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쇄설성 저어콘의 SHRIMP U-Pb 연령으로 한정한 평창지역 방림층군의 퇴적시기
Deposional Age of the Bangnim Group, Pyeongchang, Korea Constrained by SHRIMP U-Pb Age of the Detrital Zircons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6 no.1, 2017년, pp.73 - 82  

곽무성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송용선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박계헌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평창지역에 분포하는 시대미상 방림층군의 퇴적시기를 한정하기 위하여 쇄설성 저어콘의 SHRIMP U-Pb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일치곡선상에 놓이는 최소연령 집단의 $^{206}Pb/^{238}U$ 연령은 $450.3{\pm}4.2Ma$(n=3)으로 구해졌으며, 퇴적시기는 후기 오르도비스기 이후임을 지시한다. 따라서 방림층군은 선캠브리아기 지층이 아님이 명백하며, 태백산분지의 하부고생대 조선누층군의 하부 지층인 묘봉층 보다도 젊은 층이어야 한다. 이러한 퇴적시기는 구조적으로 위에 놓인 장산규암층과 방림층군과의 관계가 단층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접하여 분포하는 조선누층군의 하부 멤버들인 장산규암층과 묘봉층 및 풍촌석회암층이 방림층군 위로 오버트러스트한 것으로 추정된다. 방림층군의 저어콘들이 보이는 연대분포 양상은 태백산분지의 하부고생대층인 묘봉층과 삼방산층, 그리고 중부고생대층으로 판단되는 대향산규암층 및 태안층 등과는 매우 유사하다. 이에 반해 상부고생대인 평안누층군의 것들과는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이는 쇄설성 저어콘 근원지가 평안누층군 퇴적이전과 이후에 확실하게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방림층군은 평안누층군 보다 이전에 퇴적된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determined SHRIMP U-Pb ages of the detrital zircons separated from the Bangnim Group of the Pyeongchang area to constrain its depositional age. As the result, the minimum age group yielded $^{206}Pb/^{238}U$ age of $450.3{\pm}4.2Ma$ (n=3), suggesting depositional age young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기간 동안 시료처리, 분석 및 도면작성 등에 도움을 준 부경대학교 암석지구조 연구실 서재현, 하영지 석사에게 감사를 표한다. 또한 이 논문을 상세하게 검토하여 건설적인 비평과 부족한 점들을 지적하여 주신 김진섭 교수님과 익명의 심사자에게 감사드린다.
  • 연구는 SHRIMP를 이용한 U-Pb 저어콘 연대측정을 수행하여 방림층군 변성퇴적암층의 퇴적시기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통해 편마암 복합체와 방림층군 변성퇴적암층과의 관계와 그 시대에 대해 토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쪽의 고생대층은 무엇들로 구성되어 있는가? 동쪽의 고생대층은 대부분 하부 고생대의 조선누층 군에 속하는 이질 내지 사질의 쇄설암(대하리층 또는 삼방산층)과 석회질 암층들(입탄리층과 정선석회암층)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역 조선누층군들은 평창형으로 분류되고 있는데 그 층서구분과 시대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리와 평행한 렌즈상 내지 습곡된 형태의 석영맥 또는 석영군집(segregation)을 포함한 녹회색의 운모-녹니석 편암의 구성은 무엇인가? 엽리와 평행한 렌즈상 내지 습곡된 형태의 석영맥 또는 석영군집(segregation)을 포함한 녹회색의 운모-녹니석 편암이다. 주로 백운모와 석영으로 구성되어 있고 녹니석과 흑운모가 적은 양으로 수반된다. 백운모와 흑운모 녹니석들이 레피도블라스틱 (lepidiblastic) 조직의 강한 엽리를 이루고 있으며, 석영 군집들이 엽리를 따라 얇은 층을 이루며 배열되어 있다. 사장석은 드물게 산출되며, 자형의 전기석과 불투명 광물, 미량의 저어콘 등이 산점상으로 산출된다.
평창지역은 어떠한 암층이 접하는 곳인가? 평창지역은 경기육괴의 선캠브리아 편마암 복합체와 고생대 태백산 분지의 퇴적암층이 단층으로 접하는 곳이다. Choug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eong, C.H., Lee, D.Y., Ryu, Y.S., and Kang K.W., 1979,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Pyeongchang and Yeongweol Sheet (1:50,000). Koera Research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9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 D.L., 2007, SHRIMP zircon dating of a low-grade meta-sandstone from the Taean Formation: Provenance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KIGAM Bulletin, 11, 3-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 M., Na, J., and Yi, K., 2010,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in metasandstones of the Taean Formation,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Tectonic implications. Geosciences Journal, 14, 99-109. 

  4. Choi, J.E. and Park, K.H., 2012, SHRIMP U-Pb ages of the detrital zircons from the Seochangni Formation of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Proceedings of the Annual Joint Conference,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May 17-19, 2012, Seoul, Korea. 95. (in Korean) 

  5. Chough, S.K., Kwon, S.T., Ree, J.H., and Choi, D.K., 200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review and new view. Earth-Science Reviews, 52, 175-235. 

  6. Horie, K., Tsutsumi, Y., Kim, H., Cho, M., Hidaka, H., and Terada, K., 2009, A U-Pb geochronological study of migmatitic gneiss in the Busan gneiss complex, Gyeonggi massif, Korea. Geosciences Journal, 13, 205-215. 

  7. Hukasawa, T., 1943, Geology of Heisho District, Kogendo, Tyose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Japan, 50, 29-43. (in Japanese) 

  8. Kim, H.S., Hwang, M.K., Ree, J.H., and Yi, K., 2013, Tectonic linkage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mainland Asia in the Cambrian: Insights from U-Pb dating of detrital zircon.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368, 204-218. 

  9. Kim, J.C., Koh, H.J., Lee, S.R., Lee, C.B., Choi, S.J., and Park, K.H., 2001, Explanatory Note of the Gangreung-Sokcho Sheet (1:2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ogical Resources. 76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J.H., Son, Y.C., and Koh, H.J., 1999, Characteristic of the so called Banglim Fault and structures of its adjacent area, Pyeongchang, Korea. Jour. Geol. Soc. Korea, 35, 99-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K.W., Park, B.S., and Lee, H.K., 1967,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Jecheon Sheet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46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H.S., Ree, J-H., and Kim, J., 2012, Tectonometamorphic evolutionof the Permo-Triassic Songrim (Indosinian) orogeny: Evidence from the late Paleozoic Pyeongan Supergroup in the northeastern Taebaeksan Basin, South Korea, Inter. J Earth. Sci., 101, 483-498. 

  13. Kim, H.S., Hwang, M.-K., Ree, J.-H., and Yi, K., 2013. Tectonic linkage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mainland Asia in the Cambrian: insights from U-Pb dating of detrital zircon. Earth Planet. Sci. Lett. 368, 204-218. 

  14. Kim, H.S., Seo, B., and Yi, K., 2014, Medium Temperature and Lower Pressure Metamorphism and Tectonic Setting of the Pyeongan Supergroup in the Munkyeong Area. Jour. Petrol. Soc. Korea. 23, 311-3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N., Cheong, C.-S., Park, K.-H., Kim, J., and Song, Y.-S., 2012. Crustal evolution of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revealed by SHRIMP U-Pb zircon geochronology and geochemistry. Gondwana Res. 21, 865-875. 

  16. Kobayashi, T., 1966. The Cambro-Ordovician formations and faunas of South Korea, Part X, Stratigraphy of the Chosen Group in Korea and South Manchuria and its relation to the Cambro-Ordovician formations of other areas, Section A, The Chosen Group of South Korea. J. Faculty Sci., University of Tokyo, Section II 16, 1-84. 

  17. Lee, D.S., Na, K.C., and Kim, Y.J., 1985, Petrologic Study on the Basement and the Lower Part of Ogcheon Zone and Igneous Intrusives in the Pyeongchang-Jecheon A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18, 381-3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S.M., Kim, H.S., Hong, S.T., and Park, C.S., 1990, Petrologic studies on the metamorphic rocks in Wonju-Pyongchang area. Jour. Geol. Soc. Korea, 26, 32-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T.H., Park, K.H., Choi, J.E., and Yi, K. 2012, SHRIMP U-Pb age distribution of the detrital zircons in the Geumsusan Quartzite and Seochangni Formation of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Proceedings of the Annual Joint Conference,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May 17-19, 2012, Seoul, Korea. 22. (in Korean) 

  20. Lee, Y.I., Lim, H.S., Choi, T., and Orihashi, Y., 2010, Detrital zircon U-Pb ages of the late Paleozoic Sadong Formation in the Pyeongchang coalfield, Gangweon-do Province, Korea: implications for depositional age and provenanc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6, 73-81. (in Korean) 

  21. Lee, Y.I., Choi, T., Lim, H.S., and Orihashi, Y., 2016. Detrital zircon geochronology and Nd isotope geochemistry of the basal succession of the Taebaeksan Basi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Gondwana linkage of the Sino-Korean (North China) block during the Neoproterozoic-early Cambrian. Palaeogeogr. Palaeoclimatol. Palaeoecol. 441, 770-786. 

  22. Ludwig, K.R., 2009, SQUID 2: a user''s manual. Berkeley, CA,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No. 2, 100 p. 

  23. Ludwig, K.R., 2012, User's manual for Isoplot 3.6: A Geochronological Toolkit for Microsoft Excel.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5, Berkeley, CA. 75 p. 

  24. Park K.H., Lee T.H., and Yi K., 2011,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in the Daehyangsan Quartzite of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Jour. Geol. Soc. Korea, 47, 423-431. (in Korean) 

  25. Sagong, H. and Kwon, S.T., 1998, Pb-Pb age and uplift history of the Busan gneiss complex in the Okchon Belt, Korea: a comparison with the Bagdalryeong gneiss complex in the Kyongki Massif. Geosciences Journal, 2, 99-106. 

  26. Son, C.M. and Cheong, J.G., 1971, Geology of the Northwestern Part of Pyeongchang District, Gangweon-do,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7, 143-1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Song, Y.S., Park, K.H., Seo, J., Jo, H.J., and Yi, K., 2011, SHRIMP zircon ages of the basement gneiss complex in the Pyeongchang-Wonju area, Gyeonggi massif, Korea. Jou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0, 99-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Williams, I.S., 1998, U-Th-Pb geochronology by ion microprobe. In: Mckibben, M.A., Shanks, W.C.III., Ridley, W.L. (eds.), Application of Micro analytical Techniques to Understanding Mineralizing Processes. Society of Economic Geologists, Socorro, Review in Economic Geology, 7, 1-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