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일 한국을 대비한 남북한 도서관교류협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for the Unified Korea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4 no.1 = no.103, 2017년, pp.317 - 340  

박미향 (국회도서관 정보봉사국 자료수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술과 문화 기반의 비이념적 정보교류협력은 비정치적이면서도 장기적 관점에서 민족 동질성과 신뢰회복에 가장 효과적일 수 있는 남북한 협력사업의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일 한국을 대비하여 단계적인 남북한 협력기반 조성을 위해 국가도서관을 매개로 한 남북 문화교류협력에 관한 방안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관련하여 북한도서관의 기능과 한계 및 현재적 관점에서의 사회적 활용성을 살펴보고, 그간의 도서관교류협력사업을 남북한 문화분야 협력사업이라는 틀안에서 검토하였다. 이에 협력 거버넌스 체계구축 등 다섯 가지 협력안을 기반으로 남북 도서관교류협력의 단계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n-ideological inform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based on the scholarly and cultural fields would be the most effective project of south and north Korea for gaining the national homogeneity and trust in the long-term perspective. In this context, this study researched the measures on cultural ex...

주제어

참고문헌 (31)

  1. 강영실 (2016). 북한의 정보기술 육성전략과 기술수준. 제11기 통일정책지도자과정 교육자료 제16차. 통일교육원. (Kang, Youngshil (2016). National fosterage strategy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North Korea. The 11th unification policy leadership program(16). Institute for Unification Education.) 

  2. 강진규 (2016. 12. 3). 북한 김일성종합대학 과학기술축전개막. Retrieved from http://www.dihur.co.kr/1161 (Kang, Jinkyu (2016. 12. 3). Opening of science technology festival by Kim Ilsung University in North Korea. Retrieved from http://www.dihur.co.kr/1161) 

  3. 권영경 (2016). 남북경제협력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과제. 제11기 통일정책지도자과정 교육자료 제16차. 통일교육원. (Guen, Youngkyung (2016). Historical process and task of economical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11th unification policy leadership program(16). Institute for Unification Education.) 

  4. 김경렬 (2002). 정보산업시대와 계획업무의 정보화. 경제연구, 1(통권114), 29-31. (Kim, Kyungryeol (2002). Information industry era and informatization of planned task. Economy Research, 1(114), 29-31.) 

  5. 김국신 (2016). 실패한 통일국가 예멘의 교훈. 제11기 통일정책지도자과정 교육자료 제12차. 통일교육원. (Kim, Guksin (2016). Lesson from yemen as the failed unified nation. The 11th unification policy leadership program(12). Institute for Unification Education) 

  6. 김기헌 (2001). 인민대학습당 광명홈페이지. 민족, 21(8), 40-41. (Kim, Keehyen (2001). Grand people's study house, guangmyeong homepage. Minjok, 21(8), 40-41.) 

  7. 김일성종합대학전자도서관 (2015. 12. 18). 통일신문. Retrieved from http://www.unityinfo.co.kr/sub_read.html?uid19236§ionsc4 (Kimilsung University electronic library (2015. December 18). Unification newspaper. Retrieved from http://www.unityinfo.co.kr/sub_read.html?uid19236§ionsc4) 

  8. 김정수 (2016). 북한 문예정책의 실태와 과제. 제11기 통일정책지도자과정 교육자료 제21차. 통일교육원. (Kim, Jeongsoo (2016). The reality and task of literary policy in North Korea. The 11th unification policy leadership program(21). Institute for Unification Education.) 

  9. 나황균 (2007). 남북간 정보격차 대응방안 연구. 제4회 남북간 정보격차 해소 학술세미나. 한국정보문화 진흥원. (Nae, Whangkoon (2007). A study of policy measure of information ga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4th Conference of Settlement against Information Ga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10.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 (2009). 2009년도 정기총회안건.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 (Inter-Korean Economic & Cultural Cooperation Foundation (2009). Agenda for regular general meeting in 2009. South-North Economy Culture Cooperation Foundation.) 

  11. 백과사전출판사 편 (1998). 조선대백과사전(6).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48-249. (Encyclopedia Publisher (1998). Chosun encyclopedia(6). Pyeungyang: Encyclopedia Publisher, 248-249.) 

  12. 북, 모든 분야에서의 정보기술 중요성 강조 (2001. 7. 11). 연합뉴스. (North Korea: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every field. (2001, July 11). Yonhapnews.) 

  13. 사회과학출판부 편 (1971). 력사사전(1).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35. (Social Science Publisher (1971). History dictionary(1). Pyeungyang: Social Science Publisher. 35.) 

  14. 사회과학출판부 편 (1992). 조선말대사전(1).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760. (Social Science Publisher (1992). Chosunmal grand dictionary(1). Pyeungyang: Social Science Publisher. 760.) 

  15. 성혜랑 (2000). 등나무집. 서울: 지식나라. (Sung, Haerang (2000). The rattan house. Seoul: Jeesiknaera.) 

  16. 송승섭 (2008). 북한도서관의 이해.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Song, Sungseob (2008). Understanding library of North Korea.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7. 송승섭 (2016). 북한 국가도서관의 발전과정과 그 양상. 인문과학연구논총, 37(1), 479-504. (Song, Sungseob (2016). Development process of the aspect of national library in North Korea. The Humanities Research Treatise, 37(1), 479-504.) 

  18. 이상호 (2010). 천안함 사태로 드러난 정부대응의 문제점과 향후 대책. 정세와 정책, 170(6), 1-4. (Lee, Sanghoe (2010). Issues and future measures of government against the attack on the Cheonan. Situations and Policy, 170(6), 1-4.) 

  19. 이우영 (2016). 대북지원 20년: 역사와 의의. 제11기 통일정책지도자과정 교육자료 제20차. 통일교육원. (Lee, Euyoung (2016). Support to North Korea in 20 years: History and meaning. The 11th unification policy leadership program(20). Institute for Unification Education.) 

  20. 전성훈 (2010). 천안함 사태 이후 남북관계 전망과 대북정책 방향. Strategy21, 13(2), 157-180. (Jeon, Sunghun (2010). Prospect on South and North relations after attack on the Cheonan. Strategy21, 13(2), 157-180.) 

  21. 정분희 (1993). 남북한 도서관 및 정보자료 교류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Jeong, Bunhee (1993). A study of library and information material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22. 정성장 (2016). 북한 권력체계의 이해: 수령, 당, 국가, 군대. 제11기 통일정책지도자과정 교육자료 제23 차. 통일교육원. (Jeong, Sungjang (2016). Understanding system of power in North Korea: Leader, party, nation, army. The 11th unification policy leadership program(23). Institute for Unification Education.) 

  23. 조왕근 (2007). 남북도서관 교류협력사업사례: 김일성종합대학 과학도서관 현대화 사업. 한독도서관 컨퍼런스. 독일문화원, 통일부, 한국도서관협회. (Cho, Wangkeun (2007). Case of library exchange & cooperation projec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Korea-Germany Conference. Goethe Institut, Ministry of Unification, & Korean Library Association.) 

  24. 조정아 (2016). 북한 교육제도와 실태. 제11기 통일정책지도자과정 교육자료 제8차. 통일교육원. (Cho, Jeonga (2016). The educational system and reality in North Korea. The 11th unification policy leadership program(8). Institute for Unification Education.) 

  25. 최기철 (2001). 남북한 정보기술협력방안. 한국어정보학, 3, 132-138. (Choe, Keechel (2001). Plan for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Korean Informatics, 3, 132-138.) 

  26. 최용환, 김영수, 조봉현 (2009). 경기도의 남북경제협력사업 추진방안연구. 정책연구(2009-4). 경기개발연구원. (Choe, Yongwhan, Kim, Youngsoo, & Joo, Bonghyun (2009).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Local government's perspective. Policy Research (2009-4).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7. 통일부 (2016). 북한이탈주민정책 입국현황 통계자료. Retrieved from http://www.unikorea.go.kr/content.do?cmsid3099 (Ministry of Unification (2016). Statistic data on entry of North Korean Refugees. Retrieved from http://www.unikorea.go.kr/content.do?cmsid3099) 

  28. 평화문제연구소 편 (2005). 조선향토대백과. 서울: 평화문제연구소. 411. (Institute for Peace Affairs (2005). Encyclopedia of north Korean geography and culture. Seoul: Institute for Peace Affairs. 411.) 

  29.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4). 정보격차 대응방안 연구: 통일대비 남북간 정보격차 해소방안. 한국정보 문화진흥원.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4). A study of public measure of information gap: Settlement against South and North information gap.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30. 황한욱 (2003). 정보산업시대의 생산의 주요특징. 경제연구, 3(통권120), 24-26. (Whang, Hanwook (2003). Main characteristics of production in the era of information industry. Economy Research, 3(120), 24-26.) 

  31. Dankert, B. (2007). Unforseen experiences: Cooperation, partnership and integration with libraries and librarians of the former GDR and the FDR. Korean-German Library Conference, Guethe-Institut Korea, Ministry of Unification, Korean Library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