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형 풍력발전기용 소형 모터-발전기 시스템 설계
Design of a Small-Scale Motor-Generator System for a Large Wind Turbine 원문보기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The KSFM journal of fluid machinery, v.20 no.1, 2017년, pp.48 - 52  

임채욱 (한밭대학교 기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all-scale motor-generator sets have been used in laboratories for verification of real large wind turbines whose rated power are more than 1 MW. In this paper, a result of designing a small-scale motor-generator system, which is composed of motor, gear box, flywheel, and generator, is presente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5 kW 소형 모터-발전기 시스템의 설계 목적은 고려된실제 2 MW 풍력발전기와 발전기의 응답속도 면에서 동일한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설계를 통해 만족해야 할 소형 모터-발전기 시스템의 성능은 발전기 속도의 시상수 8.
  • 본 논문에서는 Fig. 4와 같이 최적 주속비 풍속 구간 내의 풍속 6 m/s에서 8 m/s로 변하는 계단 풍속입력을 통하여 발전기 응답 특성을 확인해 보았다. 최적모드게인을 이용하는 식 (3)의 토크 제어 방법은 비선형제어 방법이므로 풍력발전기의 모델과 토크 제어기를 통하여 발전기 속도의 응답을 해석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수치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그러므로 실험실 규모의 소형 모터-발전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발전기에서의 출력제어의 작동과 효율을 확인 시에 전기적인 측면과 함께 전체 시스템 응답의 유사성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에 대한 것으로, 2 MW급 풍력발전기를 대상으로 소형 모터-발전기 시스템의 주요 파라미터들을 설계하여 응답속도 면에서 동일한 특성을 가짐을 보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수 MW급 풍력발전기와 동일한 응답특성을 나타내는 소형 모터-발전기 시스템의 설계에 관하여 살펴보았는데, 최적모드게인을 이용하는 토크 제어 방법을 적용하여 발전기의 응답 성능을 확인함을 통하여 설계 파라미터들을 선정할 수 있음을 보였다.
  • 3.4 설계 파라미터들의 선정

    정격 출력이 3.5 kW인 소형 모터-발전기 시스템의 설계파라미터들을 선정하기 위하여 우선 국내와 국외의 3 kW급소형 풍력발전기 업체들의 제품을 조사해 보았다. 3 kW급 소형 풍력발전기의 실제 블레이드 길이는 약 2~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3.5 kW 소형 모터-발전기 시스템가 만족해야할 응답 속도의 수준은 어떠한가? 5 kW 소형 모터-발전기 시스템의 설계 목적은 고려된실제 2 MW 풍력발전기와 발전기의 응답속도 면에서 동일한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설계를 통해 만족해야 할 소형 모터-발전기 시스템의 성능은 발전기 속도의 시상수 8.6초와 최적 주속비 풍속 구간 5.3~9.3 m/s로, 이는 2 MW 풍력발전기와 동일한 성능임을 말해 준다. 3.
최적모드게인을 이용하는 토크 제어 방법은 무엇인가? 최적모드게인을 이용하는 토크 제어 방법은 Fig. 3에서와 같이 풍속의 크기에 따라 최적 주속비를 얻기 위하여 토크-속도의 정상상태 관계 특성을 나타내는 식 (3)을 이용하여 발전기의 토크 크기(Tg )를 발전기의 회전속도(Ωg )의 제곱에 비례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비선형제어 방법이다.(3,4,9)
풍력발전기는 무엇인가?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이 날로 심각해지면서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분야가 대두되고 있다. 그중 풍력발전기는 바람이 가진 무공해에너지로부터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하여 발전기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기계이다. 풍력발전기의 구조는 고차의 복합시스템으로써 블레이드, 허브, 기어 박스, 저속 회전축, 고속 회전축, 타워, 발전기, 피치시스템, 요시스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Hansen, A. D. and Hansen, L. H., 2007, "Wind Turbine Concept Market Penetration over 10 Years," Wind Energy, Vol. 10, No. 1, pp. 81-97. 

  2. Joselin Herberta, G. M., Iniyanb, S., Sreevalsanc, E., and Rajapandian, S., 2007, "A Review of Wind Energy Technologie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11, No. 6, pp. 1117-1145. 

  3. Bossanyi, E. A., 2000, "The Design of Closed-loop Controllers for Wind Turbines", Wind Energy, Vol. 3, No. 3, pp. 149-163. 

  4. Burton, T., Sharpe, D., Jenkins, N., and Bossanyi, E., 2001, "Wind Energy Handbook," John Wiley & Sons, Ltd. 

  5. Oh, S. J., Cha, M. Y., Kim, J. W., Jeong, J. K., Han, B. M., and Chang, B. H., 2011, "Development of Hardware Simulator for DFIG Wind Power System Composed of Anemometer and Motor-Generator Set," The Transactions of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16, No. 1, pp. 11-19. 

  6. Jeong, B. C., Song, S. H., Rho, D. H., and Kim, D. Y., 2002, "A Wind Turbine Simulator with Variable Torque Input,"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1B, No. 8, pp. 467-474. 

  7. Lee, J. K., Park, J. Y., Oh, K. Y., and Park, J. S., 2011, "Development of Wind Turbine Simulator for Generator Torque 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Mechanical, Aerospace, Industrial, Mechatronic and Manufacturing Engineering, Vol. 5, No. 10, pp. 1965-1968. 

  8. Kwon, S. J., Son, Y. G., Jang, S. D., Suh, J. H., Oh, J. S., Chun, C. H., Chung, C. W., Han, K. S., Kim, D. H., and Kwon, O. J., 2006, "A Simulator for the Development of Power Conversion System for 2 MW Wind Turbine," European Wind energy Conference and Exhibition, Athens, Greece. 

  9. Lim, C. W., 2013, "Dynamic Response of a 2.75 MW Wind Turbine Applying Torque Control Method Based on Torque-Mode," The KSFM Journal of Fluid Machinery, Vol. 16, No. 6, pp. 5-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