. 과정 평가는 해당 프로그램이 어떠한 효과를 산출하였는지 보다 그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발생한 일에 관심을 두고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에 주목하는 태도를 전제하고 있다. 때문에 과정 평가는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혹은 프로그램 운영자와 참여자 간에 발생하는 상호작용의 특징이 무엇인지에 초점을 맞춘다(Patton, 2002).
Lee는 질적 평가의 특징을 어떻게 요약하였는가? 한편 평가는 연구방법론에 의지하고 있기에, 질적 평가 역시 이러한 질적 연구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Lee는 질적 평가의 특징을 “다양한 질적 자료의 활용”, “평가자의 전문성에 근거한 평가”, “총합적(holistic) 평가”, “평가 대상의 맥락 중시” 네 가지로 요약하였다(Lee, 2013, pp.82-83).
기존 교육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 활용된 방법은 무엇이있는가? 다시 말해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성과를 도출하였는지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주로 활용된 방법은 평가자가 확인코자 하는 변인을 설정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통계적 방법으로 확인하여 얼마나 의미 있는 성과가 도출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e, Ho-Soon(2008).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Theory. Seoul: Wonmisa. 

  2. Charmaz, K.(2010). Grounded Theory: Objective and Constructivist Methods. In W. Luttrell (Ed.) Qualitative Educational Research: Reading in reflective methodology and transformative practice. (183-207). London: Routledge 

  3.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2008). (Draft) Policy statements on Impact evaluation: September version.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4. Garbarino, Sabine & Jeremy Holland(2009).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in Impact Evaluation and Measuring Results. Issues Paper, Governance and Social Development Resource Centre. 

  5. Go, Mi-Young(2009). Qualitative case studies. Seoul: Chungmoksa. 

  6. Gwak, Young-Soon(2009). Qualitative studies: Philosophy, Art and Education. Pazoo: Education Science. 

  7. Hong, Young-Ki(2011). Grounded Theoric Approach in Curriculum Design and Reconstruction.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5(2), 1-18. 

  8. Kim, Young-Chun(2013).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II): Methods. Pazoo: Academy Press. 

  9. Lee, Eun-hwa(2006). A Study on Developing a Conceptual Model of Course Evaluation in University, Journal of Fishries and Marice Sciences Education, 18(3), 314-328. 

  10. Lee, Suk-Min(2012). A study on evaluation theory and model based on philosophical paradigm. Korean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22(1), 59-89. 

  11. Lee, Won-Suk(2013). Qualitative inquiry and program evaluation.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29(1), 79-92. 

  12. Mathison, S.(1988). Why triangulate? Educational research. 17(2), 13-17. 

  13. Patton, M. Q.(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3rd ed.).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 

  14. Rho, Hwa-Joon(2004). Policy Evaluation. Seoul: Bubmoon. 

  15. Seidman, I.(2006).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NY: Teachers College Press. 

  16. Shaw, Ian (1998). Qualitative Evaluation. London: Sage Publications. 

  17. Stainback, W., and S. Stainback.(1984). A Rationale for the Merger of Special and Regular Education. Exceptional Children, 51, 102-111. 

  18. Stake, R. E.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19. Strauss, A. & Corbin, J.(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2nd ed.). Thousand Oaks, CA: Sage 

  20. Zukoski, Ann & Luluquisen, Mia.(2002). Participatory Evaluation: What is it? Why Do it? What are the Challenges? Policy & Practice, 5: 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