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n-Doped In2O3 나노잉크를 위한 나노로드의 복합화에 따른 용액기반 투명 전도성 산화물의 저온성능
Low-Temperature Performance of Solution-Based Transparent Conducting Oxides Depending on Nanorod Composite for Sn-Doped In2O3 Nanoinks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7 no.3, 2017년, pp.149 - 154  

배주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구본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의공학-바이오소재 융합 협동과정 신소재공학프로그램) ,  이태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안효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nsparent conducting oxides (TCOs) were fabricated using solution-based ITO (Sn-doped $In_2O_3$) nanoinks with nanorods at an annealing temperature of $200^{\circ}C$. In order to optimize their transparent conducting performance, ITO nanoinks were composed of ITO nanopartic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7) 여기서 ITO 나노입자는 공침법을 통해 제조된 hydroxide 입자를 700 oC에서 5분간 마이크로웨이브 열처리하여 준비하였고, ITO 졸 용액은 2-propanol((CH3)2CHOH, Aldrich)에 indium (III) chloride tetrahydrate(InCl3·4H2O, Aldrich)와 tin (IV) chloride dihydrate(SnCl2·2H2O, Aldrich)를 10:1의 몰 비율로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 79 Å) 전자 이동도 향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19,20) 더욱이 제조된 ITO 투명전극을 구성하는 상에 대해 자세히 분석하기 위해 X-선 광전자 주사법을 이용하여 원소의 화학적 산화상태를 조사하였다. Figs.
  • ITO 투명전극의 표면거칠기을 조사하기 위해 원자력간 현미경 분석을 실시하였다. Figs.
  • 이를 위해 ethanol (anhydrous, Aldrich)에 indium(III) chloride tetrahydrate (InCl3·4H2O, Aldrich)와 tin(IV) chloride pentahydrate (SnCl2·2H2O, Aldrich)가 용해된 용액과 N,N-Dimethylformamide (DMF, Aldrich)와 ethanol (CH3CH2OH, Aldrich)의 혼합용매에 poly(vinylpyrrolidone)(PVP, MW = 1,300,000 g/mol, Aldrich)가용해된 용액을 혼합하여 전기방사용 용액을 준비하였다. 균일하게 분산된 이 용액은 23 게이지 바늘이 장착된 실린지 내로 옮긴 후 주사속도 0.02 ml/h, 전압 11 kV 조건 하에서 전기방사를 실시하였다. 이 때, 유리기판과 바늘 팁 사이의 거리는 15 cm로 유지시켰다.
  • 이와 같이 방사된 나노섬유를 500 oC에서 5시간동안 열처리하여 ITO 나노로드를 제조하였다. 따라서 준비된 ITO 나노로드를 기존 ITO 나노잉크에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ITO 복합나노잉크를 제조하였으며, ITO 나노로드의 비율에 따른 ITO 투명전극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ITO 나노입자만으로 이루어진 잉크와 ITO 나노로드와 나노입자의 무게비율을 0.1, 0.2 및 0.5로 조절한 잉크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각각의 ITO 투명전극을 ITO NP, ITO-0.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0차원 나노입자로 구성된 ITO 나노잉크에 1차원 나노로드를 복합화하여 저온 열처리 공정에서 고성능 ITO 투명전극을 제조하였다. 또한 그들의 표면적, 구조적, 화학적,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나노로드의 복합화에 따른 ITO 투명전극의 성능향상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0차원 나노입자로 구성된 ITO 나노잉크에 1차원 나노로드를 복합화하여 저온 열처리 공정에서 고성능 ITO 투명전극을 제조하였다. 또한 그들의 표면적, 구조적, 화학적,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나노로드의 복합화에 따른 ITO 투명전극의 성능향상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ITO 나노입자와 ITO 나노로드로 구성된 ITO 복합나노잉크를 이용하여 200 oC의 저온 열처리 공정에서 ITO 투명전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ITO 투명전극의 성능향상을 위해 ITO 복합나노잉크를 구성하는 ITO 나노로드와 ITO 나노입자의 무게비율을 4단계(0, 0.
  • 우리는 ITO 나노입자와 ITO 나노로드로 구성된 복합나노잉크를 이용하여 ITO 투명전극을 제조하였다. 기존 보고된 ITO 나노잉크는 저온 열처리 공정에서 ITO 투명전극의 성능 향상을 위해 ITO 졸 용액에 ITO 나노입자를 0.
  • 이 때, 유리기판과 바늘 팁 사이의 거리는 15 cm로 유지시켰다. 이와 같이 방사된 나노섬유를 500 oC에서 5시간동안 열처리하여 ITO 나노로드를 제조하였다. 따라서 준비된 ITO 나노로드를 기존 ITO 나노잉크에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ITO 복합나노잉크를 제조하였으며, ITO 나노로드의 비율에 따른 ITO 투명전극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ITO 나노입자만으로 이루어진 잉크와 ITO 나노로드와 나노입자의 무게비율을 0.
  • C의 저온 열처리 공정에서 ITO 투명전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ITO 투명전극의 성능향상을 위해 ITO 복합나노잉크를 구성하는 ITO 나노로드와 ITO 나노입자의 무게비율을 4단계(0, 0.1, 0.2 및 0.5)로 조절하였다. 이에 따라 X-선 회절 분석 결과에서는 ITO 나노로드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제조된 ITO 투명전극이 가지는 (440)면의 회절강도가 증가함을 보였으며, 주사 전자 현미경 결과에서도 ITO 투명전극을 구성하는 ITO 나노로드의 비율이 점차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대상 데이터

  • 우리는 ITO 나노입자와 ITO 나노로드로 구성된 복합나노잉크를 이용하여 ITO 투명전극을 제조하였다. 기존 보고된 ITO 나노잉크는 저온 열처리 공정에서 ITO 투명전극의 성능 향상을 위해 ITO 졸 용액에 ITO 나노입자를 0.24의 무게비율로 혼합하여 준비하였다.17) 여기서 ITO 나노입자는 공침법을 통해 제조된 hydroxide 입자를 700 oC에서 5분간 마이크로웨이브 열처리하여 준비하였고, ITO 졸 용액은 2-propanol((CH3)2CHOH, Aldrich)에 indium (III) chloride tetrahydrate(InCl3·4H2O, Aldrich)와 tin (IV) chloride dihydrate(SnCl2·2H2O, Aldrich)를 10:1의 몰 비율로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 이를 위해 ethanol (anhydrous, Aldrich)에 indium(III) chloride tetrahydrate (InCl3·4H2O, Aldrich)와 tin(IV) chloride pentahydrate (SnCl2·2H2O, Aldrich)가 용해된 용액과 N,N-Dimethylformamide (DMF, Aldrich)와 ethanol (CH3CH2OH, Aldrich)의 혼합용매에 poly(vinylpyrrolidone)(PVP, MW = 1,300,000 g/mol, Aldrich)가용해된 용액을 혼합하여 전기방사용 용액을 준비하였다.

데이터처리

  • X-ray source)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 투명전극들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은 자외선-가시선 분광 분석법(UV-Vis spectrophotometry, Scinco, S-3100)과 홀 효과 측정시스템(Hall effect measurement system, Ecopoia, HMS3000)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 17) 여기서 ITO 나노입자는 공침법을 통해 제조된 hydroxide 입자를 700 oC에서 5분간 마이크로웨이브 열처리하여 준비하였고, ITO 졸 용액은 2-propanol((CH3)2CHOH, Aldrich)에 indium (III) chloride tetrahydrate(InCl3·4H2O, Aldrich)와 tin (IV) chloride dihydrate(SnCl2·2H2O, Aldrich)를 10:1의 몰 비율로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준비된 ITO 나노잉크에 ITO 나노로드를 복합화하기 위하여 전기방사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ethanol (anhydrous, Aldrich)에 indium(III) chloride tetrahydrate (InCl3·4H2O, Aldrich)와 tin(IV) chloride pentahydrate (SnCl2·2H2O, Aldrich)가 용해된 용액과 N,N-Dimethylformamide (DMF, Aldrich)와 ethanol (CH3CH2OH, Aldrich)의 혼합용매에 poly(vinylpyrrolidone)(PVP, MW = 1,300,000 g/mol, Aldrich)가용해된 용액을 혼합하여 전기방사용 용액을 준비하였다.
  • 제조한 ITO 투명전극들의 형태 및 구조 분석은 주사 전자 현미경(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Hitachi S-4800)과 원자력간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 AFM, diDimensionTM 3100)을 이용하였고, 결정구조 및 화학적 결합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ion, XRD, Rigaku Rint 2500)과 X-선 광전자 주사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ESCALAB 250 equipped with an Al KαX-ray source)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투명 전도성 산화물은 무엇의 구성요소인가?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ng oxides, TCOs)는 높은 전기적(< 10−3 Ω·cm) 및 광학적(> 80 %)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터치패널, 태양전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 최신 광전기적 소자의 중요 구성요소로 이용되고 있다.1-5) 이러한 TCO 물질로는 현재까지 주석 도핑된 인듐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불소 도핑된 주석산화물, 알루미늄 도핑된 아연산화물 등이 보고되고 있다.
투명 전도성 산화물은 어떤 특성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ng oxides, TCOs)는 높은 전기적(< 10−3 Ω·cm) 및 광학적(> 80 %)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터치패널, 태양전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 최신 광전기적 소자의 중요 구성요소로 이용되고 있다.1-5) 이러한 TCO 물질로는 현재까지 주석 도핑된 인듐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불소 도핑된 주석산화물, 알루미늄 도핑된 아연산화물 등이 보고되고 있다.
저온 열처리 공정에서 용액기반 ITO 투명전극의 고성능화가 광전기적 소자의 발전을 위해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중요한 연구분야 중 하나인 이유는? 90 × 10−2 Ω·cm와 투과도 ~90 %의 ITO 투명전극을 제조하였다.16) 하지만 용액기반 ITO 투명전극의 고성능화를 위해서는 ITO의 결정화를 발생시키고자 250 oC 이상의 고온 열처리공정이 반드시 요구된다.17) 이러한 공정은 용액기반 ITO 투명전극의 제조에 있어 가격경쟁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차세대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유연소자 및 대면적소자로의 적용이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저온 열처리 공정에서 용액기반 ITO 투명전극의 고성능화는 광전기적 소자의 발전을 위해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중요한 연구분야 중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 R. van Doorn and M. J. Jongerius, Phys. Rev. B: Condens. Matter, 68, 155410 (2003). 

  2. J.-A. Jeong, J. Lee, H. Kim, H.-K. Kim and S.-I. Na, Sol. Energy Mater. Sol. Cells, 94, 1840 (2010). 

  3. N. Ameera, A. Shuhaimi, N. Surani, M. Rusop, M. Hakim, M. H. Mamat, M. Mansor, M. Sobri, V. Ganesh, Y. Yusuf, Ceram. Int., 41, 913 (2015). 

  4. B.-R. Koo and H.-J. Ahn, J. Nanosci. Nanotechnol., 14, 9632 (2014). 

  5. B.-R. Koo and H.-J. Ahn, Korean J. Mater. Res., 24, 145, (2014). 

  6. H.-R. An, S.-T. Oh, C. Y. Kim, S.-H. Baek, I.-K. Park and H.-J. Ahn, J. Alloys Compd., 615, 728 (2014). 

  7. J.-M. Kim, B.-R. Koo, H.-J. Ahn and T.-K. Lee, Korean J. Mater. Res., 25, 125 (2015). 

  8. K. C. Heo, Y. Sohn and J. S. Gwag, Ceram. Int., 41, 617 (2015). 

  9. E. N. Dattoli and W. Lu, MRS Bulletin, 36, 782 (2011). 

  10. P. K. Song, Y. Shigesato, M. Kamei and I. Yasui, Jpn. J. Appl. Phys., 38, 2921 (1999). 

  11. P. Manivannan and A. Subrahmanyam, J. Phys. D: Appl. Phys., 26, 1510 (1993). 

  12. R. M. Pasquarelli, D. S. Ginley and R. O'Hayre, Chem. Soc. Rev., 40, 5406 (2011). 

  13. Z. Chen, W. Li, R. Li, Y. Zhang, G. Xu and H. Cheng, Langmuir, 29, 13836 (2013). 

  14. S. J. Kim, S. Yoon and H. J. Kim, Jpn. J. Appl. Phys., 53, 02BA02 (2014). 

  15. M. T. Kesim and C. Durucan, Thin Solid Films, 545, 56 (2013). 

  16. M. Fang, A. Aristov, K. V. Rao, A. V. Kabashin and L. Belova, RSC Adv., 3, 19501 (2013). 

  17. B.-R. Koo and H.-J. Ahn, Ceram. Int., 42, 509 (2016). 

  18. M. Okuya, N. Ito and K. Shiozaki, Thin Solid Films, 515, 8656 (2007). 

  19. M. Sawada and M. Higuchi, Thin Solid Films, 317, 157 (1998). 

  20. M. Higuchi, M. Sawada and Y. Kuronuma, J. Electrochem. Soc., 140, 1773 (1993). 

  21. L. L. Kazmerski, P. J. Ireland and P. Sheldon, J. Vac. Sci. Technol., 17, 1061 (1980). 

  22. B.-R. Koo and H.-J. Ahn, Appl. Phys. Express, 7, 075002 (2014). 

  23. Q. Xu, T. Song, W. Cui, Y. Liu, W. Xu, S.-T. Lee and B. Sun, ACS Appl. Mater. Interfaces, 7, 3272 (2015). 

  24. J.-W. Bae, B.-R. Koo, H.-R. An and H.-J. Ahn, Ceram. Int., 41, 14668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