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수소화효소 반응 및 촉매적 흡착 반응에 의한 액상 포름알데하이드의 제거 효율 연구
Investigation of Liquid Phase Formaldehyde Removal Efficiency by Enzymatic Formaldehyde Dehydrogenase and Catalytic Chemisorption Reaction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8 no.1, 2017년, pp.50 - 56  

함규진 (아주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  박민섭 (아주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  최권영 (아주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포름알데하이드는 무색, 무취의 유독성 물질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포름알데하이드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이 보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 효소 반응 및 화학적 흡착 촉매 반응에 의한 포름알데하이드의 제거 효율을 비활성을 통해 비교하였다. 첫째, Escherichia coli K12포름알데하이드 탈수소화 효소(Formaldehyde dehydrogenase, FDH)를 Escherichia coli BL21(DE3)에 클로닝하여 발현 및 분리하였다. FDH 효소 활성($k_{cat}/K_m$)은 $2.49{\times}10^3sec^{-1}mM^{-1}$로 측정되었으며, 비활성은 8.69 U/mg으로 측정되었다. 둘째, 화학적 흡착 및 화학 촉매를 이용한 포름알데하이드의 제거 효율도 동시에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활성탄제올라이트, KI 및 KOH로 처리한 활성탄과 제올라이트를 화학적 포름알데하이드 흡착제로 사용하였으며 $Pd/TiO_2$ 산화 촉매를 이용하여 포름알데하이드의 산화 반응 효율을 결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 수행한 화학적 흡착 및 산화 촉매 반응의 경우 대략 50%의 비슷한 수준의 포름알데하이드 제거 효율을 보였으며, 특히 비활성의 경우 탈수소화효소의 비활성이 0.01-0.26 U/g 수준의 화학적 흡착 및 산화 촉매보다 월등히 높게 측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maldehyde is one of the toxic substances without any color and smell. Several methods to remove formaldehyde has been investigated up to now. Here, both the enzymatic and chemisorptive/catalytic liquid phase formaldehyde removal were investigated, and their catalytic activities in terms of spec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효소의 경우 대량생산하여 반응에 이용하기 힘들다는 점에 있어서 두 공정을 비교하여 활성을 비교하는 것이 동일한 수준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름알데하이드 제거에 사용된 효소, 흡착제, 산화 촉매제의 동일한 질량을 기준으로 비활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는 FDH 기반의 생물학적 효소의 비활성이 월등히 높게 측정이 되었는데, 이는 또한 효소 반응과 흡착/촉매 반응 조건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 또한 포름알데하이드 제거를 목적으로 할 경우, 제거되는 포름알데하이드와 효소 활성의 상관관계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FDH의 효소 활성을 측정함에 있어서 포름알데하이드를 직접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을 통하여 포름알데하이드의 제거 관점에서의 FDH 효소 활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포름알데하이드와 반응하여 색변화를 일으키는 pararosaniline과 purpald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chemo-enzymatic 융합 공정을 최종 목표로 생물학적 효소, 화학 흡착제 및 촉매의 활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앞서 언급한 상이한 반응 스케일 및 반응 조건에 대한 최적화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이 된다면 생물학적인 촉매 방법과 화학적 흡착처리를 동시에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포름알데하이드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생물학적 FDH 효소 기반의 포름알데하이드 제거 연구와 더불어 활성탄, 제올라이트 흡착제와 Pd/TiO2 산화 촉매를 도입하여 액상 형태의 포름알데하이드를 제거 및 산화하는 반응 연구를 동시에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들을 통하여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인 pararosaniline-포름알데하이드 정량 검출 기반의 FHD 효소 활성 측정 및 화학적 흡착/산화 촉매 전환 효율의 정량적 비교를 연구하고자 한다[22].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진행한 FDH 효소 기반의 생물학적 포름알데하이드 전환 연구를 진행함과 동시에 화학적 흡착 및 산화적 촉매 반응을 통한 포름알데하이드 제거 연구를 함께 진행하였다. 화학적 흡착제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활성탄과 제올라이트를 선정하였으며 열처리 및 alkaline 전처리 방법을 추가하여 액상 포름알데하이드의 제거 효율을 측정하였다.
  • 산화 촉매를 도입하여 액상 형태의 포름알데하이드를 제거 및 산화하는 반응 연구를 동시에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들을 통하여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인 pararosaniline-포름알데하이드 정량 검출 기반의 FHD 효소 활성 측정 및 화학적 흡착/산화 촉매 전환 효율의 정량적 비교를 연구하고자 한다[22].
  • 49sec-1mM-1의 kcat/Km 수치로 결정되었으며 이는 기존에 보고된 다양한FDH 효소 활성과 크게 다르지 않는 범위에 속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사용한 FDH 효소는 비활성이 8.69 U/mg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를 화학적 흡착 및 산화 촉매 활성과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수치로 적용하고자 하였다. 활성탄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화학적 흡착의 경우 대략 50% 수준의 비슷한 포름알데하이드 제거 효율을 보였으며 흡착도의 경우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름알데하이드를 제거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포름알데하이드는 무색의 자극성이 강한 냄새를 가지고 있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알데하이드이며 직접 접촉에 의한 자극 및 가스 형태로 흡입을 통한 급성 독성 물질로 분류되어 있는 화학물질이다[1,2]. 포름알데하이드는 산화적인 방법을 통하여 덜 자극적이고 덜 유해한formic acid로 전환 혹은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관련한 생물학적 효소 전환과 흡착 및 화학 촉매적 전환 등 다양한 포름알데하이드 제거 방법들이 보고되고 있다[3,4]. 특히 생물학적 효소를 이용한 포름알데하이드의 제거는 FDH 효소가 대표적이다[5,6](Figure 1).
FDH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 중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의 문제점은? putida FDH의 비활성 측정방법과 같이 NAD+로부터 환원되어 생성되는 NADH 조효소를 340 nm 흡광 파장 변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14]. 특히 NADH의 간접적 측정 방법은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빠르게 측정할 수 있지만, 전자 전달 과정에 있어서 uncoupling effect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FDH 효소 활성이 높게 측정되어 정확한 효소 활성을 측정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포름알데하이드 제거를 목적으로 할 경우, 제거되는 포름알데하이드와 효소 활성의 상관관계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FDH의 효소 활성을 측정함에 있어서 포름알데하이드를 직접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을 통하여 포름알데하이드의 제거 관점에서의 FDH 효소 활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포름알데하이드란? 포름알데하이드는 무색의 자극성이 강한 냄새를 가지고 있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알데하이드이며 직접 접촉에 의한 자극 및 가스 형태로 흡입을 통한 급성 독성 물질로 분류되어 있는 화학물질이다[1,2]. 포름알데하이드는 산화적인 방법을 통하여 덜 자극적이고 덜 유해한formic acid로 전환 혹은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관련한 생물학적 효소 전환과 흡착 및 화학 촉매적 전환 등 다양한 포름알데하이드 제거 방법들이 보고되고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T. H. Ma and M. M. Harris, Review of the genotoxicity of formaldehyde, Mutat. Res., 196, 37-59 (1988). 

  2. C. L. Wiedemann, Formaldehyde toxicit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78, 554-555 (1994). 

  3. A. Talaiekhozani, M. Salari, M. R. Talaei, M. Bagheri, and Z. Eskandari, Formaldehyde removal from wastewater and air by using UV, ferrate(VI) and UV/ferrate(VI), J. Environ. Manag., 184, 204-209 (2016). 

  4. Z. Xu and H. Hou, Formaldehyde removal from air by a biodegradation system, Bull. Environ. Contam. Toxicol., 85, 28-31 (2010). 

  5. K. Ito, M. Takahashi, T. Yoshimoto, and D. Tsuru, Cloning and high-level expression of the glutathione-independent formaldehyde dehydrogenase gene from Pseudomonas putida, J. Bacteriol., 176, 2483-2491 (1994). 

  6. R. D. Barber, M. A. Rott, and T. J. Donohue, Characterization of a glutathione-dependent formaldehyde dehydrogenase from Rhodobacter sphaeroides, J. Bacteriol., 178, 1386-1393 (1996). 

  7. W. Zhang, S. Chen, Y. Liao, D. Wang, J. Ding, Y. Wang, X. Ran, D. Lu, and H. Zhu, Express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ormaldehyde dehydrogenase from Pseudomonas aeruginosa., Protein Expr. Purif., 92, 208-213 (2013). 

  8. M. Koivusalo and L. Uotila, Glutathione-dependent formaldehyde dehydrogenase/class III alcohol dehydrogenase: further characterization of the rat liver enzyme, Adv. Exp. Med. Biol., 328, 465-474 (1993). 

  9. R. N. Patel, H. R. Bose, W. J. Mandy, and D. S. Hoare, Physiological studies of methane- and methanol-oxidizing bacteria: comparison of a primary alcohol dehydrogenase from Methylococcus capsulatus (Texas strain) and Pseudomonas species M27, J. Bacteriol., 110, 570-577 (1972). 

  10. W. G. Gutheil, E. Kasimoglu, and P. C. Nicholson, Induction of glutathione-dependent form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in Escherichia coli and Hemophilus influenza, Biochem. Biophys. Res. Commun., 238, 693-696 (1997). 

  11. L. Lessmeier, M. Hoefener, and V. F. Wendisch, Formaldehyde degradation in Corynebacterium glutamicum involves acetaldehyde dehydrogenase and mycothiol-dependent formaldehyde dehydrogenase, Microbiology, 159, 2651-2662 (2013). 

  12. S. Ogushi, M. Ando, and D. Tsuru, Formaldehyde dehydrogenase from Pseudomonas putida: a zinc metalloenzyme, J. Biochem., 96, 1587-1591 (1984). 

  13. N. Tanaka, Y. Kusakabe, K. Ito, T. Yoshimoto, and K. T. Nakamura, Crystal structure of formaldehyde dehydrogenase from Pseudomonas putida: the structural origin of the tightly bound cofactor in nicotinoprotein dehydrogenases, J. Mol. Biol., 324, 519-533 (2002). 

  14. N. Wen, W. Liu, Y. Hou, and Z. Zhao, The kinetics behavior of the reduction of formaldehyde catalyzed by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partial uncompetitive substrate inhibition by NADH, Appl. Biochem. Biotechnol., 170, 370-380 (2013). 

  15. K. Y. Choi et al., Development of colorimetric HTS assay of cytochrome p450 for ortho-specific hydroxylation, and engineering of CYP102D1 with enhanced catalytic activity and regioselectivity, Chembiochem, 14, 1231-1238 (2013). 

  16. H. Huang and D. Y. C. Leung, Complete oxidation of formaldehyde at room temperature using $TiO_2$ supported metallic Pd nanoparticles, ACS Catal., 1, 348-354 (2011). 

  17. T. Kawai et al., Removal of formaldehyde by hydroxyapatite layer biomimetically deposited on polyamide film, Environ. Sci. Technol., 40, 4281-4285 (2006). 

  18. S. Tanada, N. Kawasaki, T. Nakamura, M. Araki, and M. Isomura, Removal of formaldehyde by activated carbons containing amino groups, J. Colloid Interface Sci., 214, 106-108 (1999). 

  19. A. M. Ewlad-Ahmed, M. A. Morris, S. V. Patwardhan, and L. T. Gibson, Removal of formaldehyde from air using functionalized silica supports, Environ. Sci. Technol., 46, 13354-13360 (2012). 

  20. S. Shin and J. Song, Modeling and simulations of the removal of formaldehyde using silver nano-particles attached to granular activated carbon, J. Hazard. Mater., 194, 385-392 (2011). 

  21. H. Dong, Y. H. Ding, and C. C. Sun, $C_2H+H_2CO$ : a new route for formaldehyde removal, J. Chem. Phys., 122, 204321 (2005). 

  22. M. S. Quesenberry and Y. C. Lee, A rapid formaldehyde assay using purpald reagent: application under periodation conditions, Anal. Biochem., 234, 50-55 (1996). 

  23. J. Pei and J. S. Zhang, Critical review of catalytic oxidization and chemisorption methods for indoor formaldehyde removal, HVAC&R Res., 17, 476-503 (2011). 

  24. C. B. Zhang, H. He, and K. Tanaka, perfect catalytic oxidation of formaldehyde over a Pt/ $TiO_2$ catalyst at room temperature, Catal. Commun., 6, 211 (2005). 

  25. C. B. Zhang, H. He, and K. Tanaka, Catalytic performance and mechanisms of a Pt/ $TiO_2$ catalyst for the oxdation of formaldehyde at room temperature, Appl. Catal. B, 65, 37-43 (2006). 

  26. X. Tang, J. Chen, X. Huang, Y. Xu and W. Shen, $Pt/MnO_{x}-CeO_{2}$ catalysts for the complete oxidaiton of formaldehyde at ambient temperature., Appl. Catal. B, 81, 115-121 (2006). 

  27. T. Li et al., Efficient, chemoenzymatic process for manufacture of the Boceprevir bicyclic [3.1.0]proline intermediate based on amine oxidase-catalyzed desymmetrization, J. Am. Chem. Soc., 134, 6467-6472 (2012). 

  28. M. Oslaj, J. Cluzeau, D. Orkic G. Kopitar, P. Mrak, and Z. Casar, A highly productive, whole-cell DERA chemoenzymatic process for production of key lactonized side-chain intermediates in statin synthesis, PLoS One, 8, e62250 (2013). 

  29. L. Werner, A. Machara, B. Sullivan, I. Carrera, M. Moser, D. R. Adams, T. Hudlicky, and J. Andraos, Several generations of chemoenzymatic synthesis of oseltamivir (Tamiflu): evolution of strategy, quest for a process-quality synthesis, and evaluation of efficiency metrics, J. Org. Chem., 76, 10050-10067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