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셜 빅데이터 기반 공공정책 국민의견 수렴과 정책 시행 이후 결과 관계 분석: '복지'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Opinion on Social Bigdata and Results after Implementation of Public Policies: A Case Study in 'Welfare' Polic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3, 2017년, pp.17 - 25  

김태영 (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오효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캐닝은 미래예측을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정보화 시대의 큰 화두인 빅데이터에 기반한 미래예측에 적합한 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슈 스캐닝 기법을 통해서 현재 우리 사회가 당면한 문제점들을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공공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효과적인 공공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민이 정책에 대해 예측한 위험 및 기대요소를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공정책에 대한 국민의견 수렴 절차를 설계하고, 정책시행 이후 결과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공공정책에 대한 의견수렴이 정책 수립에 필요한 절차인지를 확인해 보았다. 연구 적용 대상 정책으로는 '만 0-5세 무상보육제'를 선정하였으며, 해당 정책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소셜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차후 정책 수립시 반영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공공정책에 관한 국민 여론을 수렴하는 것은 정책수립 시에 매우 중요하며, 이는 전 국민이 필요로 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사회 발전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밑거름이 될 수 있음에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orizon scanning that one of the methods for future prediction is adaptable way of establishing the policy strategy based on big data.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ocial problems scientifically utilized horizon scanning technique, and contribute to public policy formulation based on scanning 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응 추진체계의 기반요소(데이터 분석→미래전망・정책대안 제시→정책전략 수립)로서 국민이 공공정책에 대해 예측한 위험 및 기대요소를 빅데이터를 통해 파악하고[4],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공공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는 구축제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응 추진체계의 기반요소(데이터 분석→미래전망・정책대안 제시→정책전략 수립)로서 국민이 공공정책에 대해 예측한 위험 및 기대요소를 빅데이터를 통해 파악하고[4],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공공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는 구축제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즉, 공공정책에 대한 국민의견 수렴 절차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설계하고 이에 대한 효용성을 논하고자 한다.
  •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해당 이슈에 대한 포털 검색로그 및 트위터(twitter) 언급량을 활용하여 복지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 및 분석하고 정책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정책시행 이후의 결과를 수렴된 의견과 비교・분석하면서, 공공정책에 대한 의견 수렴이 정책 수립에 필요한 절차인지를 확인해 보았다.
  •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해당 이슈에 대한 포털 검색로그 및 트위터(twitter) 언급량을 활용하여 복지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 및 분석하고 정책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정책시행 이후의 결과를 수렴된 의견과 비교・분석하면서, 공공정책에 대한 의견 수렴이 정책 수립에 필요한 절차인지를 확인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정책반영 요소들은 실질적으로 공공정책 수립에 반영될 수 있다.
  • 정보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힘입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사회적・정책적 이슈 탐지 및 동향 분석, 예측 모형 설계 등에 관한 연구가 현재 진행되고 있다[5]. 본 연구에서는 여러 연구들 중에서도 특히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공정책 수립 및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6].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소셜 빅데이터에 나타난 복지정책 및 무상교육 제도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만 0–5세 무상보육제도”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을 살펴보았다.
  • 그러나 현재 공공정책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는 공통적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책 수요를 탐지하고 예측모형을 개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즉, 대부분의 연구에서 빅데이터가 향후에 공공정책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고 정책수립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주요한 수단임을 입증하데 그친 반면, 본 연구에서는 더 나아가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공공정책 수립에 대한 기반요소로서, 국민이 향후 정부 공공정책에 대해 예측한 위험 및 기대요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즉, 정책 시행 전후로 여론을 수렴하여 예측된 위험 및 기대요소와 실제 결과에 대한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정책수립 단계에서 반영할 수 있는 요소를 도출하였다.
  • 즉, 정책 시행 전후로 여론을 수렴하여 예측된 위험 및 기대요소와 실제 결과에 대한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정책수립 단계에서 반영할 수 있는 요소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공 정책에 대한 국민의견을 수렴하는 체계적인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여 보다 실질적으로 국민들의 의견을 파악함으로써, 정책수립 과정에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실제 무상보육을 시행한 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이 소셜 빅데이터 기반의 국민의견 수렴 결과와 얼마나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2007년 17대 대선 당시에 영유아 보육정책의 일환으로 무상보육정책이 처음 공약으로 거론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 사례로서 “만 0-5세 무상보육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소셜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차후 정책 수립시 반영해야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 적용 대상 정책으로는 어떤 정책을 선정 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소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공정책에 대한 국민의견 수렴 절차를 설계하고, 정책시행 이후 결과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공공정책에 대한 의견수렴이 정책 수립에 필요한 절차인지를 확인해 보았다. 연구 적용 대상 정책으로는 '만 0-5세 무상보육제'를 선정하였으며, 해당 정책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소셜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차후 정책 수립시 반영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공공정책에 관한 국민 여론을 수렴하는 것은 정책수립 시에 매우 중요하며, 이는 전 국민이 필요로 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사회 발전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밑거름이 될 수 있음에 있다.
이슈 스캐닝이란? 슈 스캐닝은 미래예측을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정보화 시대의 큰 화두인 빅데이터에 기반한 미래예측에 적합한 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슈 스캐닝 기법을 통해서 현재 우리 사회가 당면한 문제점들을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공공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만 0-5세 무상보육제도를 선정한 이유는?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의견 수렴 대상으로 공공정책 중에서도 복지정책인 “만 0-5세 무상보육제도”를 선정하였다. 선정 이유는 현재 정책이 시행되었고, 이후 시행 결과에 대한 논의까지 종료된 이슈로, 해당 제도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수렴된 국민의견과 정책시행 이후 결과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Planning Scientific Policy of Data Evidence-Based.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5. 

  2. H. J. Han and J. Y. Lee, "Identifying Emerging Issues in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Using Horizon Scanning. Sejong: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5. 

  3. Y. S. Jeong, "Business Process Model for Efficient SMB using Big Data",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Vol. 5, No. 4, pp.11-16, 2015. 

  4. Y. B. Cho, S. H. Lee, and S. H. Woo, "In Snall and Medium Business the Government 3.0-based Big Data Utilization Policy",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Vol. 3, No. 1, pp.15-22, 2013. 

  5. K. H. Kim,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nsumer Convergence Preferences for Healthcare Information Service in Social Medi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5, pp. 181-188, 2016. 

  6. Y. S. Ching, R. K. Park, and J. M Kim, "Study on predictive modeling of Incidence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Weather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5, No. 1, pp. 9-15, 2014. 

  7. M. S. Lee, C. H. Lee and J. Y. Kim, "Big Data Analysis on Demands for Environmental Policies. Seoul: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4. 

  8. T. M. Song et. al., "Forecasting of Low Fertility Policies Based on Social Big Data.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9. M. H. Jang and Y. I. Yoon, "Research into Changes in Government Policies and Public Perceptions on Camping via Analyses of Big Data from Social Media."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Vol. 31, No. 1, pp. 91-112, 2016. 

  10. J. H. Yang, "A Study on the Effect of Contextual Factor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Management Education Review, Vol. 30, No. 1, pp. 25-45, 2015. 

  11. C. H. Lee, et. al., "Social WISDOM: A Issue Detection/Monitoring System." Proc. the 38th Conference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Vol. 19, No. 2, pp. 431-434, 2012. 

  12. T. I.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Welfare Spending and National Debt : Analysis of OECD Countries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Critical Social Policy, No. 35, pp. 7-46, 2012. 

  13. M. H. Lee et. al,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hildcare Policy after Implementation of Free Childcare Policy.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4. 

  14. N. G. Choi, "Free Childcare, What is Problem?",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978124 (October 04,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