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별여행비용법(TCM)을 이용한 동해안 해수욕장의 경제적 가치추정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the East Sea Beach Using Individual Travel Cost Method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9 no.1, 2017년, pp.51 - 59  

표희동 (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 해양수산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 of beaches which are the major part of the East Sea Coast. ITCM (Individual Travel Cost Method) is applied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 of its beaches using Poisson, negative binomial, truncated Poisson and truncated negative binomial m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동해안 연안습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해수욕장에 초점을 맞추어 개별여행비용법(individual travel cost method: ITCM)을 적용하여 동해안 해수욕장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해양생태계 관련 조사사업과의 연계성 및 비교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중요한 동해안 해수욕장의 효율적인 관리 및 현명한 이용을 위한 다양한 정책수단 개발 및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여행비용법을 적용하여 동해 연안습지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해수욕장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는 것이다. 여행비용법에 의한 동해 해수욕장 및 연안습지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서 개별여행비용법(ITCM)을 적용하였고, 구체적으로 포아송모형, 음이항모형, 절단된 포아송모형 및 절단된 음이항모형 등 가산자료모형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행비용법이란 무엇인가? 여행비용법은 시장자료를 활용하여 경제적 가치를 도출하는 현시선호방법의 대표적인 모델로서 주로 여가를 위해 해수욕장 등 환경자연자원을 방문하는 행위에 따른 경제적 편익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여행비용법은 크게 지역여행비용모형(zonal travel cost model: ZTCM)과 개별여행비용모형(individual travel cost model: ITCM), 지역모형과 개인모형을 혼합한 모형(hybrid individual-zonal travel cost model), 확률효용모형(random utility model)이 있다(Brown et al.
여행비용법을 크게 분류하면? 여행비용법은 시장자료를 활용하여 경제적 가치를 도출하는 현시선호방법의 대표적인 모델로서 주로 여가를 위해 해수욕장 등 환경자연자원을 방문하는 행위에 따른 경제적 편익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여행비용법은 크게 지역여행비용모형(zonal travel cost model: ZTCM)과 개별여행비용모형(individual travel cost model: ITCM), 지역모형과 개인모형을 혼합한 모형(hybrid individual-zonal travel cost model), 확률효용모형(random utility model)이 있다(Brown et al. 1983; Loomis et al.
개별여행비용법의 자료의 특성은? 또한 개별여행비용법은 통계적 효율성이나 이론적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고, 임의의 지역구분으로 인해 발생하는 편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여행수요의 특성이 일반적으로 여행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확률적으로 0이하를 고려할 필요가 없고, 여행수요량이 여행자 인원수인 정수(integer)의 자료특성을 갖고 있어서 포아송모형(poisson model: PM), 음이항모형(negative binomial model: NBM), 절단된 포아송모형(truncated poisson model: TPM), 절단된 음이항모형(truncated negative binomial model: TNBM)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Ward and Loomis 1986; Creel and Loomis 1990; Yen and Adamowicz 1993; Curtis 2002). 우리나라와 같이 전체 인구의 절반정도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다른 지역도 대도시에 편중되어 있는 특수한 경우에는 여러 개의 등거리 지역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개별여행비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석규 (2016) 여행비용법에 의한 선상낚시 체험활동의 경제적 가치추정: 제주 차귀도를 대상으로. 수산경영론집 47(2):33-41 (Kang SK (2016)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boat fishing experience activity using travel cost method: focused on Jeju Island's Chagwido. J Fish Bus Adm 47(2):33-41) 

  2. 박미옥, 소국섭, 김재석 (2010) 광안리 해수욕장 비시장재화의 가치추정: 여행비용법의 활용. 호텔관광연구 12(2):17-27 (Park MO, Soh KS, Kim JS (2010) Estimating valuation for non-market goods of Gwanganri beach. J Hospit Tour Stu 12(2):17-27) 

  3. 서주남, 김도훈, 강성경 (2012) 여행비용모형을 이용한 전남 바다목장 해역 유어활동의 경제적가치 추정. 수산경영론집 43(2):41-49 (Seo JN, Kim DH, Kang SK (2012)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recreational fishing in the Jeonnam marine ranching area. J Fish Bus Adm 43(2):41-49) 

  4. 송운강 (2004) 경포 해수욕장의 경제적 가치추정: 가산자료 모형을 이용한 개인여행비용분석. 관광학연구 28(1):11-25 (Song WK (2004)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the Gyeongpo beach: an individual travel cost analysis using count data models. J Tour Sci 28(1):11-25) 

  5. 정우철 (2005) 동해안 해수욕장 운영 경제적 효과조사. 강원발전연구원, 춘천, 220 p (Chung WC (2005) Investigating the economic effects of East Coast Beach. Kangwon Research Development Institute, Chuncheon, 220 p) 

  6. 표희동 (2014) 허베이 스피리트호의 기름유출에 따른 바다유어낚시어선 이용객의 경제적 손실평가연구. Ocean and Polar Res 36(3):289-302 (Pyo HD (2014) Evaluating the economic damages to anglers of marine recreational charter due to the Herbei Spirit vessel oil spill. Ocean and Polar Res 36(3):289-302) 

  7. 표희동, 박철형, 정진호 (2008) 개발여행비용법을 이용한 바다 유어낚시의 소비자 잉여 추정. Ocean and Polar Res 30(2):141-148 (Pyo HD, Park CH, Chung JH (2008) Estimating consumer surplus for recreational fishing using individual travel cost method. Ocean and Polar Res 30(2):141-148) 

  8. 허윤정, 이승래 (2007) 가산자료모형을 이용한 송정 해수욕장의 경제적 가치추정: 비수기 해수욕장의 가치추정. 수산경영론집 38(2):79-101 (Heo YJ, Lee SL (2007)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the Songjeong Beach using a count model: off-season value of the beach. J Fish Bus Adm 38(2):79-101) 

  9. Awondo SN, Egan KJ, Dwyer DF (2011) Increasing beach recreation benefits by using wetland to reduce contamination. Mar Resour Econ 26:1-15 

  10. Bergstrom JC, Cordell (1991) An analysis of the demand for and value of outdoor recreation in the United States. J Leisure Res 23:67-86 

  11. Bin O, Landry CE, Ellis CL, Vogelsong H (2005) Some consumer surplus estimates for North Carolina beaches. Mar Resour Econ 20:145-161 

  12. Blakemore F, Williams A (2008) British tourists' valuation of a Turkish beach using contingent valuation and travel cost methods. J Coastal Res 24:1469-1480 

  13. Bockstael NE, McConnell KE, Strand IE (1989) A random utility model for sportsfishing: some preliminary results for Florida. Mar Resour Econ 6(3):245-260 

  14. Brown W, Sorhus C, Chou-Yang B, Richards J (1983) Using individual observations to estimate recreation demand functions: a caution. Amer J Agr Econ 65:154-157 

  15. Creel M, Loomis J (1990) Theoretical and empirical advantages of truncated count data estimators for analysis of deer hunting in California. Am J Agr Econ 72:434-441 

  16. Curtis JA (2002) Estimating the demand for salmon angling in Ireland. Econ Soc Rev 33:319-332 

  17. Hellerstein D, Mendelsohn R (1993)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count data models. Am J Agr Econ 75:604-611 

  18. Lew DK, Larson DM (2005) Valuing recreation and amenities at San Diego County Beaches. Coast Manage 33:71-86 

  19. Loomis J, Tadjion O, Watson P, Wilson J, Davies S, Thilmany D (2009) A hybrid individual-zonal travel cost model for estimating the consumer surplus of golfing in Colorado. J Sports Econ 10(2):155-167 

  20. Murray C, Sohngen B, Pendleton L (2001) Valuing water quality advisories and beach amenities in the Great Lakes. Water Resour Res 37:2583-2590 

  21. Nunes P, van den Bergh JCJM (2004) Can people value protection against invasive marine species? Evidence from a joint TC-CV survey in the Netherlands. Environ Resour Econ 28:517-532 

  22. Parsons GR, Chen Z, Hidrue MK, Standing N, Lilley J (2013) Valuing beach width for recreational use: combining revealed and stated preference data. Mar Resour Econ 28:221-241 

  23. Parsons GR, Kang AK (2010) Compensatory restoration in a random utility model of recreation demand. Contemp Econ Policy 28:453-463 

  24. Pendleton L, Mohn C, Vaughn RK, King P, Zoulas JG (2012) Size matters: the economic value of beach erosion and nourishment in Southern California. Contemp Econ Policy 30:223-237 

  25. Rolfe J, Gregg D (2012) Valuing beach recreation across a regional area: the Great Barrier Reef in Australia. Ocean Coast Manage 69:282-290 

  26. Torres C, Hanley N (2016) Economic valuation of coastal and marine ecosystem services in the 21st century: an overview from a management perspective. University of St. Andrews, Saint Andrews, 218 p 

  27. Ward FA, Loomis J (1986) The travel cost demand model as an environmental policy assessment tool: a review of literature. Western J Agr Econ 11:164-178 

  28. Whitehead JC, Dumas CF, Herstine J, Hill J, Buerger B (2008) Valuing beach access and width with revealed and stated preference data. Mar Resour Econ 23:119-135 

  29. Windle J, Rolfe J (2013) Estimating nonmarket values of Brisbane (state capital) residents for state based beach recreation. Ocean Coast Manage 85:103-111 

  30. Yen ST, Adamowicz WL (1993) Statistical properties of welfare measures from count-data models of recreation demand. Rev Agric Econ 15:203-215 

  31. Zhang F, Wang XH, Nunes P, Ma C (2015) The recreational value of gold coast beaches, Australia: an application of the travel cost method. Ecosyst Ser 11:106-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