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X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VR 소방체험 교육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VR Fire-extinguishing Experience Education Contents Using UX Design Methodolog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3, 2017년, pp.222 - 230  

정유경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민안전처는 2016년 국민의 생활안전 기반 강화를 위한 정책으로 맞춤형 소방안전교육과 소방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맞춤형 소방안전 교육체제 마련을 위해 소방안전교육 인프라 확충을 위한 방안을 계획 중이다. 이는 그간 우리사회의 안전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가 선행되어진 이유이기도 하다. 현재 안전교육이 시행되고 있으나 실제현장과 같은 상황을 체험할 수 없고 교육에 대한 만족도도 기초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안으로 VR 소방체험교육콘텐츠를 제안한다. 이는 가상공간에서 화재진압과 대피훈련에 대한 체험교육을 목적으로 1)소방체험교육현장에서 안전하게 활용 2)흥미유발을 위한 인터랙션 UI 제공 3)동작인식기술과 조작 컨트롤러를 개발 사실감 증대 4)예산절감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VR 디자인 환경요소와 VR 교육콘텐츠 개발사례를 통해 체험교육의 학습적 효과를 알아보고 UX 디자인방법론(Persona, Task Scenario)을 적용하여 VR 소방체험 시스템 구조와 하드웨어를 구성한다. 또한 HMD 환경에서 조작과 몰입 감을 유도할 수 있는 VR 전용 동작인식과 컨트롤러의 통합 플러그인도 개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plans to expand fire safety education infrastructure to provide customized fire safety education, spread fire safety culture and develop a tailored fire safety education system as a part of the 2016 Citizens' Safety Improvement Policy. This study has also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UX 모델링을 학습자의 행동패턴을 도출하기 위한 페르소나(Persona) 방법과 이를 바탕으로 시나리오 기반의 소방체험교육서비스를 위한 UX 디자인방법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 교육 참가자들의 자발성을 주축으로 문제해결 학습법을 통하여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이나 기능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따라서 논 논문에서는 소방체험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UX 디자인방법론을 적용하여 사용자 체험의 현실적인 구현을 위한 상호작용 즉, 게임형태의 VR 소방안전체험 교육콘텐츠를 개발하고 그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한다.
  • 이렇듯 정부와 기관은 안전체험이란 형태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나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는 매우 부족하고 실제 현장과 같은 상황을 체험할 수 없어 교육에 대한 효과도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안전체험교육의 현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VR 소방안전체험 교육콘텐츠를 제안하고자한다. 가상현실기반 체험형 콘텐츠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만들어낸 가공의 상황을 사용자의 감각기관을 통해 느끼게 하고, 몰입을 주고, 상호작용하게 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가상 속에서 오감을 이용하여 능동적인 학습자가 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상현실 기반 체험형 콘텐츠에는 무엇이 있는가? 가상현실 기반 체험형 콘텐츠는 ① 학습 콘텐츠 및 학습자 간에 다양한 상호 인터랙션을 지원하는 다자간 학습 인터랙션 지원 기술, ② 학습자를 추출하여 학습 콘텐츠와 합성하고 동기화하는 학습자 콘텐츠 참여 지원기술, ③ 학습자들의 수준을 진단하여 가장 적합한 학습 콘텐츠를 추천하는 개인화 학습 지원기술, ④ 스마트TV와 가상체험교실, 멀티방, 극장 등의 공간에서 활용 가능한 학습 콘텐츠의 저작을 지원하는 참여 형 학습 콘텐츠 제작기술, ⑤ 실시간 참여 형 스마트TV 교육 서비스와 입체 몰입 형 다자간 참여 형 교육서비스, 인터렉티브(Interactive) 증강 공간 디스플레이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기술로 구성되어있다[3]. [그림 1]은 이러한 가상현실 기반의 체험콘텐츠 시스템 구성을 도표로 종합 정리한 것이다.
경험학습이란 무엇인가? 경험학습[經驗學習,Experiential Learning]은 실제적경험을 강조하는 훈련으로 습득한 지식과 기술에 기초한 현실과 유사한 상황이나 사건, 연습에 학습자를 배치하는 교육 또는 훈련프로그램이다. 이를 체험학습이라고도 칭한다.
경험학습의 목적은 무엇인가? 이를 체험학습이라고도 칭한다. 교육 참가자들의 자발성을 주축으로 문제해결 학습법을 통하여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이나 기능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생들의 주체성이 중시되어 흥미나 의욕에 크게 활용된다는 점에서 학습의 효과가 높아지기 쉽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MBC 시사매거진, 2016.04.16. 

  2. 고미숙, "체험교육의 의미," 아시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133-162, 2006. 

  3. 이준석, 노진아, 임석현, 이석재, "가상현실 기반 체험형 콘텐츠 기술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7권, 제3호, pp.73-82, 2012(6). 

  4. 미국에서의 교육과 IT에 관한 대처현황, https://www.jetro.go.jp/ext_images/_Reports/02/96e36f612bf58125/ny_report_201512.pdf 

  5. HRD 용어사전, (사)한국기업교육학회, 2010. 

  6. Schon Donald, The Reflective practitioner, New York Basic Books, Inc. Publishers, 1983. 

  7. 고범석, 류지헌, 조일현, 허희옥, 김정현, 계보경, 증강현실 기반 차세대 체험형 학습모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2006. 

  8.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안전지원과, 서울 보라매 안전체험관 운영계획, 2016.01. 

  9. 인천시청 보도자료, 작성자 잠실청담 413 4488, 2016.03.24. 

  10.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 2016년도 소방안전교육 기본계획, 소방정책과, 2015.12.31. 

  11. 이동민, 김혜인, "새로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UX적 관점에서의 GUI의 방향 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Vol.27, p.298, 2013(9). 

  12. 박진홍, 김승인, "게임 GUI 인덱스의 통합적 방향성제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5권, 제3호, pp.607-616, 2015(7). 

  13. 박남춘, "컨텍스트(Context)중심의 UX 디자인 방법론,"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29권, 제7호, pp.56-61, 2012(7). 

  14. 한종성, 이근호, "HMD를 이용한 VR 관광 콘텐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p.45,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